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명왕신화"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발원지) |
(→발원지) |
||
44번째 줄: | 44번째 줄: | ||
==발원지== | ==발원지== | ||
− | <html> <iframe src="https://www.google.com/maps/d/u/0/edit?mid=1vZuSoIp5_fkhowtgoz7A2YhSuKkd-lI& | + | <html> <iframe src="https://www.google.com/maps/d/u/0/edit?mid=1vZuSoIp5_fkhowtgoz7A2YhSuKkd-lI&ll=42.716433636843846%2C125.0279871931265&z=7" width="640" height="480"></iframe> </html> |
==활용 양상== | ==활용 양상==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2022년 12월 9일 (금) 18:53 판
동명성왕 東明聖王 | |
---|---|
인물 | 동명성왕 東明聖王 |
신상정보 | |
이름 | 고주몽 |
별호 | 동명왕, 추모왕 |
원어 이름 | 東明王, 東明聖王 |
국가 | 고구려 |
재위 기간 | B.C. 37년 ~ B.C. 19년 9월 (음력) |
출생 | B.C. 58년 4월 (음력) |
사망 | B.C. 19년 9월 (음력) |
부친 | 해모수 |
모친 | 유화부인 |
배우자 | 예씨부인, 소서노공주 |
정의
고구려의 시조인 동명왕에 관한 시조이다.
문헌
『동국이상국집』의 「동명왕편」에 수록되어 있으며, 그 밖에 『삼국유사』, 『삼국사기』, 「광개토왕릉비문」의 서두, 『동국여지승람』의 평양조,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 등에 수록되어 있다.
줄거리
하늘의 신 해모수(解慕漱)가 하늘에서 내려와 강물의 신 하백(河伯)의 장녀 유화(柳花)와 정을 나누었다. 이후 해모수는 홀로 하늘로 올라가고 하백은 노하여 유화를 귀양보낸다.
부여의 금와왕이 유화를 불쌍히 여겨 그를 궁궐로 데려왔는데, 유화의 배에 햇빛이 계속해서 비치더니 유화가 잉태하게 된다. 유화가 커다란 알을 낳자, 왕은 이를 불길하게 여겨 빼앗아 버리게 하나, 짐승과 새들이 알을 보호하였다. 왕이 직접 그 알을 깨뜨리려고도 하였으나 깨지지 않았고 결국 알을 다시 그 어머니에게 돌려주었다.
유화가 그 알을 따뜻하게 감싸 두었는데, 곧 알에서 사내아이가 태어났다. 아이는 날 때부터 남달랐고 특히 활을 잘 쏘아서 이름을 활 잘 쏘는 사람이라는 뜻의 '주몽(朱蒙)'이라고 불렀다. 일곱살 때는 주몽이 스스로 활과 화살을 만들어 쏘았는데 백발백중이었다.
그가 금와왕의 일곱 아들보다 재능이 뛰어나자 태자 대소를 비롯한 다른 왕자들은 그를 시기하였고, 주몽을 해하려고 했다. 이에 주몽은 오이, 마리, 협보 세 친구와 함께 부여를 떠나 쫓아오는 이들을 피해 도망했으나, 엄리대수(淹利大水)에 가로막히게 되었다. 이에 주몽이 물을 향해서 “나는 천제의 아들이며, 강의 신의 외손자이다. 지금 나를 쫓는 자가 뒤를 따르니 그 위험이 급한 데 강을 건널 수 없으니 도와 달라.”라고 하니, 자라와 물고기가 물 위로 떠올라 다리를 만들어 주었다. 주몽이 무사히 강을 건너자 물고기와 자라는 다시 돌아가 버렸고, 추격자들은 강을 건너지 못해 더이상 쫓아오지 못하였다.
남쪽으로 내려간 주몽은 졸본(卒本)에 정착하여 고구려를 건국한다.
분석
① 천손하강 모티프가 나타난다. 주몽은 하늘의 신인 해모수를 아버지로 삼아 초대 왕권의 정당성을 마련하였다. 또한 어머니 유화가 잉태할 때에 하늘에서 내려온 햇빛이 계속 유화의 배에 비쳤다는 점도 주몽과 하늘과의 연관성을 나타낸다.
② 난생신화 모티프가 나타난다.
③ 주몽은 하늘의 신 뿐만 아니라 강의 신 하백의 딸인 유화를 어머니로 삼음으로서 물의 세력도 자기 편으로 끌어들인다.
④ 활쏘기 능력은 고대 사회에서 중요한 능력이었다. 주몽은 활 쏘기의 명수로, 영웅적 면모가 더욱 부각된다.
⑤ 태생부터 고난을 겪은 주몽이 위기를 극복하고 고구려를 건국하는 신화는 건국서사 뿐만 아니라 영웅신화적인 면모도 가지고 있다.
일대기
발원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