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심사오백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Definition)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__NOTOC__
 
__NOTOC__
 
==Definition==
 
==Definition==
*[[증심사오백전]](證心寺五百殿)은 오백나한(五百羅漢)과 십대제자(十代弟子)를 모시고 있는 불전으로 1989년 광주광역시 지정유산로 지정되었다. 오백전 내부에 계단식 불단을 설치하여 [[오백나한]]을 봉안하였다.
+
*[[증심사오백전]](證心寺五百殿)은 [[오백나한]](五百羅漢)과 [[십대제자]](十代弟子)를 모시고 있는 불전으로 1989년 [[광주광역시_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오백전 내부에 계단식 불단을 설치하여 [[오백나한]]을 봉안하였다.
 
*1609년 석경, 수장, 도광 선사가 [[증심사]]를 중건하면서 오백전도 건립되었다. 조선시대에 호남 지역에 세워진 오백전은 증심사오백전이 유일하다.
 
*1609년 석경, 수장, 도광 선사가 [[증심사]]를 중건하면서 오백전도 건립되었다. 조선시대에 호남 지역에 세워진 오백전은 증심사오백전이 유일하다.
*증심사오백전은 대웅전의 뒤에 있는 불전으로 [[6.25전쟁]] 당시 유일하게 증심사에서 소실되지 않은 건물이다. 현재 [[무등산]]에 남아 있는 사찰 건물 중 가장 오래된 불전이다.
+
*증심사오백전은 대웅전의 뒤에 있는 불전으로 6.25전쟁 당시 유일하게 증심사에서 소실되지 않은 건물이다. 현재 [[무등산]]에 남아 있는 사찰 건물 중 가장 오래된 불전이다.
  
 
==Semantic Data==
 
==Semantic Data==
10번째 줄: 10번째 줄:
 
!id||class||groupName||partName||label||hangeul||hanja||english||infoUrl||iconUrl
 
!id||class||groupName||partName||label||hangeul||hanja||english||infoUrl||iconUrl
 
|-
 
|-
| 증심사오백전|| Architecture|| || || 증심사오백전|| 증심사오백전|| 證心寺五百殿||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증심사오백전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icon/2023/증심사오백전.jpg
+
| 증심사오백전 || Architecture || 종교생활 || || 증심사오백전 || 증심사오백전 || 證心寺五百殿 ||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증심사오백전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icon/2023/증심사오백전.jpg
 
|}
 
|}
  
18번째 줄: 18번째 줄:
 
|-
 
|-
 
| [[증심사오백전]] || [[증심사]] ||  ||  || 증심사오백전은 증심사에 있다.
 
| [[증심사오백전]] || [[증심사]] ||  ||  || 증심사오백전은 증심사에 있다.
 +
|-
 +
| [[증심사오백전]] || [[광주광역시_유형문화유산]] ||  ||  || 광주시 유형문화유산이다.
 
|-
 
|-
 
| [[증심사오백전]] || [[무등산]] ||  ||  || 무등산에서 가장 오래된 불전은 증심사오백전이다.
 
| [[증심사오백전]] || [[무등산]] ||  ||  || 무등산에서 가장 오래된 불전은 증심사오백전이다.
 
|-
 
|-
 +
| [[증심사오백전]] || [[오백나한]] ||  ||  || 오백나한이 있다.
 +
|-
 +
| [[증심사오백전]] || [[십대제자]] ||  ||  || 십대제자가 있다.
 
|-
 
|-
 
|}
 
|}
28번째 줄: 33번째 줄:
 
!id||latitude||longitude||address
 
!id||latitude||longitude||address
 
|-
 
|-
| [[증심사오백전]] || 35.1287374|| 126.9699579|| 광주광역시 동구 증심사길 177
+
| [[증심사오백전]] || 35.1287374|| 126.9699579||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동구 증심사길 177
 
|-
 
|-
 
|}
 
|}
  
{{구글지도 |위도=35.1287374 |경도=126.9699579 |줌=16}}  
+
{{구글지도 |위도=35.1287374 |경도=126.9699579 |줌=16}}
  
