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마이구미호
※ 개인 분류 페이지에 다음 사항을 기록하세요. * 밑에 나타나는 자신의 기여 기사에 대해 전체적, 부분적으로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 * '본문 속 하이퍼 링크' 또는 '관련항목 하이퍼 링크' 작성 및 추가를 통해 어떠한 스토리를 만들어냈는지
목차
중간고사
전반적인 기여사항
신화,전설,민담으로 세분되는 한국 설화 중에서 ‘신화’를 중심으로 기획하자는 결단을 내리고 조원들의 의견을 모아 전체적인 방향 조절에 기여함.
콘텐츠 주제,기획의도를 구상하여 작성. 클래스 설정과 설명란 구상, 신화 창작 기반물 조사 및 노드 작성,수강중인 신화 관련 교양을 바탕으로 전문성 보완에 힘을 기울임.
콘텐츠 주제
각종 컨텐츠의 모티브가 되고자 하는 우리 천년왕조의 주제를 전달하기 위해 가장 유명한 신화인 그리스,로마 신화라는 비교군을 설정하여 전체적인 내용을 고안.
기획의도
최근 듣고 있는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박종천 교수님의 ‘종교와 영화’에서 신화를 만드는 것이 인간의 본성이라는 점과 우리 인간은 바로 그 이야기를 통해 삶에 의미를 부여하여 성스럽게 만드는 이야기하는 인간, ‘호모 나란스’라는 개념을 인용.
본인이 서두를 이런 식으로 열었던 만큼 학우들의 다양한 의견을 메신저로 받아보고 한 문단으로 구성하기 위하여 ‘신’을 다루면서도 결국 인간됨을 고민하는 인간에 대한 스토리가 신화임을 부각하고자 의도 설명 문단을 구성.
클래스
온톨로지 시스템을 이용해 알기 쉽게 모음집을 정리하기 위해서는 학우님들께서 준비하신 다양한 설화 관련 자료 중 어느 분야에 더 집중할 것인가 과감한 결단이 필요하다고
생각해 이를 자처함. 본인은 한국 설화에 나타나는 ‘도깨비’등 캐릭터 위주로 자료를 조사하였고 다른 학우님들도 전설,민담 등등이 많았지만 모든 것은 균일한 비중으로 담
기에는 가시성 있게 프로그램이 연출되지 않는다는 것을 깨달음. 이에 신화에 집중하고 각자의 자료는 신화 중 무속신화,건국신화 등으로 자연스럽게 녹아내자는 의견에 동조
함. 따라서 클래스 구성이 매우 중요했는데 특히 발원지와 이야기가 벌어지는 독립적인 허구적 시공간,즉 이야기 자체의 시공간을 분류하여 ‘저승’등의 한국 신화적 요소를
반영하자는 의견을 제시. 우리 프로젝트의 목표인 신화 기반 창작물 노드를 찾아 작성함. 각각의 클래스가 페이지에서 주는 의미와 정의를 간단히 설명함. 생각보다 신화 자
체가 생소하거나 신화와 신화 기반 창작물을 묶어서 정리해놓은 참고 자료를 찾기 힘들어 애를 먹음.
마인드맵
마인드맵을 작성하는 과정이 곧 앞서 말한 클래스를 구성하는 작업의 아날로그 버전이었으므로 여러번 시행착오를 거치며 끊임없이 조원들의 아이디어와 자료조사가 조화
되는 세부 주제를 잡기 위해 노력함.
참고문헌
앞서 ‘호모 나랜스’를 기획의도에 인용한 점이나, 프로그램의 방향성에 대해서 박종천 교수님의 ‘종교와 영화’ 수업의 영향을 받았으므로 해당 강의의 교재를 참고문헌으로
제시함.
기말고사
전반적인 기여사항
기말고사 최종 페이지를 위해 담당 개인 페이지였던 마고할미, 천지왕본풀이, 김수로신화, 김알지신화, 삼승할망본풀이를 정리하고 소개 페이지에서 중간고사 페이지에는 없었던 건국신화 타임라인을 만들 것을 피력했다. 건국신화는 비교적 인물의 생애와 건국시기까지 다른 신화들에 비해 나와있는 편이라 용이할 것이라는 의견이었다. 조원들끼리 협의를 위해 약 2시간 가량의 줌 회의를 주재하여 진행하였으며 타 조원분들 페이지 개선을 위해 활발한 피드백을 하였다. 참조 논문 게시나, 하이라이트, 하이퍼링크 등을 이용하여 시각화를 높이고, 건국신화 인물별 타임라인 추가 등등의 의견을 내었다. 조별 발표날에는 앞부분에 발표를 맡아 대본 작성 후 발표하였다.
마고할미
가장 먼저 만든 페이지였기 때문에 총 5시간 가량 소요해서 상당히 의욕 넘치게 완성한 애정 어린 페이지이다. 정의 부분에는 마고할미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덧붙이고 어떤 종류의 신화인지 하이라이트를 쳐서 시각화했다. 특징란에는 지역별로 다양한 양상을 띄는 마고할미 설화를 지역별로 세부 설명을 덧붙이기 전에 총체적인 대표적 특징을 서술했다. 역사적 기록에서는 구전문학의 특성을 띄는 신화가 언제 처음 공식적인 문헌에 등장하였는지 기술하였다. 지역 곳곳의 마고할미 설화 중에서 제주특별자치도의 설문도 할망에 크게 공을 들였다. 할망의 일화를 줄거리 식으로 정리하고 마고할미가 큰 몸집 때문에 제주도 전체에 걸쳐 빨래했다는 모티프에 흥미를 느껴 지도로 시각화하였다. 다양한 발원지를 조사하는 것도 좋은 접근이지만, 신화라는 소재의 특성을 살려 독특한 시각화를 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있었기 때문에 할망이 어디에 엉덩이를 두고 어디에 다리를 두고 빨래했는지를 지점을 찍어서 시각화했다. 또한, 서구암 마고할미는 상당히 비극으로 끝나는 이야기인데 왜 이런 식으로 끝을 맺어야 했는지 해석을 참조하여 여성신의 몰락, 유교의 등장으로 무속 신앙의 몰락 등등으로 나누어 주석에 세부 사항을 추가했다. 그러한 해석적 관점에서 마고할미의 위상과, 신화는 다양한 모티프를 수용하여 창조되고 이 모티프별로 타 문학에 흡수된다는 특성을 살려서 꼭 모티프는 찾아보기 쉽게 구분하고자 노력했다.
천지왕본풀이
정의부분에는 천지 개벽과 우주 기원이라는 신화의 주제를 볼드체하여 시각화했다. 시각화보다는 줄거리에 신경을 썼는데 특히 등장인물 볼드체와 인세 경쟁 모티프와 꽃 피우기 모티프가 어느 부분에 등장하는지를 하이라이트 쳐서 강조했다. 개인 페이지를 작성하면서 특히 꽃 피우기 모티프 등이 반복된다는 것을 깨닫고 모티프별로 정리한 페이지를 따로 만들어서 하이퍼링크를 걸어두면 좋겠다는 의견을 전체 회의에 제출하여 실제로 추가함. 우주 개벽신화의 분류와 평가에 대해 서술하고 그 외 다양한 문학적, 신화적 해석을 추가하여 완성도를 높였다. 또한, 천지왕본풀이가 제주도에서 발원했음을 구글맵으로 시각화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