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을 보여드립니다

dh_edu
하입보이😎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12월 10일 (일) 19:16 판 (여담)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1967년『문학(文學)』 1월호에 게재되었고, 1971년 일지사(一志社)에서 간행한 같은 제목의 창작집에 수록된 단편소설이다.

작가

이청준(李淸俊). 1939년 8월 9일 출생. 1965년 <퇴원> 으로 등단하였다. 1978년 이상문학상, 1979년 중앙문예대상, 1990년 이산문학상을 수상하였다.

대표작으로는 <당신들의 천국>, <병신과 머저리>, <눈길>, <소문의 벽>, <황홀한 실종> 등이 있다.

줄거리

화자인 나는 친구인 그가 곤궁하여 시계나 트랜지스터 또는 책 등을 훔쳐 가는 것을 알고 있다. 그의 이런 버릇은 다른 친구들도 알고 있다. 그는 영국 유학을 제대로 끝내지 못하고 돌아와 직업도 없이 어렵게 지낸다.

그런데 어느 날 그는 종로에서 별을 볼 줄도 모르는 사람이 망원경을 설치하여 놓고 5원씩 받고 구경시키는 것을 목격하고는 그것을 사버린다. 그리고 하숙방 뒷창을 통하여 밤하늘에 망원경을 조준하여 놓는다.

어느 날 내가 그 조준된 망원경을 통해 별을 보려고 하자 친구는 “나는 지금 아무 것도 가진 게 없잖아. 제발 별만이라도……별만이라도 그냥 내 것으로 놔둬 줘.” 하며 혼자서만 별을 본다.

그 뒤 그는 다시 영국으로 떠나게 되었으며, 친구들이 송별회를 열어준다. 그날 밤 그는 친구와 만나 한강가에서 토성을 관찰하게 된다. “자세히 보면 별의 주위에 고운 테 같은 것이 있지.” 하며, 더 좋은 망원경으로는 목성도 볼 수 있다고 그는 말한다.

여기서 ‘별’은 시대의 어둠을 이기는 빛이고 가치이지만, 현실적으로는 어둠을 밝힐 수 없는 이상적 가치 또는 아름다움을 상징하고 있다. 강가에 나온 사람들의 침묵도 시대의 강압을 암시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자살한 남자의 유서에 관하여 “살아 있는 사람들끼리도 잘 알 수 없는 말을” 어떻게 “살고 싶어”하는 “사람이 알아들을 수 있는 줄 아는가.”라는 반문을 던지는 장면이 나온다. 작가는 이러한 장면 제시를 통해 의사소통이 폐쇄된 당시의 시대적 특성을 명징하게 형상화하고 있는 것이다.

특징&평가

대학 강사인 화자가 천문학도로서 영국 유학 도중에 귀국한 친구의 실패한 모습을 다루고 있다. 실패한 지식인의 소외의식을 나타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어둠 속의 밝음의 논리와 소통의 필연성 등에 관한 시적 형상성에 가치가 있으며, 특히 시대를 증언적으로 압축한 수작으로 평가된다.

현실에 어울리지 않는 친구의 비정상적인 행동은 지나친 순수지향성 때문일 것이라는 분석이 있다.

여담

관련 자료가 없어 조사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었다.

작가인 이청준(李淸俊)은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출제하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매우 좋아하는 소설가 중 한 명이다. 역대 수능과 모의평가를 모두 합쳐서 이청준의 작품을 무려 18번이나 출제했다. 그의 작품이 문학사적 가치가 높은 것도 있지만 시원시원한 문체, 뚜렷한 주제와 집필의도 덕분에 깔끔한 문제를 만들기가 용이해서 자주 출제되었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