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당산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광주광역시_시도문화재" 문자열을 "광주광역시_시도문화유산" 문자열로) |
|||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__NOTOC__ | __NOTOC__ | ||
==Definition== | ==Definition== | ||
− | * 당산제는 마을의 수호신인 당산신(당산할아버지와 당산할머니)에게 마을의 풍요와 평안 등을 기원하는 지역공동체적 의례이다.당제, 당산제, 당산굿, 당고사, 당산고제(古祭), 산제, 돌탑제, 당마제 등 지역마다 이름이나 제의 형식이 다양하게 나타나지만 호남지방에서는 당제 또는 당산제라는 명칭이 일반적이다. 특히 광주와 전남권을 비롯한 내륙 지역에서는 당산제, 해안도서 지역에서는 당제라 각각 불리는 것으로 보인다.<ref>한국민속대백과사전, 인용일 2022-11-08,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1930</ref> 제일(祭日)은 주로 음력 정월대보름이나 정초가 가장 많고, 그밖에 10월 보름에 제사를 지내기도 한다. 당산제가 끝나면 마을공동 시설인 우물·창고·정자·다리 등을 돌면서 굿을 친 다음 각 가정을 방문하여 굿을 치는데, 이를 매구치기 또는 마당밟기·지신밟기라고도 한다. 또한, 당산제가 끝난 당일이나 그 이튿날 밤에는 마을사람들이 편을 갈라 줄다리기를 하여 그해 농사의 풍흉을 점치는데 이기는 쪽이 풍년이 든다고 한다. 당산제는 다른 동제와 마찬가지로 마을의 풍년과 평안을 위한 제의인 한편, 마을사람들 모두가 참여하여 즐김으로써 축제의 성격도 지니고 있다. | + | * 당산제는 마을의 수호신인 당산신(당산할아버지와 당산할머니)에게 마을의 풍요와 평안 등을 기원하는 지역공동체적 의례이다. 당제, 당산제, 당산굿, 당고사, 당산고제(古祭), 산제, 돌탑제, 당마제 등 지역마다 이름이나 제의 형식이 다양하게 나타나지만 호남지방에서는 당제 또는 당산제라는 명칭이 일반적이다. 특히 광주와 전남권을 비롯한 내륙 지역에서는 당산제, 해안도서 지역에서는 당제라 각각 불리는 것으로 보인다.<ref>한국민속대백과사전, 인용일 2022-11-08,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1930</ref> 제일(祭日)은 주로 음력 정월대보름이나 정초가 가장 많고, 그밖에 10월 보름에 제사를 지내기도 한다. 당산제가 끝나면 마을공동 시설인 우물·창고·정자·다리 등을 돌면서 굿을 친 다음 각 가정을 방문하여 굿을 치는데, 이를 매구치기 또는 마당밟기·지신밟기라고도 한다. 또한, 당산제가 끝난 당일이나 그 이튿날 밤에는 마을사람들이 편을 갈라 줄다리기를 하여 그해 농사의 풍흉을 점치는데 이기는 쪽이 풍년이 든다고 한다. 당산제는 다른 동제와 마찬가지로 마을의 풍년과 평안을 위한 제의인 한편, 마을사람들 모두가 참여하여 즐김으로써 축제의 성격도 지니고 있다. <ref>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인용일 2022-11-08,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3900</ref> |
− | + | * [[광주_당산제|광주 당산제]]의 대표로 광주 남구 [[칠석동]]은 풍수지리설 상 터가 세기 때문에 그 터를 누르기 위해서 매년 정월에 당산제를 모시고 마당밟이 굿을 치며 고싸움놀이를 해왔다고 한다. 이 [[칠석동_칠석마을_당산제]]는 마을 위에 있는 할아버지 당산인 소나무와 마을 앞 [[칠석동은행나무|은행나무]]인 할머니당산에서 지내는데, 할아버지 당산은 술도 안 들고 비린 것도 먹지 않아 나물과 미역국, 냉수로만 제사를 모신다. 할머니 당산은 술, 고기를 다 잘 먹기 때문에 한 상을 장만하여 정성을 드려 지낸다.<ref>광주역사문화자원스토리텔링, 인용일 2022-11-08, http://gjstory.or.kr/sub.html?pid=48&formtype=view&code=1186</ref> 할머니 당산나무인 [[칠석동은행나무]]는 1979년 8월 3일 광주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 |
− | * [[광주_당산제| 광주 당산제]]의 대표로 광주 남구 칠석동 | ||
