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itic"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박찬욱 감독은 '달은… 해가 꾸는 꿈’으로 영화감독으로 데뷔하였으나, 흥행과 비평에서 모두 실패하여 한동안 영화평론가로 머물렀다. 그 후 두번째 작품인 삼인조 또한 흥행과 비평에서 실패하였고, 한동안 박찬욱은 시나리오를 쓰며, 생계를 위해 영화 프로그램 패널이나 영화 평론 일에 집중하였다. <키노>라는 영화 평론 잡지에 [[그랑블루]], [[가르시아]], [[중경삼림]], [[시스터즈]] 등의 영화 평론을 기재하였다. 또한 영화 평론가 시절 [[라이언 일병 구하기]], [[싸이코]], [[제너럴]] 등의 영화에 대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 + | 박찬욱 감독은 '달은… 해가 꾸는 꿈’으로 영화감독으로 데뷔하였으나, 흥행과 비평에서 모두 실패하여 한동안 영화평론가로 머물렀다. 그 후 두번째 작품인 삼인조 또한 흥행과 비평에서 실패하였고, 한동안 박찬욱은 시나리오를 쓰며, 생계를 위해 영화 프로그램 패널이나 영화 평론 일에 집중하였다.<p> |
− | 1994년에 출판한 평론집 《영화 보기의 은밀한 매력/비디오드롬》은 판매량이 많지는 않았으나 영화광들 사이에서 호응이 컸다. 이 책은 박찬욱이 감독으로 유명해진 뒤 절판된 헌 책이 고가에 거래되기도 했다. 2005년에 다른 영화평이 더해져서 《박찬욱의 오마주》라는 제목으로 개정증보판으로 출간되었고, 함께 나온 산문집 《박찬욱의 몽타주》와 더불어 상당한 판매고를 올렸다(최근에 리커버 개정증보판이 | + | <키노>라는 영화 평론 잡지에 [[그랑블루]], [[가르시아]], [[중경삼림]], [[시스터즈]] 등의 영화 평론을 기재하였다. 또한 영화 평론가 시절 [[라이언 일병 구하기]], [[싸이코]], [[제너럴]] 등의 영화에 대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p> |
+ | 1994년에 출판한 평론집 《영화 보기의 은밀한 매력/비디오드롬》은 판매량이 많지는 않았으나 영화광들 사이에서 호응이 컸다. 이 책은 박찬욱이 감독으로 유명해진 뒤 절판된 헌 책이 고가에 거래되기도 했다. 2005년에 다른 영화평이 더해져서 《박찬욱의 오마주》라는 제목으로 개정증보판으로 출간되었고, 함께 나온 산문집 《박찬욱의 몽타주》와 더불어 상당한 판매고를 올렸다(최근에 리커버 개정증보판이 출간되었다. <p> | ||
다만 박찬욱 자신이 감독 데뷔를 염두에 뒀기 때문에 한국 영화에 대해선 평론을 쓰지 않았다고 한다. 실제로도 그가 쓴 서적을 보면 한국 영화에 대한 평론은 거의 없으며, 이두용과 김기영에 대한 애정과 동료 감독에 대한 평 정도가 유일하다. 서평에서 언급 하길 한국 영화에 대해서는 호평만을 쓰기로 했다고 한다. | 다만 박찬욱 자신이 감독 데뷔를 염두에 뒀기 때문에 한국 영화에 대해선 평론을 쓰지 않았다고 한다. 실제로도 그가 쓴 서적을 보면 한국 영화에 대한 평론은 거의 없으며, 이두용과 김기영에 대한 애정과 동료 감독에 대한 평 정도가 유일하다. 서평에서 언급 하길 한국 영화에 대해서는 호평만을 쓰기로 했다고 한다. | ||
출처:위키백과 박찬욱 생애 | 출처:위키백과 박찬욱 생애 |
2022년 12월 6일 (화) 02:03 판
박찬욱 감독은 '달은… 해가 꾸는 꿈’으로 영화감독으로 데뷔하였으나, 흥행과 비평에서 모두 실패하여 한동안 영화평론가로 머물렀다. 그 후 두번째 작품인 삼인조 또한 흥행과 비평에서 실패하였고, 한동안 박찬욱은 시나리오를 쓰며, 생계를 위해 영화 프로그램 패널이나 영화 평론 일에 집중하였다.
<키노>라는 영화 평론 잡지에 그랑블루, 가르시아, 중경삼림, 시스터즈 등의 영화 평론을 기재하였다. 또한 영화 평론가 시절 라이언 일병 구하기, 싸이코, 제너럴 등의 영화에 대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1994년에 출판한 평론집 《영화 보기의 은밀한 매력/비디오드롬》은 판매량이 많지는 않았으나 영화광들 사이에서 호응이 컸다. 이 책은 박찬욱이 감독으로 유명해진 뒤 절판된 헌 책이 고가에 거래되기도 했다. 2005년에 다른 영화평이 더해져서 《박찬욱의 오마주》라는 제목으로 개정증보판으로 출간되었고, 함께 나온 산문집 《박찬욱의 몽타주》와 더불어 상당한 판매고를 올렸다(최근에 리커버 개정증보판이 출간되었다.
다만 박찬욱 자신이 감독 데뷔를 염두에 뒀기 때문에 한국 영화에 대해선 평론을 쓰지 않았다고 한다. 실제로도 그가 쓴 서적을 보면 한국 영화에 대한 평론은 거의 없으며, 이두용과 김기영에 대한 애정과 동료 감독에 대한 평 정도가 유일하다. 서평에서 언급 하길 한국 영화에 대해서는 호평만을 쓰기로 했다고 한다. 출처:위키백과 박찬욱 생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