충렬서원(용인)
충렬서원 Chungnyeolseowon Confucian Academy |
|
대표명칭 | 충렬서원 |
---|---|
영문명칭 | Chungnyeolseowon Confucian Academy |
한자 | 忠烈書院 |
주소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능원리 118 |
지정(등록) 종목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9호 |
지정(등록)일 | 1972년 5월 4일 |
분류 | 유적건조물/교육문화/교육기관/서원 |
수량/면적 | 1동 |
웹사이트 | 충렬서원,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해설문
국문
충렬서원은 동방 성리학의 조종으로 추송된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 선생을 모시는 서원이다. 조선 선조 9년(1576) 정몽주와 조광조의 학덕과 충절을 추모하기 위해 이계, 이지를 비롯한 지방 유림들이 의논하여 서원을 세우고 위패를 모셨다.
처음에는 이 서원을 정몽주와 조광조의 묘소 중간 지역인 지금의 죽전동에 세웠으며 이름도 「죽전서원(竹田書院)」이었다. 임진왜란 때 서원 건물이 재가 되어 선조 38년(1605)에 이정구가 경기도 관찰사로 있으면서 현감 정종선, 이시윤과 등과 논의하여 정몽주의 묘소 아래에 중건하였다. 3년여의 공사 끝에 사우(祠宇) 3칸 동서재 각 2칸, 문루(門樓) 3칸을 지었다. 문루 위층은 강당이며, 아래는 문주방(門廚房)과 고사(庫舍) 등이 있다. 이때 조광조의 위패는 심곡서원으로 옮겨 모셨다. 중창과 함께 충렬(忠烈)이라 사액되었으며, 정몽주 선생의 손자인 설곡(雪谷) 정보(鄭保)와 병자호란 때 강화도에서 순절한 죽창(竹窓) 이시직(李時稷)을 추가로 모셨다. 숙종 32년(1706)에 다시 후손 정제두 ‧ 정찬조를 비롯한 여러 유림들이 논의하여 옛터 서쪽에 가까운 곳으로 옮겼다. 그 후 선현 배향과 지방 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고종 8년(1871)에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없어졌다가 1911년에 유림에서 사우를 중건하였고, 1956년에 강당을 복원하였다. 1972년 서원 전체를 보완하고 신축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서원 안에는 6칸의 사우 내삼문(內三門)과 외삼문(外三門)이 있으며, 중앙에 마루가 있고 양쪽은 협실로 된 8칸짜리 강당 등이 있다. 입구에는 홍살문을 세워 서원을 신성시 하였다. 강당은 원내의 여러 행사를 치르고 유림의 화합 및 강론을 하는 장소로 사용되었다. 특히 충렬서원은 일정한 중심축이 없어 외삼문에 들어서면 강당과 사당이 동시에 보인다. 한때 용인의 대학자 도암 이재 선생이 여러 유림과 학문을 교류하던 곳이기도 하나, 그 이후 교육 공간으로서의 역할은 거의 없었다. 1997년 유림의 결의로 조선 중기의 문신이며, 3대 학자의 한 분으로 추송되는 추담(秋潭) 오달제(吳達濟) 선생을 추가로 모셨다. 매년 3월과 9월 중정(中丁)에 향사를 지내고 있다.
영문
Chungnyeolseowon Confucian Academy
A Confucian academy, called seowon in Korean, is a private education institution of the Joseon period (1392-1910) that usually combined the functions of a Confucian shrine and a lecture hall.
Chungnyeolseowon Confucian Academy was established in 1576 to venerate Jeong Mong-ju (1337-1392), a civil official and scholar of the Goryeo period (918-1392). Often regarded as the founder of the Korean school of neo-Confucianism, Jeong was a loyal subject of Goryeo and tried to stabilize the collapsing state through various reforms. When the political powers led by Yi Seong-gye (later King Taejo, r. 1392-1398) set its course on establishing a new dynasty, Jeong vocally opposed them and demanded that Yi be punished. Jeong was eventually assassinated upon the order of Yi Seong-gye’s son Yi Bang-won (later King Taejong, r. 1400-1418). In 1401, King Taejong posthumously bestowed Jeong Mong-ju with the post of chief state councilor in recognition of his loyalty and academic achievements.
