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도방언

dh_edu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 한반도의 동남쪽인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사용되는 한국어의 방언.
  • 사용 인구 약 2천만 명 : 경상도 거주 인구(약 1,300만 명) + 다른 지역 이주 경상도 출신 인구 + 국외 거주 재외국민

특징

상대 높임법

일반적

구분 하이소체 해예체 하소체(남부) 하게체 해라체
서술 -(스)ㅂ니다~더, -(스)ㅂ디다~더 -어예, -어요 -요/-소 -네, -(이)ㄹ세 -다/(느)ㄴ다, -어
의문 -(스)ㅂ니까~꺼, -(스)ㅂ디까~꺼 -어예, -어요 -요/-소, -(느)ㄴ교(동부) -(느)ㄴ가/ㄴ강/ㄴ고/ㄴ공 -나/노/(이)가/(이)고, -어
명령 -(으)이소 -(으)세예/-세요, -어예/어요 -(으)소 -게 -어라, -어
청유 -(으)입시다~더 -(으)세예/-세요, -어예/어요 -(으)ㅂ시다~더 -세 -자, -어
  • 하소체와 하게체는 사용자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어 소멸 위험이 있다.

경북 북부 지역

구분 하이소체 해요체 하오체 하게체 해라체
서술 -니더/-(으)이더, -디이더, -(이)ㄷ시더 -어요, -어예 -(으)오/소, -(이)요 -(으)이, -네, -(이)ㄷ세 -다/(느)ㄴ다, -(이)ㄷ다, -어
의문 -니껴/-(으)이껴, -디이껴 -어요, -어예 -(으)오/소, -(이)요 -ㄴ가/ㄴ강/ㄴ고/ㄴ공, -(느)ㄴ게나 -(으)나/-나/노/(이)라/(이)로/(이)가/(이)고, -어
명령 -(으)소, -(으)이소 -(으)세요/세예, -어요/어예 -(으)오 -게 -어라, -어
청유 -(으)시더 -(으)세요/세예, -어요/어예 없음 -세 -자, -지/제, -어
감탄 -없음 -어요, -어예 없음 없음

-어라, -구나, -괴, -네, -(으)ㄹ세, -(이)ㄷ세

약속 -(으)ㅁ시더 -(으)ㄹ게요/ㄹ게예 없음 -(으)ㅁ세 -(으)마, -(으)ㄹ구마/ㄹ거마, -(으)ㄹ게/ㄹ거이
  • 다른 방언과 다르게 감탄/약속형 어미가 다양하다.
  • '-지' 어미는 평서법/의문법 구분이 모호해져 보통 '-지/제'가 교체된다.

음운

  • 음의 높낮이로 단어의 의미가 구분되는 악센트가 있다. 동남 방언에서 특히 또렷하게 나타난다.
  • 말끝의 역양이 거의 확정적으로 내려간다.
  • 'ㅸ'발음이 보존되어 있다.
  • 이중모음의 단모음화
 예) 의사 -> 으사
  • 전설모음화
 예) 고기 -> 괴기, 학교 -> 핵교
  • 'ㅡ'와 'ㅓ'의 구분이 약한 곳도 있다.

억양

  • 한국어 방언 중에도 표준어와의 억양 차이가 특히나 크다. 발화 전반에서 특유의 강세가 두드러져 다른 지역 사람들이 화난 것처럼 격하게 느끼기도 한다.
  • 표준어와 분명히 구별되는 억양 때문인지 외국인이 듣기에도 표준어와 확연하게 비교된다고 한다.

어휘

  • 1910년부터 1945년까지 일제강점기에 들어온 어휘가 꽤 남아있다. 이들 단어는 옛날에 전국적으로 사용했으며 주로 대부분이 중세 일본어와 전혀 대립되지 않는 현대적인 일본어 단어들인데, 산지 지형의 특성상 일부 고립된 지역은 우리말 순화 정책의 손길이 닿지 못했던 영향이 크다.
방언 의미 방언 의미
간디 간덩이 깔쌈하다 시원스럽게 멋지다
까리하다 멋지다 내내 처음부터 끝까지, 자꾸만
단디 단단히 봉다리 물건을 담고 옮기는 데에 쓰는 봉투
반띵 절반으로 떼어낸 것을 나누어 가짐 쌔리 마구, 들입다

북부와 남부의 차이

경상북도

대구

경상남도

부산

차이점

  • 악센트(억양) 차이
    • 경남과 경북의 사투리를 비교하는 데에는 부산과 대구가 가장 효과적이다. 따라서 부산과 대구 사투리를 예시로 둘의 차이를 알아보자.
    • 부산과 대구 사투리의 가장 큰 차이점은 악센트를 어디에 주고 말하는지이다. 부산 사투리는 주로 뒷음절에 악센트를 주는 경우가 많은 반면, 대구는 첫음절에 악센트를 주고 말한다.
  • 'ㅋ'발음 사용 빈도
    • 대구가 부산에 비해 'ㅋ'발음을 더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억양이 더 강하게 느껴질 때가 많다.
예) 뭐라하노(부산) vs 뭐라카노(대구)
   니 와그라는데(부산) vs 니 와카는데(대구)
  • 어휘의 차이
예) 우짜지(부산) vs 우야지(대구)
   대다(부산) vs 디다(대구)
   햄(부산) vs 히야(대구)
  • 관련 영상으로는 아래의 것들이 있다.

참고자료

  • 방언연구회, 방언학 사전, 태학사, 2001
  • 임석규. (2020). 경상도 방언의 특징과 그 보존 방안. 인문학연구, 28, 29-67.
  • 장혜진. (2022). 경상도 방언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의 현황과 과제. 영주어문, 50, 105-136.

기여

  •  : 자료조사 및 페이지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