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송미술관

dh_edu
배고파요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12월 7일 (목) 20:49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간송미술관(전 보화각)

[1]

개요

간송미술관은 서울 성북구 성북로에 위한 우리나라 최초의 사립 미술관으로, 간송(澗松) 전형필(全鎣弼)이 수집한 고미술품을 정리, 연구, 전시하여 일제에 의해 왜곡된 우리의 역사를 바로잡고 민족문화의 자긍심을 되찾고자 설립하였다.

연혁

[2]

  • 간송 전형필은 한국 최초의 근대 건축가 박길룡에게 미술관 건축을 의뢰하였고, 박길룡의 설계를 바탕으로 보화각(葆華閣)1938년 완공되었다.
  • 1962년 전형필이 사망하자 아들인 전성우(全晟雨)와 전영우(全暎雨) 등이 1966년 보화각을 '간송미술관'으로 개칭하고 한국민족미술연구소를 설립하였다. 그리고 1971년 유물들이 일반에 공개되었다.
  • 이때 간송미술관은 미술관은 한국민족미술연구소의 부설기관으로 되어 있어 미술관은 미술품의 보관, 전시 업무를, 연구소는 이를 바탕으로 한 연구 사업을 맡고 있다.

주요 소장품

『훈민정음(해례본)』 (국보 제70호)

훈민정음해례본.jpg
  • 시대: 조선 세종 28년(1446)
  • 이 책은 새로 창제된 훈민정음을 왕의 명령으로 정인지 등 집현전 학사들이 중심이 되어 세종 28년(1446)에 만든 한문해설서이다. 책이름을 글자이름인 훈민정음과 똑같이 ‘훈민정음’이라고도 하고, 해례가 붙어 있어서 ‘훈민정음 해례본’또는 ‘훈민정음 원본’이라고도 한다. 전권 33장 1책의 목판본이나, 앞 2장은 1940년경에 복원된 부분이다.
구성을 보면 총 33장 3부로 나누어, 제1부는 훈민정음의 본문을 4장 7면으로 하여 면마다 7행 11자씩, 제2부는 훈민정음해례를 26장 51면 3행으로 하여 면마다 8행 13자씩, 제3부는 정인지의 서문을 3장 6면에 1자 내려싣고, 그 끝에 ‘정통 11년’(1446)이라 명시하고 있다.
『세종실록』에 의하면 훈민정음은 세종 25년(1443)에 왕이 직접 만들었으며, 세종 28년(1446)에 반포한 것으로 되어있는데, 이 책에서 서문과 함께 정인지가 근작(謹作)하였다는 해례를 비로소 알게 되었다. 또한 한글의 제작원리도 확연하게 드러났다.[3]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 (국보 제68호)

청자상감운학문매병.jpg
  • 시대: 고려시대(12세기 후반)
  • 고려 매병(梅甁)은 중국 송(宋)나라 매병에서 유래된 것이지만, 12세기경에 이르러서는 고려만의 풍만하면서도 유연한 선의 아름다움이 나타난다. 이러한 고려 매병의 양식은 이 작품에서 세련미의 극치를 보여주고 있다.
높이 42.1㎝, 입지름 6.2㎝, 밑지름 17㎝의 크기의 매병의 구연부는 작고 낮으며 밖으로 살짝 벌어져 있다. 어깨는 넓고 당당한 모습을 보여준다. 구연부의 아랫부분에는 꽃무늬를 둘렀으며 굽 위로는 연꽃무늬를 둘렀다. 몸통 전면에는 구름과 학을 새겨 넣었는데, 흑백상감한 원 안에는 하늘을 향해 날아가는 학과 구름무늬를, 원 밖에는 아래쪽을 향해 내려가는 학과 구름무늬를 새겼다.
학의 진행방향을 다르게 표현한 것은 도자기 표면이라는 일정한 제약을 넘어 사방으로 공간을 확산시켜 짜여진 구획으로부터의 자유로움을 추구한 듯하다. 이같은 표현상의 변화 추구와 함께 문양처리의 능숙함에서 고려 도자기의 우수함과 고려인의 창의력을 엿볼 수 있다.[4]

금동계미명삼존불입상 (국보 제72호)

신윤복 필 미인도 (보물 제1973호)

각주

  1. [사진 출처: 간송미술관(澗松美術館) - 한민족문화대백과]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0539
  2. 참고문헌: 간송미술문화재단, "미술관 소개", http://kansong.org/museum/museum_info/
    "간송미술관(澗松美術館) - 한민족문화대백과",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0539
  3. 문화재청,"국보 훈민정음 (訓民正音)",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1,00700000,11&pageNo=1_1_1_0.
  4. 문화재청, "국보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 (靑磁 象嵌雲鶴文 梅甁)",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jsessionid=f1lOWsLb6aJg9mmycm2EfZaEvayhda4Wa81y2E5rcfy73GTGniEgOUANwPxsPNy3.cpawas_servlet_engine1?pageNo=1_1_2_0&ccbaCpno=111110068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