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자결주의 선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29번째 줄: | 29번째 줄: | ||
그러나 한계 또한 있었는데, 민족자결주의는 패전국의 식민지에만 한정적으로 적용되었다. 따라서 중립국과 전승국의 식민지들은 대부분 독립이 승인되지 않았다. 그럼에도 3.1 운동, 5.4 운동과 같은 민족자결주의에 기반한 운동이 일어났으나, 대부분 목표를 이루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독일은 이 자결권을 이용하여 독일계 민족이 많은 지방을 수복하기 위한 2차 대전을 일으켰다. </br> | 그러나 한계 또한 있었는데, 민족자결주의는 패전국의 식민지에만 한정적으로 적용되었다. 따라서 중립국과 전승국의 식민지들은 대부분 독립이 승인되지 않았다. 그럼에도 3.1 운동, 5.4 운동과 같은 민족자결주의에 기반한 운동이 일어났으나, 대부분 목표를 이루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독일은 이 자결권을 이용하여 독일계 민족이 많은 지방을 수복하기 위한 2차 대전을 일으켰다. </br> | ||
− | ==조선에 미친 영향== | + | =='''조선에 미친 영향'''== |
1910년대의 강압적 통치와 총독부의 경제적 실패로 인한 인플레이션, 위생 관리 실패로 인한 스페인 독감의 유행은 조선 민중들을 분노하게 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각 민족의 운명은 그 민족이 스스로 결정하게 하자'는 민족자결주의가 알려지면서 독립운동계열에도 활력이 돌았다. 특히 독립운동 지도자 여운형은 민족자결주의 선언이 앞으로 식민지 조선의 전망에 큰 영향력을 행사할 것이라고 보았다. 이후, 영어 능력이 뛰어난 김규식이 파리 강화회의에 파견되어 조선의 입장을 전달하는 등 새로운 독립운동의 물결이 흐르기 시작했다. 조선 안팎에 있는 독립운동가들뿐 아니라, 여러 방면을 통해 이 소식을 접한, 일본에 불만을 가진 민중들을 상당히 고무시켰다. 결국, 광무 황제가 사망한 후, 황제 독살설로 민심은 더욱더 격앙되었고 이는 3.1 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으로 이어진다. | 1910년대의 강압적 통치와 총독부의 경제적 실패로 인한 인플레이션, 위생 관리 실패로 인한 스페인 독감의 유행은 조선 민중들을 분노하게 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각 민족의 운명은 그 민족이 스스로 결정하게 하자'는 민족자결주의가 알려지면서 독립운동계열에도 활력이 돌았다. 특히 독립운동 지도자 여운형은 민족자결주의 선언이 앞으로 식민지 조선의 전망에 큰 영향력을 행사할 것이라고 보았다. 이후, 영어 능력이 뛰어난 김규식이 파리 강화회의에 파견되어 조선의 입장을 전달하는 등 새로운 독립운동의 물결이 흐르기 시작했다. 조선 안팎에 있는 독립운동가들뿐 아니라, 여러 방면을 통해 이 소식을 접한, 일본에 불만을 가진 민중들을 상당히 고무시켰다. 결국, 광무 황제가 사망한 후, 황제 독살설로 민심은 더욱더 격앙되었고 이는 3.1 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으로 이어진다. | ||
− | ==관련 영상== | + | =='''관련 영상'''== |
<html> | <html> | ||
<iframe width="900" height="480" src="https://www.youtube.com/embed/OMPyacAQpMo" title="일제강점기 조선에도 환영 받은 윌슨의 민족자결주의! 과연 그 실행은?"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 allowfullscreen></iframe> | <iframe width="900" height="480" src="https://www.youtube.com/embed/OMPyacAQpMo" title="일제강점기 조선에도 환영 받은 윌슨의 민족자결주의! 과연 그 실행은?"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 allowfullscreen></iframe> | ||
</html> | </html> | ||
− | ==참고문헌== | + | =='''참고문헌'''== |
<<민족자결주의 배경과 관련하여는 노경덕, 제 1차 세계대전 말 유럽의 국제정치와 민족자결주의, 歷史學報 第245輯, 역사학보, 2020, pp.33-62 참조.>> | <<민족자결주의 배경과 관련하여는 노경덕, 제 1차 세계대전 말 유럽의 국제정치와 민족자결주의, 歷史學報 第245輯, 역사학보, 2020, pp.33-62 참조.>> | ||
<<조선 정치에의 영향과 관련하여는 민족문화대백과 "3.1 운동"과 이병수, 3.1 운동과 보편적 가치, 통일인문학 제80집, 통일인문학, 2019, pp.151-180 참조 >> | <<조선 정치에의 영향과 관련하여는 민족문화대백과 "3.1 운동"과 이병수, 3.1 운동과 보편적 가치, 통일인문학 제80집, 통일인문학, 2019, pp.151-180 참조 >> | ||
==분류== | ==분류== | ||
[[분류:개항부터_현재까지의_정치_교류]] [[분류:낭만가]] | [[분류:개항부터_현재까지의_정치_교류]] [[분류:낭만가]] |
2024년 6월 21일 (금) 21:19 판
위 사진은 민족자결주의를 주창했던 우드로 윌슨의 사진이다.
