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왕본풀이

dh_edu
마이구미호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12월 10일 (토) 14:15 판 (줄거리)
이동: 둘러보기, 검색
출처:네이버 김땡큐님의 블로그
이승에 오고 보니 해와 달이 둘씩이나 뜨고


정의

제주도 지역의 무당굿에서 구연되는 서사무가로서 모든 굿의 맨 처음에 시행되는 초감제 때에서도 가장 먼저 불리는 부분이다. 초감제의 시작에서는 굿하는 장소를 설명하기 위해 천지혼합 때로 거슬러 올라가서 하늘과 땅이 분리되는 천지개벽, 일월성신의 발생 등 자연현상의 형성과 국토,국가의 형성 등 인문 현상의 형성을 노래한다.천지왕본풀이는 천지가 개벽하는 우주기원과 관련되는 이야기이기 때문에 가장 먼저 불리는 것이다.

줄거리

태초에 천지가 서로 맞붙어 혼합되고 있었는데, 갑자년 갑자월 갑자일 갑자시에 하늘과 땅의 머리가 모두 열리며 천지가 금이 나 개벽하였다. 이때, 하늘에서는 청이슬이 내리고 땅에서는 흑이슬이 솟아나 서로 합수하여 만물이 생겨났다(음양오행)., 먼저 여러 가지 별이 생기고, 다음에 해와 둘이 둘씩이나 생겨났다. 이 때문에 낮에는 더워서 살 수 없고,밤에는 추워서 살 수 없게 되어 있었다.이때, 하늘의 천지왕이 지상에 내려와 총맹부인과 동침을 하고 돌아갔는데, 부인은 아들 형제를 낳았다. 천지왕이 남기고 간 말에 따라 형은 대별왕, 아우는 소별왕이라 이름을 지었다. 형제는 자라나 아버지를 찾아가려고 천지왕이 남기고 간 박씨를 심었다. 그 뒤 박씨는 싹이 나고 자라서 하늘로 줄기가 뻗어 갔다. 형제는 그 박 줄을 타고 아버지를 찾아가니 천지왕은 형인 대별왕에게 이승을, 아우인 소별왕에게 저승을 차지하라고 하였다. 그러나 이승을 탐낸 아우는 서로 경쟁하여 이기는 자가 이승을 차지하자는 내기를 청하였다(인세 경쟁 모티프). 동생은 먼저 수수께끼로 다투었으나 이기지 못하자 한번 더 하자고 졸라서 서천꽃밭에 꽃을 심어 더 번성하게 하는 이(꽃피우기 모티프)가 이승을 차지하자는 내기를 하였다. 이에 천지왕은 대별왕과 소별왕에게 은대야에 심은 꽃나무를 내어 주고서 꽃을 훌륭하게 피운 사람이 이승을 맡고 그리 못한 사람은 저승을 맡으라 했다. 꽃을 가꾸는 데 있어서 대별왕의 꽃은 번성했지만 소별왕의 꽃은 번성하지 못했다. 이에 소별왕이 대별왕에게 잠을 자자고 하고는 대별왕이 잠든 사이에 몰래 대별왕의 꽃을 자기 앞에 가져다 놓고 자신의 꽃을 대별왕 앞에 가져다 놓았다. 잠에서 깬 대별왕은 꽃이 바뀐 것을 알았으나 소별왕에게 이승을 차지하도록 하고 자신은 저승으로 갔다. 소별왕이 이승에 와서 보니 해도 두 개가 뜨고 달도 두 개가 뜨고, 초목이나 짐승도 말을 하고, 인간 세상에는 도둑,불화,간음이 성행하고 있었다. 이에 소별왕은 형에게 이 혼란을 바로잡아 주도록 부탁했다. 대별왕은 활과 살을 가지고 해와 달 하나씩을 쏘아 바다에 던져 하나씩만 남기고, 송피가루 닷 말 되를 뿌려서 짐승들과 초목들이 말을 못하게 하였다. 또한, 귀신과 인간은 저울질을 하여 백 근이 넘는 것은 인간, 못한 것은 귀신으로 각각 보내어 인간과 귀신을 구별하여 주었다.

모티프분석

꽃 가꾸기 모티프와 인세 경쟁 모티프


인세 경쟁 모티프

이 본풀이는 꽃 가꾸기 경쟁에서 이긴 신이 산육신, 곧 ‘생(生)의 신'이 되고 진 자는 죽음의 신이 되는 이야기로 이승의 신과 저승의 신의 대립 구조 속에서 이승이 선망의 대상이 된다. 즉, 생명의 소중함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꽃피우기 모티프

중요한 위치를 가르는 관건이 '꽃피우기 시합'인 것도 중요한 의미가 있다. 인간의 생명= 꽃으로 보는 인식이 내재해 있다.즉, 인간의 생명체계를 식물체와 관련해서 생각했다는 것이다. 또한, 꽃을 피울 때는 여타의 전쟁이나 경제적 업적보다 하나의 대상을 향한 세심한 배려와 정성이 지속되어야 하는 작업이다. 그런 점을 이승의 생명을 다스릴 지도자로서 평가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한 부분이다.

의의와 평가

우주개벽신화(개벽형)

우주개벽신화는 크게 창조형개벽형이 있다. 창조형은 『구약성서』의 「창세기」에 보면 조물주가 우주를 만든다는 이야기가 대표적이다. 무에서 유를 창조해내는 유형이라면, 개벽형은 붙어 있는 천지를 분리하고,이승과 저승,2개의 달과 해,그 밖의 자연질서들을 정리하는 유형이다. 사실 창조형 신화는 기독교가 들어오고 성경이 번역되기 전에는 우리나라에는 잘 알려지지 않은 개념이었고 동양에는 천지개벽이라는 말만 있었을 뿐 천지창조란 말은 없었다. 우주기원의 개벽형과 창조형은 문화권을 구분하는 중요한 준거이며, <천지왕본풀이>는 전형적인 개벽형 우주기원신화에 속한다

가치론적 기능

가치론적 기능이란 사회가 마땅히 추구해야 할 규범과 윤리도덕 등을 제시하는 과정을 설명할 때 찾을 수 있다. 소별왕과 대별왕을 대립시켜 저승과 이승이라는 두 개의 이질적인 세계를 제시하여 역시 선악에 대한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인식론적 기능

인식론적 기능은 앎의 눈을 뜨게 하거나 해결의 과정을 설명하는 내용에서 찾을 수 있다. 페이지의 소개 글에도 나와 있듯 신화는 인간이 자연과학기술이 발전하기 전, 자신 주변에 일어나는 다양한 자연현상과 사회적 관습에 '스토리'를 부여하여 의미를 주고, 즉, 자신이 의미 있는 인생을 살아가고 있다는 점을 부여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이에 왜 하늘의 해와 달은 하나인지? 짐승과 초목은 왜 말을 못하는지 등의 자신 주변에서 일어나는 일에 대해 천지왕본풀이로 설명하고자 한 것이다.

천지왕본풀이 발원지

참고문헌

네이버 지식백과, '천지왕본풀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천지왕본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