* 광주 동구 지원동 용연마을도 60년대까지도 당산제를 지냈고 녹동마을에서는 은행나무를 당산으로 삼았고 소태마을에서는 소나무를 당산으로 삼아 당산제를 했었다. 광주 서구 덕흥동 덕흥마을에서는 당사나무 벽화 길이 있다. 덕흥마을은 2018년부터 다시 당산제를 해오고 있다. <ref> 광주광역시 서구청 공식 블로그, 인용일 2022-11-08, https://m.blog.naver.com/gwangjuseogu/221812076133</ref> | * 광주 동구 지원동 용연마을도 60년대까지도 당산제를 지냈고 녹동마을에서는 은행나무를 당산으로 삼았고 소태마을에서는 소나무를 당산으로 삼아 당산제를 했었다. 광주 서구 덕흥동 덕흥마을에서는 당사나무 벽화 길이 있다. 덕흥마을은 2018년부터 다시 당산제를 해오고 있다. <ref> 광주광역시 서구청 공식 블로그, 인용일 2022-11-08, https://m.blog.naver.com/gwangjuseogu/221812076133</ref> | ||
30번째 줄: | 29번째 줄: | ||
| [[무등산_당산나무]] || [[무등산]] || || ~는 ~에 위치해있다. | | [[무등산_당산나무]] || [[무등산]] || || ~는 ~에 위치해있다. | ||
|- | |- | ||
− | | [[광주_당산제]] || [[ | + | | [[광주_당산제]] || [[칠석동_칠석마을_당산제]] || || ~은 ~이 대표적이다. |
|- | |- | ||
− | | [[ | + | | [[칠석동_칠석마을_당산제]] || [[칠석동]] || || ~은 ~에서 치러진다. |
|- | |- | ||
| [[칠석동은행나무]] || [[칠석마을_당산나무]] || || ~는 ~이다. | | [[칠석동은행나무]] || [[칠석마을_당산나무]] || || ~는 ~이다. | ||
42번째 줄: | 41번째 줄: | ||
| [[광주_충효동_당산제]] || [[광주_당산제]] || || ~는 ~중 하나이다. | | [[광주_충효동_당산제]] || [[광주_당산제]] || || ~는 ~중 하나이다. | ||
|- | |- | ||
− | | [[ | + | | [[용연동_용연마을_당산제]] || [[광주_당산제]] || || ~는 ~중 하나이다. |
|- | |- | ||
− | | [[ | + | | [[용연동_용연마을_당산제]] || [[용연마을]] || || ~은 ~에서 치러진다. |
|- | |- | ||
| [[용연마을]] || [[매천야록]] || || ~의 기우제 기록이 ~에 남아있다. | | [[용연마을]] || [[매천야록]] || || ~의 기우제 기록이 ~에 남아있다. | ||
53번째 줄: | 52번째 줄: | ||
|- | |- | ||
| [[광주_덕흥마을_당산제]] || [[광주_당산제]] || || ~는 ~중 하나이다. | | [[광주_덕흥마을_당산제]] || [[광주_당산제]] || || ~는 ~중 하나이다. | ||
+ | |} | ||
+ | ===Contextual Relations (Semantic Network Graph)===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source||target||relation | ||
+ | |- | ||
+ | |[[광주_당산제]]||[[광주_녹동마을_당산제]]||includes | ||
+ | |- | ||
+ | |[[광주_당산제]]||[[광주_덕흥마을_당산제]]||includes | ||
+ | |- | ||
+ | |[[광주_당산제]]||[[광주_동하마을_당산제]]||includes | ||
+ | |- | ||
+ | |[[광주_당산제]]||[[광주_소태마을_당산제]]||includes | ||
+ | |- | ||
+ | |[[광주_당산제]]||[[용연동_용연마을_당산제]]||includes | ||
+ | |- | ||
+ | |[[광주_당산제]]||[[광주_충효동_당산제]]||includes | ||
+ | |- | ||
+ | |[[광주_당산제]]||[[칠석동_칠석마을_당산제]]||includes | ||
+ | |- | ||
+ | |[[광주_당산제]]||[[당산신]]||isRelatedTo | ||
+ | |- | ||
+ | |[[광주_당산나무]]||[[무등산_당산나무]]||includes | ||
+ | |- | ||
+ | |[[광주_당산나무]]||[[칠석동은행나무]]||includes | ||
+ | |- | ||
+ | |[[용연동_용연마을_당산제]]||[[용연마을]]||isHeldAt | ||