 
==Web Resource==
 
==Web Resource==
40번째 줄: 45번째 줄:
 
| 해설|| 디지털광주문화대전|| 증심사오백전|| || http://aks.ai/GC60001063
 
| 해설|| 디지털광주문화대전|| 증심사오백전|| || http://aks.ai/GC60001063
 
|-
 
|-
| 해설|| 국가문화유산포털|| 증심사오백전|| ||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1_1&sngl=Y&ccbaCpno=2112400130000
+
| 참고|| 국가문화유산포털|| 증심사오백전(證心寺五百殿)|| ||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1_1&sngl=Y&ccbaCpno=2112400130000
 +
|-
 +
| 사진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 증심사오백전 ||  ||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증심사오백전/증심사오백전.jpg
 +
|-
 +
| 사진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 증심사오백전 안내판 ||  ||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증심사오백전/증심사오백전_안내판.jpg
 +
|-
 +
| 사진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 증심사오백전 전경1 ||  ||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증심사오백전/증심사오백전_전경1.jpg
 +
|-
 +
| 사진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 증심사오백전 전경2 ||  ||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증심사오백전/증심사오백전_전경2.jpg
 
|-
 
|-
 
|}
 
|}
50번째 줄: 63번째 줄:
 
| 논문|| 최원종, 「무등산 불교문화유산의 현황과 활용방안」, 전남대학교박사학위논문, 2021.|| RISS|| https://www.riss.kr/link?id=T15793146
 
| 논문|| 최원종, 「무등산 불교문화유산의 현황과 활용방안」, 전남대학교박사학위논문, 2021.|| RISS|| https://www.riss.kr/link?id=T15793146
 
|-
 
|-
| 단행본|| 박선홍, 『무등산』, 광주문화재단, 2013.|| ||  
+
| 단행본|| 박선홍, 『무등산』, 광주문화재단, 2013.|| || https://www.google.com/search?q=9788997423323
 
|-
 
|-
 
|}
 
|}

2024년 4월 27일 (토) 23:03 기준 최신판

Definition

  • 증심사오백전(證心寺五百殿)은 오백나한(五百羅漢)과 십대제자(十代弟子)를 모시고 있는 불전으로 1989년 광주광역시_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오백전 내부에 계단식 불단을 설치하여 오백나한을 봉안하였다.
  • 1609년 석경, 수장, 도광 선사가 증심사를 중건하면서 오백전도 건립되었다. 조선시대에 호남 지역에 세워진 오백전은 증심사오백전이 유일하다.
  • 증심사오백전은 대웅전의 뒤에 있는 불전으로 6.25전쟁 당시 유일하게 증심사에서 소실되지 않은 건물이다. 현재 무등산에 남아 있는 사찰 건물 중 가장 오래된 불전이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증심사오백전 Architecture 종교생활 증심사오백전 증심사오백전 證心寺五百殿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증심사오백전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icon/2023/증심사오백전.jpg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증심사오백전 증심사 증심사오백전은 증심사에 있다.
증심사오백전 광주광역시_유형문화유산 광주시 유형문화유산이다.
증심사오백전 무등산 무등산에서 가장 오래된 불전은 증심사오백전이다.
증심사오백전 오백나한 오백나한이 있다.
증심사오백전 십대제자 십대제자가 있다.

Spatial Data

id latitude longitude address
증심사오백전 35.1287374 126.9699579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동구 증심사길 177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디지털광주문화대전 증심사오백전 http://aks.ai/GC60001063
참고 국가문화유산포털 증심사오백전(證心寺五百殿)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1_1&sngl=Y&ccbaCpno=2112400130000
사진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증심사오백전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증심사오백전/증심사오백전.jpg
사진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증심사오백전 안내판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증심사오백전/증심사오백전_안내판.jpg
사진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증심사오백전 전경1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증심사오백전/증심사오백전_전경1.jpg
사진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증심사오백전 전경2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증심사오백전/증심사오백전_전경2.jpg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_index online_resource url
논문 최원종, 「무등산 불교문화유산의 현황과 활용방안」, 전남대학교박사학위논문, 2021. RISS https://www.riss.kr/link?id=T15793146
단행본 박선홍, 『무등산』, 광주문화재단, 2013. https://www.google.com/search?q=9788997423323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