This academy was originally established as Jukjeonseowon in today’s Jukjeon-dong. It was destroyed during the Japanese invasions of 1592-1598 and rebuilt nearby Jeong’s tomb in 1605 by Yi Jeong-gu (1564-1635), the governor of Gyeonggi-do Province. The newly built academy received a royal charter and was named Chungnyeolseowon, meaning “Confucian Academy of Loyalty and Faithfulness.” Jeong’s grandson Jeong Bo and the military official Yi Si-jik (1572-1637), who died on Ganghwado Island during the Manchu invasion of 1637, were also additionally venerated at the academy’s shrine. In 1706, upon the decision of Jeong’s descendants and the local Confucian community, the academy was moved to the west of its original location. In 1871, the academy was demolished when most Confucian shrines and academies were shut down by a nationwide decree. The current shrine and lecture hall were built in 1911 and 1956, respectively, and the complex underwent a renovation in 1972. In 1997, the civil official O Dal-je (1609-1637) became additionally venerated at the shrine.
From front to back, the complex consists of a main gate, a lecture hall, an inner gate, and a shrine. While most Confucian academies have their lecture hall and shrin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the lecture hall of Chungnyeolseowon is located slightly to the left so that it does not block the view of the shrine from the main gate. The lecture hall consists of a wooden-floored hall with an underfloor-heated room on either side. It was used as an event venue as well as a space for gatherings and lectures organized by the Confucian community. A veneration ritual is held at the shrine in the third and ninth lunar months.
영문 해설 내용
서원은 조선시대에 설립된 사설교육기관으로, 선현 제향과 교육의 기능을 수행하였다.
충렬서원은 고려의 문신이자 학자인 정몽주(1337-1392)를 기리기 위해 1576년에 세워졌다. 정몽주는 한국 성리학의 창시자로 일컬어지며, 고려의 충신으로서 여러 개혁 정책을 추진하면서 왕조의 안정을 위해 노력하였다. 이성계(후의 조선 태조, 재위 1392-1398) 일파가 새로운 왕조를 세우려 하자, 이성계를 탄핵하는 상소를 올리며 대항하였으나, 이성계의 아들 이방원(후의 태종, 재위 1400-1418)이 보낸 자객에 의해 살해되었다. 1401년 태종은 정몽주의 학덕과 충절을 기려 영의정에 추증하였다.
이 서원은 원래 지금의 죽전동에 세워졌으며, 이름도 죽전서원이었다. 임진왜란 때 서원이 소실되어, 1605년 경기도 관찰사인 이정구(1564-1635)의 주도로 정몽주의 묘소 근처로 옮겨 다시 지었다. 이때 충렬서원이라 사액 받았고, 정몽주의 손자인 정보와 병자호란 때 강화도에서 순절한 문신 이시직(1572-1637)을 추가로 모셨다. 1706년 정몽주의 후손들과 지역 유림들이 논의하여 서원을 원래의 자리 서쪽으로 다시 옮겼다. 1871년 서원철폐령으로 철거되었다가, 1911년에 사당을 다시 세우고 1956년에 강당을 다시 세웠다. 1972년 서원 전체를 중수하였다. 1997년 문신 오달제(1609-1637)를 추가로 모셨다.
서원은 앞에서부터 정문, 강당, 내삼문, 사당으로 이루어져 있다. 일반적으로 서원의 건물들은 일직선상에 배치되는데, 충렬서원의 강당은 약간 왼쪽에 배치되어, 정문에서도 사당이 보인다. 강당은 마루를 중심으로 양옆에 온돌방이 있으며, 서원의 여러 행사를 치르거나 유림의 화합 및 강론을 하는 장소로 사용되었다. 사당에서는 매년 음력 3월과 9월에 향사를 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