+ | |- | ||
+ | |[[용연동_용연마을_당산제]]||[[용연동_용연마을_기우제]]||includes | ||
+ | |- | ||
+ | |[[칠석동_칠석마을_당산제]]||[[칠석동은행나무]]||isHeldAt | ||
+ | |- | ||
+ | |[[광주광역시_보호수]]||[[무등산_당산나무]]||includes | ||
+ | |- | ||
+ | |[[광주광역시_시도문화유산]]||[[광주광역시_보호수]]||includes | ||
+ | |- | ||
+ | |[[당산신]]||[[광주_당산나무]]||isRelatedTo | ||
+ | |- | ||
+ | |[[무등산_당산나무]]||[[무등산_자락]]||isLocatedIn | ||
+ | |- | ||
+ | |[[용연동_용연마을_기우제]]||[[매천야록]]||isMentionedIn | ||
+ | |- | ||
+ | |[[칠석동은행나무]]||[[칠석동]]||isLocatedIn | ||
+ | |- | ||
|} | |} | ||
102번째 줄: | 144번째 줄: | ||
| 단행본 || 광주광역시남구역사문화인물,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남구문화원, 2015. || 지역N문화 || https://local.nculture.org/omcgb | | 단행본 || 광주광역시남구역사문화인물,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남구문화원, 2015. || 지역N문화 || https://local.nculture.org/omcgb | ||
|- | |- | ||
− | | 단행본 || | + | | 단행본 || 김학휘, 「광주의 향토문화, 그 아이콘들」, 광주광역시문화원연합회, 2019. || 지역N문화 || https://local.nculture.org/8qfmc |
|- | |- | ||
| 논문 || 임동옥 외 1, 「광주광역시 노거수의 생육현황 및 분포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2) : 185~188. 2010. || koreascience || https://koreascience.kr/article/CFKO201023552842514.pdf | | 논문 || 임동옥 외 1, 「광주광역시 노거수의 생육현황 및 분포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2) : 185~188. 2010. || koreascience || https://koreascience.kr/article/CFKO201023552842514.pdf | ||
112번째 줄: | 154번째 줄: | ||
<references/> | <references/> | ||
+ | ==Semantic Network Graph== | ||
+ | |||
+ | <html> | ||
+ | <iframe width="90%" height="40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gwangju&project=gwangju&key=광주_당산제"></iframe> | ||
+ | <br/>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gwangju&project=gwangju&key=광주_당산제'"> | ||
+ | </html> | ||
[[분류:Event]] [[분류:김희련]] [[분류:가]] | [[분류:Event]] [[분류:김희련]] [[분류:가]] |
2024년 3월 8일 (금) 10:18 기준 최신판
Definition
- 당산제는 마을의 수호신인 당산신(당산할아버지와 당산할머니)에게 마을의 풍요와 평안 등을 기원하는 지역공동체적 의례이다. 당제, 당산제, 당산굿, 당고사, 당산고제(古祭), 산제, 돌탑제, 당마제 등 지역마다 이름이나 제의 형식이 다양하게 나타나지만 호남지방에서는 당제 또는 당산제라는 명칭이 일반적이다. 특히 광주와 전남권을 비롯한 내륙 지역에서는 당산제, 해안도서 지역에서는 당제라 각각 불리는 것으로 보인다.[1] 제일(祭日)은 주로 음력 정월대보름이나 정초가 가장 많고, 그밖에 10월 보름에 제사를 지내기도 한다. 당산제가 끝나면 마을공동 시설인 우물·창고·정자·다리 등을 돌면서 굿을 친 다음 각 가정을 방문하여 굿을 치는데, 이를 매구치기 또는 마당밟기·지신밟기라고도 한다. 또한, 당산제가 끝난 당일이나 그 이튿날 밤에는 마을사람들이 편을 갈라 줄다리기를 하여 그해 농사의 풍흉을 점치는데 이기는 쪽이 풍년이 든다고 한다. 당산제는 다른 동제와 마찬가지로 마을의 풍년과 평안을 위한 제의인 한편, 마을사람들 모두가 참여하여 즐김으로써 축제의 성격도 지니고 있다. [2]
