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충식 가옥

dh_edu
배고파요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12월 9일 (토) 20:20 판 (김제 종신리 한·일 절충식 가옥)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현재 대한민국에 소재한 근대건축물들 중 두 개 이상의 주거 양식이 절충된 가옥들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목록

박노수가옥(박노구미술관)

  • 박노수 가옥은 1938년대 지어진 절충 가옥으로 한옥과 양옥의 건축기법을 포함하여 중국식 건축기법이 사용되었다. 자세한 사항은 항목 참조

청주 문화동 일·양 절충식 가옥

청주 일양절충식가옥.jpg[1]
  • 국가등록문화재(2002년 2월 28일 지정)
  • 시대: 1924년
  • 소재지: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대성로122번길 18 (문화동)
청주시 상당구 대성동과 문화동의 경계가 되는 언덕 아래에 있으며 건립 당시 45도 경사의 물매 지붕을 갖고 있어, 청주지역의 어느 장소에서도 쉽게 눈에 띄는 뾰족 양철지붕이었다. 양식 및 일식 주택의 평면구성을 보이며, 지붕의 사면이 박공 형태로 이루어진 ‘+’자형 사모임 지붕으로 이루어진 주택건물로써, 평면형식에 있어서 홀형과 중복도형이 병용된 당시로서는 보기 힘든 독특한 형식의 주택이었다.
청주 문화동 일·양 절충식 가옥은 1924년 모 은행장의 사택으로 건립되었으며, 1950년 후반부터 청주YMCA(1948년 2월 15일 창립)가 이곳에서 20여 년간 사업을 전개하였던 곳이다. 1955년 11월 9일 청주 YMCA에서 미군 C.A.C의 원조자재를 얻어다 강당을 신축했으며, 1999년 5월 10일 1층 화장실을 증축하였고 현재는 우리예능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2002년 2월 28일 등록문화재 제9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국가등록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복도를 통하여 다다미방들이 연결된 일식주택에서는 보기 힘든 1920년대에 소개된 방갈로 풍의 이국적 외관을 갖고 있어, 주거사를 연구하는 데 있어 중요한 사례가 될 것이다.[2]

대전 대흥동 일·양 절충식 가옥

대전일양가옥전경.jpg[3]
  • 국가등록문화재(2008년 07월 03일 지정)
  • 시대: 1929년경
  • 소재지: 대전광역시 중구 문창로 119-15 (대흥동)
  • 소유주: 대전광역시 중구청
2008년 7월 3일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1929년 철도국장 관사로 지은 것으로 추정되는 목조 주택이다. 대전 지역 근대건축물 중 개인 소유 주택으로는 가장 오래된 집이다. 뾰족집이란 이름은, 지붕의 경사가 급한 박공형일 뿐 아니라 거실 부분의 지붕이 원뿔 모양이어서 붙은 것이다. 규모는 대지 449㎡, 연면적 119㎡ 정도이다.
공간구성은 1920년대 일본 가옥의 방식을 따랐다. 그런데 미리 유리를 끼워서 짠 창, 남쪽으로 난 원형의 거실 등 세부적인 꾸밈은 외형은 중세 서양의 특성을 절충하였다. 평면상 원형으로 돌출되어 있는 거실의 원뿔형 지붕 부분은 외관상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건축자재는 대부분 일본에서 가져온 것으로 사용했다.
아래층에 방 4개, 위층에 방 2개 등 모두 6개의 방과 부속실로 구성되어 있다. 2층방은 짚을 두껍게 깐 일본식 다다미방이 그대로 남아 있고 동(銅)으로 짠 문틀이 그대로 남아 있는 등 건축 당시의 형태를 거의 그대로 간직하고 있어 자료적 가치가 많은 주택이다. 이대길이 소유하고 대전광역시 중구에서 관리한다. [4]

김제 종신리 한·일 절충식 가옥

[[파일
  • 국가등록문화재(2005년 12월 09일 지정)
  • 시대: 1936년경
  • 전북 김제시 죽산면 종남길 233 (종신리)
1936년경 전라북도 김제에 있었던 일본인 농장인 이시카와[石川] 농장에 지어진 주택이다.
목조 2층 건물로 시멘트 기단 위에 주초를 놓고 사각 기둥을 세웠다. 기둥의 두께는 약 130~140㎜로 전통 한옥의 목구조에 비하여 가는 기둥을 사용하였다. 건물의 외벽은 시멘트 모르타르로 마감되었고, 그 위에 페인트를 칠하여 전통 한옥의 수법과는 구별된다. 지붕은 홑처마 팔작지붕으로 시멘트 기와를 올렸다. 1층은 정면 5.5칸, 측면 4칸이며, 2층은 정면 5칸, 측면 3칸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관과 전체적인 공간 구성은 처음 신축 당시의 형태가 잘 남아 있다. 외관에서는 창문이 알루미늄 섀시로 바뀐 것 이외에는 별다른 변형을 찾아보기 어렵다. 반면 내부 공간은 입식 생활에 맞추어 부엌 등의 공간이 개조되었다.
김제 종신리 한·일 절충식 가옥은 한옥과 일본식의 가옥 형태가 혼합되어 있으며, 보존 상태가 좋은 편이다. 외래 건축의 영향과 생활 양식의 변화에 따라 전통적인 한국의 주거 양식이 근대적으로 변화해 가는 과정을 보여 주는 건물로서 건축적·주거 문화적인 가치가 높다.[5]

참고문헌

각주

  1. 사진 출처: "청주 문화동 일·양 절충식 가옥",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C%B2%AD%EC%A3%BC_%EB%AC%B8%ED%99%94%EB%8F%99_%EC%9D%BC%C2%B7%EC%96%91_%EC%A0%88%EC%B6%A9%EC%8B%9D_%EA%B0%80%EC%98%A5
  2. "청주 문화동 일·양 절충식 가옥 [淸州文化洞日洋折衷式家屋]",네이버 지식백과(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219054&cid=40942&categoryId=33084
  3. 사진 출처: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2_0&ccbaCpno=4412503770000
  4. "대전 대흥동 일·양 절충식 가옥 [大田 大興洞 日·洋 折衷式 家屋]", 네이버 지식백과(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286434&cid=40942&categoryId=33080
  5. "김제 종신리 한·일 절충식 가옥 [金堤宗新里韓-日折衷式家屋]", 네이저 지식백과(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588786&cid=51947&categoryId=550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