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델

dh_edu
Hwkhmk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12월 7일 (목) 00:00 판 (관련 영상)
이동: 둘러보기, 검색

베델

영국인 어니스트 베델

생애

1872년 11월 3일에 태어나서 1909년 5월 1일에 사망한 베델은 1904년에서부터 1909년까지 대한제국에서 활동한 영국 출신의 언론인이자 신문기자이다. 베델은 특별한 이력의 소유자라고 할 수 있다. 영국에서 태어난 그는 사업으로 일본에 오게 된 아버지 토마스 베델을 따라 17세에 일본에 왔다. 그 이후 15년 동안 일본 고베에서 형제들과 무역업에 종사했다.

그러나 사업가로서의 자질은 부족하였고 오히려 언론인에 더 부합하는 인물이었다. 제물포에서 발발한 러일전쟁은 서방 세계의 큰 관심사였기에 많은 기자들이 파견돼 취재 경쟁을 벌였고, 베델도 그 중 한 명이었다. 그는 한국에 온 직후에 있었던 ‘경운궁의 화재’를 다룬 기사로 첫 특종 기사를 냈다. 베델은 데일리 크로니클 특파원 생활을 짧게 마감했는데, 친일 성향의 기사를 싣는 신문사의 방침을 따르지 않았다는 이유로 해임되었기 때문이다.

이후에 베델은 1909년 5월 1일 심장비대증으로 인해 사망하였다. 그는 죽으면서 양기탁의 손을 잡고서 "나는 죽을지라도 신보는 영생케 하여 한국 동포를 구하라"고 유언하였다. 서거 후, 양화진 외인 묘지에 안장되었으며 해외 독립유공자로는 처음으로 국가유공자 명패를 손녀인 수잔 선생의 자택에 달게 되었다.

특징

관련 영상



베델은 1904년 발발한 ‘러일전쟁’ 취재를 위해 영국 ‘데일리 크로니클(Daily Chronicle)’ 특파원으로 한국에 첫 발을 디뎠다. 일본의 한국 침략에 대한 야욕이 본격화 되는 것을 지켜보던 베델은 특파원을 그만두고 1904년 7월 18일 서울 전동(지금의 종로구 수송동)에서 발행인 겸 편집인으로 ‘대한매일신보’를 창간했다.

독립운동가이자 언론인이었던 양기탁 선생이 대한매일신보 총무를 맡았고 애국지사들은 적극적인 지원을 했다. 한국어와 영어로 발행된 대한매일신보의 주필로는 황성신문의 주필이자 훗날 제2대 대한민국임시정부 대통령을 역임한 박은식(1859~1925) 선생이 이름을 올렸고 독립운동가이자 사학자인 신채호(1880~1936) 선생, 1909년 구국의 명문으로 꼽히는 논설 ‘한국동포에게 고함’이란 논설을 남긴 최익 등이 필진으로 활약했다.

대한매일신보와의 연관성

펜으로 일제에 맞선 베델의 사진이다.


대한매일신보는 위기의 국난을 타개하고 배일사상을 고취시켜 국가보존의 대명제를 실현하고자 창간된 것으로 고종의 은밀한 보조를 비롯, 민족진영 애국지사들의 적극적인 지원을 받아 출발하였다. 그 체재는 종전의 것보다 큰 세로 40㎝, 가로 27㎝로서 창간 당시에는 타블로이드판 6면으로 국문 2면, 영문 4면이었다. 이러한 편집형태를 취한 것은 긴급한 사실을 보도할 수 있는 일간신문이 필요하였고, 영국인과 합작한 한영합판(韓英合辦)의 조직체라는 것을 내세우기 위한 것이었다.

영국인을 내세운 이유는 1904년 2월 러일전쟁을 일으킨 일본군이 우리나라에 불법주둔하면서 전쟁을 이유로 대한제국의 민간신문에 대한 사전검열을 강행하였는데, 이러한 일본의 검열망을 뚫을 수 있는 길은 당시 일본과 군사동맹을 맺고 있던 영국인 명의로 신문을 발행하는 길뿐이었기 때문이었다.

창간 이듬해인 1905년 8월 11일부터는 다시 국문판과 영문판을 분리시켜 따로 발행하였다. 창간 당시 순한글로 만들었던 국문판은 국한문을 혼용하여 만들었고, 영문판은 『코리아 데일리 뉴스(The Korea Daily News)』라 하였는데 대내외에 많은 구독자를 얻었다. 그러나 국한문판을 이해하지 못하는 독자들을 의식하여 1907년 5월 23일 순한글판 대한매일신문을 새로 창간하여 결국 국한문판, 영문판, 순한글판 등 세 신문을 발행하게 되었고 발행부수도 1만 부를 넘었다.

이처럼 이 신문이 발전된 것은 일본군의 사전검열을 받지 않는 유일한 신문이라는 것과 그 보도와 논평이 사실에 근거한 정확한 것이라는 데 연유하였다. 당시 일본군과 싸우는 우리의 의병에 대하여 사전검열에서는 이를 비도(匪徒) 혹은 폭도(暴徒)로 표현하도록 강요하였으나, 대한매일신보계의 세 신문은 한결같이 사실 그대로 의병운동을 보도하였다.

이와 같은 보도는 당시 우리 국민에게 커다란 용기와 위안을 주었다. 이와는 반대로 통감부 초대 통감 이토[伊藤博文]는 한 연설장에서 “……한국 내 신문이 가진 권력이란 비상한 것이다. 이토의 백 마디 말보다 신문의 일필(一筆)이 한인(韓人)을 감동하게 하는 힘이 매우 크다. 그 중에도 지금 한국에서 발간하는 외국인의 대한매일신보는 확증이 있는 일본의 제반 악정을 반대하여 한인을 선동함이 연속부절하니 이에 관하여는 통감이 책임을 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을 정도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