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운동

dh_edu
페퍼민트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12월 10일 (일) 02:47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3.1 운동

정의

1919년 3월 1일을 기해 일어난 거족적인 독립만세운동

원인 및 배경

3·1운동은 일제의 폭압적인 식민지 지배에 대한 민족의 저항으로 일어났다.

일본은 조선을 강점한 뒤 군사력을 배경으로 정치·경제·사회·문화의 각 분야에서 폭력적인 억압과 수탈을 자행하는 무단통치를 실시했다.

무단통치 하의 조선총독부는 민족 고유문화 말살, 경제적 지배의 철저화 등을 통해 한민족의 정당한 민족적 저항의 기반을 없애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한국의 독립운동 지도자들은 어쩔 수 없이 중국, 만주, 노령, 미주 등의 해외로 망명하여 독립운동을 전개하거나, 아예 비밀결사를 조직하여 지하로 숨어 기회를 엿보고만 있게 되었다.


*그러던 중, 미국 윌슨 대통령의 '민족자결주의' 원칙이 발표되었다.

한국의 민족지도자들은 윌슨의 민족자결주의 발표가 있자, 이에 의거해 한국 민족의 독립을 호소하고자 노력하였다.


*이들의 움직임에 힘을 더 실어주었던 사건은 일본 도쿄에서 거행된 '2·8독립선언'이었다.

젊은 동경 유학생들이 모여 발표한 「2·8독립선언서」는 일제의 침략행위를 역사적으로 설명하고, 병합이 민족의 의사를 무시한 일제의 군국주의적 야심의 사기와 폭력에 의해 이뤄졌음을 규탄하였다. 또한 식민지 정책의 야만적 성격을 폭로하였고, 일제와 열강은 마땅히 동양평화와 세계평화를 위해 한국을 독립시켜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민족자결주의 발표 이래 국내에서도 독립운동의 분위기가 고조되어가던 중, 고종황제가 갑자기 붕어[1]하였다.[2]

건강하던 고종이 갑작스럽게 중병으로 붕어하자, 국민들은 의문을 품을 수밖에 없었다. 이때 일제에 의해 독살 당한 것이라는 소문이 퍼져 온 국민들은 망국의 설움과 일제에 대한 적개심으로 크게 동요하게 되었다.


1910년 국권 상실 이래 잠자코 기회만을 노리고 있던 민족지도자들은, '윌슨의 민족자결주의 원칙 발표', '재일 유학생의 2·8독립선언', '고종황제의 붕어' 등이 연속적으로 일어나 민족적 항일 의식이 고조되자, 이때가 독립을 꾀할 가장 좋은 기회라고 판단하여, 거족적인 3·1 운동의 계획에 본격적으로 돌입하였다.


전개

의의 및 한계

*의의

  • 전국적인 범위에서 각계각층을 망라하여 전개된 3·1운동은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켜 나라 안팎에 민족의 독립 의지와 저력을 보여주었다.
  • 중국 상하이에서의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으로 이어졌다.
  • 일제의 통치 방법이 무단통치[3]에서 문화통치[4]로 바뀌게 하였다.
  • 민족의식과 민족정신에 새로운 자각과 힘을 주어 교육을 진흥시켰고, 신문예운동·산업운동이 활성화되게 했으며, 민족 자립의 기초를 다지게 하는 계기를 만들었다.
  • 독립운동의 대중적 기반을 넓혀 독립운동을 체계화·조직화·활성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 민중들은 3·1운동에 참여하면서 민족의식과 정치의식을 높일 수 있었으며, 이민족에 대한 끈질기고 강렬한 독립투쟁정신을 고취할 수 있었다.
  • 1920년대에 다양한 사회운동과 조직이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다.
  • 왕조의 회복을 목표로 한 복벽주의가 청산되고 민주공화제가 독립국가의 목표로 자리를 잡았다.


*한계

  • 일제의 문화통치로 전환은 가혹한 식민통치를 은폐하고 친일파를 육성하여 민족운동을 분열시키기 위한 기만책에 지나지 않았다.
  • 운동의 과정을 통일적으로 지도하는 조직체가 없었기에 지역과 계층에 따라 투쟁의 형태와 강도가 다른 식으로 운동이 분산적으로 전개되었다.
  • 민족대표는 독립청원의 방식에 주력하여 타협적인 태도를 벗어나지 못했고 광범위하게 일어난 민중들의 항일투쟁을 이끌 수 있는 능력과 의지를 지니지 못했다.
  • 임금이 세상을 떠나는 것.
  • 덕수궁에서 기거하던 고종황제는 당시 68세로 건강한 편이었다.
  • 헌병의 무력을 보여주는 등 조선인에게 압박을 가해 조선민족의 민족의식을 억누르던 방식.
  • 무단 통치의 한계를 느끼고 조선인들의 불만을 누그러뜨리고자 실시한 식민 통치 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