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 청학사 소장 석불좌상, 광배 및 중대석
강릉 청학사 소장 석불좌상ㆍ광배 및 중대석 Stone Seated Buddha, Halo, and Pedestal of Cheonghaksa Temple, Gangneung |
|
대표명칭 | 강릉 청학사 소장 석불좌상ㆍ광배 및 중대석 |
---|---|
영문명칭 | Stone Seated Buddha, Halo, and Pedestal of Cheonghaksa Temple, Gangneung |
한자 | 江陵 靑鶴寺 所藏 石佛坐像ㆍ光背 및 中臺石 |
지정(등록) 종목 | 강원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 |
지정(등록)일 | 2011년 08월 12일 |
분류 |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
수량/면적 | 일괄(불상 1구, 광배 1구, 중대석편 2점) |
웹사이트 | 강릉 청학사 소장 석불좌상ㆍ광배 및 중대석, 국가유산포털, 국가유산청. |
해설문
국문
이 불상과 유물은 청학사 인근 흑암사(黑岩寺) 터에서 수습되어 현재의 자리로 옮겼다고 한다. 불상은 시멘트로 보수한 흔적이 여러 군데 있으나 상호(相好)*와 상반신이 잘 보존되어 있고, 입가의 미소가 매우 정교하게 조각되어 있다. 특히 불상의 미소가 강릉 신복사지 석조보살좌상 및 평창 월정사 석조보살좌상과 유사하여 같은 시기인 고려 초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광배*는 윗부분이 일부 부서졌으나, 전반적인 상태가 양호하다. 대좌 중대석은 원래 세 점의 돌로 이루어져 있었으나 현재 두 점만 남아있다. 대좌의 모양은 8각 중대의 8면이고, 가운데 1면에는 향로가 조각되어 있으며, 향로를 중심으로 좌우에 3구씩 공양자(供養者)가 조각되어 있다.
고려 초기 영동지역 석조 불상의 제작 기법과 특징을 확인할 수 있는 귀중한 문화유산이다.
- 상호(相好): 부처의 몸에 갖추어진 훌륭한 용모(容貌)와 형상(形相)
- 광배: 부처 머리나 등 뒤에 광명을 표현한 원광(圓光)
영문
Stone Seated Buddha, Halo, and Pedestal of Cheonghaksa Temple, Gangneung
This stone image of a seated buddha, along with its halo and part of its pedestal, is presumed to date to the early period of the Goryeo dynasty (918-1392). It is said to have been discovered nearby at the site of Heugamsa Temple in the 1970s. These stone sculptures are valued for the insight they provide into the production techniques and characteristics of stone Buddhist statues in the Gangwon region from the Goryeo period.
The seated buddha remains well preserved, especially the upper body, the buddha’s characteristic marks, and the exquisitely carved smile, although some places were repaired with cement. The halo, which represents an auspicious light radiating from the buddha’s body, is also well preserved apart from the missing section at the top left. The pedestal, which originally had three tiers, is missing its upper and lower tiers. The middle tier, which is also missing one of its three stones, was octagonal in shape and featured a carving of an incense burner on the central face with carvings of ritual offerings on the adjacent faces.
영문 해설 내용
청학사에서 소장하고 있는 석불좌상, 석조 광배, 대좌의 중대석은 고려시대 초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1970년대에 청학사 인근 흑암사 터에서 수습되었다고 한다. 고려 초기 강원 지역 석조 불상의 제작 기법과 특징을 확인할 수 있는 귀중한 문화유산이다.
불상은 시멘트로 보수한 흔적이 여러 군데 있으나 상호(相好)와 상반신이 잘 보존되어 있고, 입가의 미소가 매우 정교하게 조각되어 있다. 부처의 몸에서 나오는 성스러운 빛을 나타낸 광배는 왼쪽 윗부분이 일부 부서졌으나, 전반적인 상태가 양호하다. 대좌는 원래 3단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나, 상대석과 하대석은 없어졌다. 원래 세 점의 돌로 이루어져 있던 중대석은 8각형이고, 가운데 1면에는 향로가 조각되어 있으며, 향로를 중심으로 좌우에 공양상이 새겨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