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 청학사 소장 석조관음보살상 및 복장유물
강릉청학사소장석조관음보살상및복장유물 Stone Statue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 and Excavated Relics of Cheonghaksa Temple, Gangneung |
|
![]() 강릉 청학사 소장 석조관음보살상 및 복장유물 , 국가유산포털, 국가유산청. |
|
대표명칭 | 강릉청학사소장석조관음보살상및복장유물 |
---|---|
영문명칭 | Stone Statue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 and Excavated Relics of Cheonghaksa Temple, Gangneung |
한자 | 江陵 靑鶴寺 所藏 石造觀音菩薩像 및 腹藏遺物 |
주소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청파로 176-38 |
지정(등록) 종목 | 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 |
지정(등록)일 | 2007년 1월 19일 |
분류 | 유물/불교조각/석조/불상 |
수량/면적 | 1추, 1괄 |
웹사이트 | 강릉 청학사 소장 석조관음보살상 및 복장유물 , 국가유산포털, 국가유산청. |
해설문
국문
이 불상은 조선시대 불교 조각에서는 드물게 보이는 반가좌(半跏坐)* 보살상으로 삼존불(三尊佛)의 좌우협시(左右挾侍) 가운데 하나로 보인다.
얼굴은 다소 네모난 형태이고 머리에는 보관(寶冠)을 쓰고 있다. 양쪽 어깨에는 천의(天衣)를 걸치고, 두 손을 무릎 위에 올려놓은 형태이다.
불상에서 개금발원문(1791년), 다라니(1657년), 『묘법연화경』을 비롯해 오색 천과 실, 곡식 낱알 등의 복장유물이 발견되었다. 발원문에는 조선시대 불화 조성에 지속적으로 참여했던 화승(畵僧) 성암당 홍안과 신겸이 기록되어 있다.
복장유물을 통해 불상의 제작 과정과 원 소장처는 물론 조선 후기 경상북도와 강원 영동지역에서 활동했던 화승의 이력과 활동 영역을 파악할 수 있는 귀중한 문화유산이다.
- 반가좌(半跏坐): 좌선할 때 한쪽 다리를 구부려 다른 쪽 다리의 허벅다리 위에 올려놓고 앉는 자세
영문
Stone Statue of Avalokitesvara and Excavated Relics of Cheonghaksa Temple, Gangneung
This gilded stone image depicts Avalokitesvara, the Bodhisattva of Great Compassion. It is presumed to have been made in the lat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 as an attendant bodhisattva of a Buddha triad. The bodhisattva sits in a posture that is relatively rare for the period, with his left leg hanging down toward the ground and his right leg bent in a crossed position. His hands rest on his knees, while his face is slightly square in shape. He wears a celestial robe draped over both shoulders and a headdress on his head.
Discovered inside the statue were relics such as a Buddhist incantation (dharani) from 1657, a written vow from 1791, a copy of the Saddharmapundarika Sutra (The Lotus Sutra), colorful fabric and threads, and grains. According to the written vow, the statue was regilded in 1791 by the monk artisans Hongan and Singyeom, who were active mainly in the Gyeongsangbuk-do region. Thus, these excavated artifacts are valued for shedding light on the activities of monk artisans active in the Gyeongsangbuk-do and Gangwon regions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영문 해설 내용
이 불상은 자비를 상징하는 관음보살을 나타낸 것이다. 조선 후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원래는 삼존불의 협시보살 중 하나로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왼쪽 다리는 아래로 내리고 오른쪽 다리는 구부린 자세로 앉아 있는데, 이 자세의 불상은 조선시대 불교 조각에서는 드물다. 두 손은 무릎 위에 올려 놓았고, 얼굴은 다소 네모난 형태이다. 양쪽 어깨에는 천의를 걸치고, 머리에는 보관을 쓰고 있다.
불상 안에서는 다라니(1657), 개금발원문(1791), 『묘법연화경』, 오색 천과 실, 곡식 낟알 등의 유물이 발견되었다. 개금발원문에 따르면 이 불상은 1791년 주로 경상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던 홍안과 신겸이 개금하였다. 이를 통해 조선 후기 경상북도와 강원 지역에서 활동했던 화승의 이력과 활동 영역을 파악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