- 광주 당산제의 대표로 광주 남구 칠석동은 풍수지리설 상 터가 세기 때문에 그 터를 누르기 위해서 매년 정월에 당산제를 모시고 마당밟이 굿을 치며 고싸움놀이를 해왔다고 한다. 이 칠석동_칠석마을_당산제는 마을 위에 있는 할아버지 당산인 소나무와 마을 앞 은행나무인 할머니당산에서 지내는데, 할아버지 당산은 술도 안 들고 비린 것도 먹지 않아 나물과 미역국, 냉수로만 제사를 모신다. 할머니 당산은 술, 고기를 다 잘 먹기 때문에 한 상을 장만하여 정성을 드려 지낸다.[3] 할머니 당산나무인 칠석동은행나무는 1979년 8월 3일 광주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 광주 동구 지원동 용연마을도 60년대까지도 당산제를 지냈고 녹동마을에서는 은행나무를 당산으로 삼았고 소태마을에서는 소나무를 당산으로 삼아 당산제를 했었다. 광주 서구 덕흥동 덕흥마을에서는 당사나무 벽화 길이 있다. 덕흥마을은 2018년부터 다시 당산제를 해오고 있다. [4]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광주_당산제 | Event | 행사 | 광주_당산제 | 광주 당산제 | 光州堂山祭 | Gwangju Dangsanje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광주_당산제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7/77/D1.jpg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광주_당산제 | 당산신 | ~는 ~에게 풍요, 평안을 기원하는 제사이다. | |
당산신 | 광주_당산나무 | ~는 각각의 ~가 있다. | |
당산나무 | 무등산_당산나무 | ~중 하나로 ~가 있다. | |
무등산_당산나무 | 무등산 | ~는 ~에 위치해있다. | |
광주_당산제 | 칠석동_칠석마을_당산제 | ~은 ~이 대표적이다. | |
칠석동_칠석마을_당산제 | 칠석동 | ~은 ~에서 치러진다. | |
칠석동은행나무 | 칠석마을_당산나무 | ~는 ~이다. | |
광주_녹동마을_당산제 | 광주_당산제 | ~는 ~중 하나이다. | |
광주_동하마을_당산제 | 광주_당산제 | ~는 ~중 하나이다. | |
광주_충효동_당산제 | 광주_당산제 | ~는 ~중 하나이다. | |
용연동_용연마을_당산제 | 광주_당산제 | ~는 ~중 하나이다. | |
용연동_용연마을_당산제 | 용연마을 | ~은 ~에서 치러진다. | |
용연마을 | 매천야록 | ~의 기우제 기록이 ~에 남아있다. | |
황현 | 매천야록 | ~는 ~의 저자이다. | |
광주_소태마을_당산제 | 광주_당산제 | ~는 ~중 하나이다. | |
광주_덕흥마을_당산제 | 광주_당산제 | ~는 ~중 하나이다. |
Contextual Relations (Semantic Network Graph)
source | target | relation |
---|---|---|
광주_당산제 | 광주_녹동마을_당산제 | includes |
광주_당산제 | 광주_덕흥마을_당산제 | includes |
광주_당산제 | 광주_동하마을_당산제 | includes |
광주_당산제 | 광주_소태마을_당산제 | includes |
광주_당산제 | 용연동_용연마을_당산제 | includes |
광주_당산제 | 광주_충효동_당산제 | includes |
광주_당산제 | 칠석동_칠석마을_당산제 | includes |
광주_당산제 | 당산신 | isRelatedTo |
광주_당산나무 | 무등산_당산나무 | includes |
광주_당산나무 | 칠석동은행나무 | includes |
용연동_용연마을_당산제 | 용연마을 | isHeldAt |
용연동_용연마을_당산제 | 용연동_용연마을_기우제 | includes |
칠석동_칠석마을_당산제 | 칠석동은행나무 | isHeldAt |
광주광역시_보호수 | 무등산_당산나무 | includes |
광주광역시_시도문화유산 | 광주광역시_보호수 | includes |
당산신 | 광주_당산나무 | isRelatedTo |
무등산_당산나무 | 무등산_자락 | isLocatedIn |
용연동_용연마을_기우제 | 매천야록 | isMentionedIn |
