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진 대풍헌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울진 대풍헌
Daepungheon Hall, Uljin
울진 대풍헌,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울진 대풍헌
영문명칭 Daepungheon Hall, Uljin
한자 蔚珍 待風軒
주소 경상북도 울진군 구산봉산로 105-2 (기성면, 대풍헌 기성구산동회관)
지정(등록) 종목 경상북도 기념물 제165호
지정(등록)일 2010년 3월 11일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주거시설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동(56.46 제곱미터)
웹사이트 울진 대풍헌,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대풍헌이라는 이름은 ‘바람을 기다리는 집’이라는 뜻이다. 이곳은 조선 후기에 구산포에서 울릉도로 가는 수토사(搜討使: 울릉도에 몰래 들어간 주민을 육지로 데리고 나오거나 일본인을 수색하여 토벌하는 군사)들이 배를 띄우기 전에 순풍(順風)을 기다리며 항해를 준비하던 곳이다.

대풍헌이 처음 세워진 연대는 알 수 없다. 다만 「구산동사중수기(龜山洞舍重修記)」에 조선 철종 2년(1851)에 대풍헌을 고쳐 지으면서 ‘龜山洞舍(구산동사)’와 ‘待風軒(대풍헌)’이라는 현판(懸板)을 걸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이후 1906년에 다시 한 차례 고쳐 지었고, 2010년에는 지금의 모습으로 복원했다.

건물은 남쪽 방향으로 서 있으며 지붕의 형태는 홑처마 팔작기와지붕이다. 건물 구조는 정면 네 칸, 왼쪽 네 칸, 오른쪽 세 칸 규모의 일자형(一字型) 이며, 큰마루와 온돌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큰마루에는 건물의 내력과 수토(搜討) 등에 관한 여러 현판이 걸려 있다.

조선은 숙종 19년(1693)에 일어난 안용복의 1차 도일(渡日: 일본으로 건너감) 사건 이후 울릉도에 수토관(搜討官)을 정기적으로 파견하였는데, 수토 제도는 약 200년 동안 계속되었다. 대풍헌에서 이와 관련된 「수토절목(搜討節目)」, 「완문(完文)」 등의 고문서도 발견되었다.

대풍헌과 이곳의 현판 및 고문서들은 오래전부터 조선이 울릉도·독도를 공식적으로 지키고 관리해 왔다는 역사적인 사실을 증명하는 귀중한 자료이다.

영문

Daepungheon Hall, Uljin

Daepungheon Hall, located at Gusanpo Harbor in Uljin, served as temporary accommodation for territorial inspectors as they waited for a fair wind to depart to Ulleungdo Island during the lat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 The name Daepungheon means “House of Waiting for the Wind.”

Territorial inspectors, called sutosa in Korean, were navy soldiers regularly dispatched to Ulleungdo Island. Their objective was to search for and expel any Japanese fishermen using the surrounding waters or to return to the mainland any Koreans who had secretly come to the island. This system of territorial inspection was implemented in 1694 in response to a dispute in 1693 in which the Korean fisherman An Yong-bok was kidnapped by Japanese fishermen while arguing about their fishing rights off the island’s coast. This system remained in place for about 200 years.

Although it is unknown when this hall was first established, historical records state that it was renovated in 1851. In 1906, the hall was renovated again, at which time the structure was changed significantly. In 2010, the hall was dismantled and restored to its original appearance. The building faces south and features a hip-and-gable roof. It consists of a wooden-floored hall on the left and an underfloor-heated room on the right, with a wooden veranda in front of the room.

There are several wooden plaques displayed in the wooden-floored hall that contain information about the territorial inspection system and the building’s history. These plaques are important historical evidence that Ulleungdo and Dokdo Islands have been under Korea’s jurisdiction and protection since long ago. They were thus designated as a Gyeongsang-do 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2012.

영문 해설 내용

구산포에 위치한 대풍헌은 조선 후기 수토사들이 울릉도로 가는 배를 띄우기 전에 순풍을 기다리며 항해를 준비하던 곳이다. 대풍헌이라는 이름은 “바람을 기다리는 집”이라는 뜻이다.

수토사는 울릉도에 몰래 들어간 주민을 육지로 데리고 나오거나 일본인을 수색하여 토벌하기 위해 조선 조정에서 울릉도에 정기적으로 파견하던 수군이다. 수토 정책은 1693년 울릉도에서 고기를 잡던 어부 안용복이 일본 어부들과 조업권을 두고 실랑이를 벌이다 일본으로 끌려간 이후 1694년부터 실시되었고 약 200여 년간 유지되었다.

대풍헌이 처음 세워진 연대는 알 수 없고, 1851년에 대풍헌을 고쳐 지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이후 1906년에 고쳐 지으면서 원래의 구조가 변형되었다가, 2010년 해체하고 원래의 모습으로 복원하였다. 건물은 남쪽 방향으로 서 있으며 팔작지붕을 얹었다. 왼쪽의 대청과 오른쪽의 온돌방으로 구성되어 있고, 온돌방 앞에는 툇마루가 있다.

대청에는 건물의 내력과 수토 등에 관한 여러 현판이 걸려 있다. 이 현판들은 오래전부터 조선이 울릉도와 독도를 공식적으로 지키고 관리해 왔다는 역사적인 사실을 증명하는 귀중한 자료이며, 2012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