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익(李容翊)

dh_edu
페퍼민트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12월 9일 (토) 22:54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이용익(李容翊)

한 줄 소개

대한제국 때, 내장원경, 탁지부대신, 중앙은행 총재 등을 역임하여 근대 개혁에 기여한 관료.

이용익

생애


  • 1854년[1] 함경북도 명천에서 태어났다.
  • 서민의 아들로 태어나 소년 시절에 서당에서 수학을 했다.
  • 그 뒤 고향을 떠나 한때 보부상으로 행상하여 자금을 모았고, 함경남도 단천에 와서 금광에 투자하여 거부가 되었다.
  • 고종의 신임을 받아 단천[2] 감역, 탁지부대신, 서북철도국총재, 중앙은행총재 등을 역임하면서 근대 개혁에 기여하였다.
  • 1904년 러일전쟁 이후 일본으로 압송되었다가 다시 돌아왔다.
  • 돌아와서는 민족의 역량을 키우기 위해 자비로 보성소학과 중학 그리고 보성전문학교[3]를 설립하여 인재 키워내기에 힘썼다. 그 외에도 편집소 보성관, 인쇄소 보성사 등을 설치하여 민족계몽에 힘쓰기도 하였다.
  • 1905년 을사조약이 강제 체결되어 국권이 박탈되고 보호정치가 시작되자, 육군부장이라는 직명으로 고종의 밀서를 들고 프랑스로 원조 요청을 하러 향하던 중 중국 산둥성옌타이항에서 6월에 일본 관헌에게 발각되었다. 이 때 밀령의 책임을 추궁 받을까 염려한 조선 정부에 의해, 일체의 모든 공직에서 파면되었다.
  • 그 후 해외를 망명하며 구국운동을 이어갔지만, 끝내 뜻을 이루지 못하고 1907년[4] 블라디보스토크에서 객사하였다.


러일전쟁 이전 - 고종의 신임

이용익은 고종 황제의 총애와 신임을 독차지한 가장 대표적인 인물이었다. 이러한 절대적인 신임으로 인해 대한제국의 돈줄을 맡긴 것도 맞지만, 그 임무를 훌륭히 수행하였기 때문에 총애를 받은 것이기도 하였다.

그가 처음으로 최고 권력에 다가서게 된 것은 임오군란 때 충주로 피신한 명성황후와 민영익 사이의 연락을 맡았기 때문이었다.

그가 단천 감역으로서 광산에서 채굴한 금덩어리를 고종에게 상납하여 신임을 얻었다는 이야기도 전해져 오고 있다.

그가 출세하게 된 가장 큰 계기는 아관파천 이후였다. 당시 함경도 출신자들이 상당수 등용되면서 정국의 한 축을 구성하게 되었는데 이 가운데 이용익도 끼어 있었던 것이다. 그리하여 1896년 8월에는 평안북도 관찰사에 임명되었으며 이듬해 3월에는 중추원 의관에 등용되었다.


러일전쟁 이전 - 고종의 신임으로 인한 시련

하지만 그는 이렇게 벼락출세를 하게 되면서 만만치 않은 반발 역시 감당해야 했다.

1897년, 이윤용과 한규설 등의 대신들을 모함했다는 이유로 그는 유배를 가야만 하였다. 이는 그가 반발에 부딪힌 첫 번째 사례라고 할 수 있다.[5]

1900년 이용익은 중추원의장 정낙용의 탄핵을 받았으며, 이듬해 1월 21일에는 의정부 참정 조병식의 공격을 받았다.

가장 심한 공격은 1902년 11월에 있었다. 당시 의정 윤용선 등 여러 대신들이 경운궁 대한문 밖에 연좌하면서 이용익에게 죄 줄 것을 강력히 요구하였다. 당시에는 고종 황제조차도 그의 신변을 보호하기 위해 러시아 공사관으로 그를 피신시킬 수밖에 없을 정도였다. 하지만 결국 이것으로도 사태는 진정되지 않았고, 이용익은 안남미 구입이라는 명목으로 러시아 군함을 타고 당시 러시아가 장악하고 있던 여순으로 건너가야만 했다.

이용익은 왜 이렇게 심한 공격을 받아야만 하였을까?

정낙용은 그가 북쪽 변방의 천한 출신임에도 언사와 거동이 대단히 오만하다고 공격하였다. 그의 벼락출세를 질투한 것이다.

이용익이 공격당한 이유로는 한 가지가 더 있다. 이용익이 맡은 여러 역할 가운데 하나가 감찰이었다. 그는 당시 세금 상납을 일부러 하지 않고 있거나 세금 상납이 밀린 지방관이나 관찰사에게는 얄짤이 없었다고 한다. 이밖에도 관리들의 비리를 적발하여 처벌을 요구하는 것이 그의 역할이었다. 그는 이렇게 대신들의 미움을 살 수밖에 없는 일들을 도맡아 왔고, 1903년에는 그가 입원한 병원에서 폭탄이 터지는 사태까지 발생했다고 한다.

  1. 철종 5년
  2. 금광이 있던 곳. 그는 이곳의 금광을 관리했다.
  3. 현 고려대학교의 전신
  4. 고종 44년
  5. 당시 일본공사관에서는 대신과 총신 사이의 알력 때문에 이 사건이 일어났다고 본국에 보고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