칠석동은행나무 | 칠석동 | isLocatedIn |
Spatial Data
id | latitude | longitude | address |
---|---|---|---|
광주_당산제 | 35.06888129999991 | 126.83710309999964 |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남구 칠석동 120번지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t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당산제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3900 | |
해설 | 한국민속대백과사전 | 당산제 |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1930 | |
참고 | 광주역사문화자원스토리텔링 | 광주당산제 | http://gjstory.or.kr/sub.html?pid=48&formtype=view&code=1186 | |
참고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빛고을문화 | 광주당산제 | http://www.gjsgcc.or.kr/ko/30/view?SEQ=4291&page=1 | |
참고 | 광주광역시 동구문화원 | 광주당산제 | http://gjdonggu.kccf.or.kr/~cu4 | |
참고 | 광주광역시 서구청 공식 블로그 | 광주당산제 | https://m.blog.naver.com/gwangjuseogu/221812076133 | |
참고 | 지역N문화 | 광주당산제 | https://www.nculture.org/sch/totalSearchList.do | |
사진 | 스토리파크 흥미로운가 | 당산나무 | 칠석동은행나무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7/77/D1.jpg |
사진 | 스토리파크 흥미로운가 | 당산나무 | 칠석동은행나무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5/53/D2.jpg |
사진 | 스토리파크 흥미로운가 | 당산나무 | 칠석동은행나무 안내판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c/ce/D3.jpg |
참고 | 무등산웹생태박물관 | 충효동 당산제 | http://mountain.witches.co.kr/sub.html?pid=17&code=151 |
Bibliography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단행본 | 광주광역시남구역사문화인물,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남구문화원, 2015. | 지역N문화 | https://local.nculture.org/omcgb |
단행본 | 김학휘, 「광주의 향토문화, 그 아이콘들」, 광주광역시문화원연합회, 2019. | 지역N문화 | https://local.nculture.org/8qfmc |
논문 | 임동옥 외 1, 「광주광역시 노거수의 생육현황 및 분포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2) : 185~188. 2010. | koreascience | https://koreascience.kr/article/CFKO201023552842514.pdf |
Notes
- ↑ 한국민속대백과사전, 인용일 2022-11-08,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1930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인용일 2022-11-08,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3900
- ↑ 광주역사문화자원스토리텔링, 인용일 2022-11-08, http://gjstory.or.kr/sub.html?pid=48&formtype=view&code=1186
- ↑ 광주광역시 서구청 공식 블로그, 인용일 2022-11-08, https://m.blog.naver.com/gwangjuseogu/221812076133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