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운동

dh_edu
페퍼민트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12월 10일 (일) 02:23 판 (새 문서: ==3.1 운동== ===정의=== '''1919년 3월 1일을 기해 일어난 거족적인 독립만세운동''' <html><iframe width="873" height="491" src="https://www.youtube.com/embed/q...)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3.1 운동

정의

1919년 3월 1일을 기해 일어난 거족적인 독립만세운동

원인 및 배경

전개

의의 및 한계

*의의

  • 전국적인 범위에서 각계각층을 망라하여 전개된 3·1운동은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켜 나라 안팎에 민족의 독립 의지와 저력을 보여주었다.
  • 중국 상하이에서의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으로 이어졌다.
  • 일제의 통치 방법이 무단통치[1]에서 문화통치[2]로 바뀌게 하였다.
  • 민족의식과 민족정신에 새로운 자각과 힘을 주어 교육을 진흥시켰고, 신문예운동·산업운동이 활성화되게 했으며, 민족 자립의 기초를 다지게 하는 계기를 만들었다.
  • 독립운동의 대중적 기반을 넓혀 독립운동을 체계화·조직화·활성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 민중들은 3·1운동에 참여하면서 민족의식과 정치의식을 높일 수 있었으며, 이민족에 대한 끈질기고 강렬한 독립투쟁정신을 고취할 수 있었다.
  • 1920년대에 다양한 사회운동과 조직이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다.
  • 왕조의 회복을 목표로 한 복벽주의가 청산되고 민주공화제가 독립국가의 목표로 자리를 잡았다.


*한계

  • 일제의 문화통치로 전환은 가혹한 식민통치를 은폐하고 친일파를 육성하여 민족운동을 분열시키기 위한 기만책에 지나지 않았다.
  • 운동의 과정을 통일적으로 지도하는 조직체가 없었기에 지역과 계층에 따라 투쟁의 형태와 강도가 다른 식으로 운동이 분산적으로 전개되었다.
  • 민족대표는 독립청원의 방식에 주력하여 타협적인 태도를 벗어나지 못했고 광범위하게 일어난 민중들의 항일투쟁을 이끌 수 있는 능력과 의지를 지니지 못했다.
  • 헌병의 무력을 보여주는 등 조선인에게 압박을 가해 조선민족의 민족의식을 억누르던 방식.
  • 무단 통치의 한계를 느끼고 조선인들의 불만을 누그러뜨리고자 실시한 식민 통치 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