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둔전병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_edu
이동: 둘러보기, 검색
(출처)
(출처)
32번째 줄: 32번째 줄:
  
 
==출처==
 
==출처==
* 낮달, ''이승만과 결별 후 연구조차 금기시돼온 독립운동가''. (2018.10.17). 직썰. https://www.ziksir.com/news/articleView.html?idxno=7221 (검색일: 12월 18일)
+
* 낮달, 「이승만과 결별 후 연구조차 금기시돼온 독립운동가」,  『직썰』, 2018.10.17, https://www.ziksir.com/news/articleView.html?idxno=7221 (검색일: 12월 18일)
* 노세극, ''[독립운동가 열전 삶과 넋 92] 무장 독립투쟁의 거목, 우성 박용만.'' (2021.01.18). 노동과 세계. https://www.labor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0893 (검색일: 12월 18일)
+
* 노세극, [독립운동가 열전 삶과 넋 92] 무장 독립투쟁의 거목, 우성 박용만」, 『노동과 세계』, 2021.01.18, https://www.labor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0893 (검색일: 12월 18일)
  
  

2024년 12월 19일 (목) 22:45 판

정의

둔전병제(屯田兵制)는 평시에는 토지를 경작하고 전시에는 전투원으로 동원되는 '군사-농업 복합 제도'이다.

역사적 배경

둔전병제의 기원은 중국에서 시작되었으며, 서양에서는 비잔티움 제국에서 가장 유명하게 실시되었다.

주요 특징

  • 군인에게 토지 제공
  • 평시 농사, 전시 전투 참여
  • 자급자족 체제 구축
  • 국가의 군사비 절감

동서양의 차이점

  • 동양(중국): 주로 식량 확보가 목적
  • 서양(비잔티움): 충성심 있는 국내 군대 확보가 목적

한국 독립운동에서의 적용

한인소년병학교와 대조선국민군단에서 둔전병제를 적용하여 운영했다.

  • 한인소년병학교: 1909년 미국 네브래스카주에서 설립, 학업과 군사훈련 병행
  • 대조선국민군단: 하와이에서 설립, 농장 노동, 군사훈련, 학습을 병행


의의

독립운동 과정에서 군사훈련과 경제적 자립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효과적인 시스템으로 활용되었다.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