목차
개요
국사편찬위원회 산하 우리역사넷의 개념 정의에 따르면, 1918년 1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의 새로운 세계 질서를 세우기 위해 미국 대통령 윌슨(Woodrow Wilson, 1856~1924)이 발표한 14개조 원칙 중 민족 자결과 식민지 민족 독립에 대한 원칙이다.
배경
자결주의의 역사
자결주의는 제1차 세계 대전 전에도 베스트팔렌 조약, 나폴레옹의 유럽 전쟁의 명분, 독일의 1848년 혁명 등에서도 드러났다. 민족자결주의 선언의 기초가 되는 것은 우드로 윌슨이 1918년 1월 8일 1차 대전의 승전을 앞두고 미국 의회에서 발표한 14개조 평화 원칙에서 제시된다. 다음은 대표적으로 민족 자결주의를 담고 있는 조항이다.
자결주의와 연관된 14개조 평화원칙 주요 조항
5조: 식민지의 주권을 결정하는 데 그 주민의 이익과 수립하게 될 정부의 공평한 주장이 동등하게 고려돼야 한다는 원칙하에서 모든 식민지 요구를 공평하게 조정한다.
10조: 오스트리아의 국제적 지위는 유지된다. 그러나 모든 민족은 자치적인 발전을 하도록 자유스런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
11조: 루마니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로부터 군대를 철수하고 점령 지역은 회복된다. 세르비아는 해양을 통한 자유로운 진로가 보장된다. 발칸 국가들의 관계는 충성심과 민족성의 역사적인 분계선에 따라 결정돼야 한다. 그들의 정치, 경제 독립과 영토보전은 국제적으로 보장된다.
12조: 현재 오스만 제국의 터키인의 지역은 확실한 주권이 보장되나 그 밖의 민족들은 생명의 확실한 보장, 자치적인 발전의 절대 안정된 기회가 보장되어야 한다. 다르다넬스 해협은 국제적인 보장하에서 모든 국가의 상선이 무역을 위해 자유로이 통과하도록 영구히 개방되어야 한다.
13조: 폴란드인만이 거주하는 지역으로 독립 폴란드를 수립한다. 폴란드는 해양을 향한 자유롭고 확실한 진로가 보장되어야 하며 그 정치, 경제적 독립과 영토 보전은 국제조약으로 보장된다.
의의 및 한계
의의
윌슨의 민족 자결권 개념은 1차 대전 협상국 측의 최종적 전쟁 목표 중 하나였고 종전 후 베르사유 조약에 의해 각국에서 받아들여졌다. 현대에도 유엔총회의 결의로서 인정되거나 국제인권규약에도 존속하는 등 그 가치를 인정받는다. 또한, 여러 국가의 식민지 해방 운동의 큰 계기를 마련하였고 에스토니아, 헝가리, 폴란드 등 다양한 국가의 독립을 야기했다.
한계
그러나 한계 또한 있었는데, 민족자결주의는 패전국의 식민지에만 한정적으로 적용되었다. 따라서 중립국과 전승국의 식민지들은 대부분 독립이 승인되지 않았다. 그럼에도 3.1 운동, 5.4 운동과 같은 민족자결주의에 기반한 운동이 일어났으나, 대부분 목표를 이루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독일은 이 자결권을 이용하여 독일계 민족이 많은 지방을 수복하기 위한 2차 대전을 일으켰다.
조선에 미친 영향
1910년대의 강압적 통치와 총독부의 경제적 실패로 인한 인플레이션, 위생 관리 실패로 인한 스페인 독감의 유행은 조선 민중들을 분노하게 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각 민족의 운명은 그 민족이 스스로 결정하게 하자'는 민족자결주의가 알려지면서 독립운동계열에도 활력이 돌았다. 특히 독립운동 지도자 여운형은 민족자결주의 선언이 앞으로 식민지 조선의 전망에 큰 영향력을 행사할 것이라고 보았다. 이후, 영어 능력이 뛰어난 김규식이 파리 강화회의에 파견되어 조선의 입장을 전달하는 등 새로운 독립운동의 물결이 흐르기 시작했다. 조선 안팎에 있는 독립운동가들뿐 아니라, 여러 방면을 통해 이 소식을 접한, 일본에 불만을 가진 민중들을 상당히 고무시켰다. 결국, 광무 황제가 사망한 후, 황제 독살설로 민심은 더욱더 격앙되었고 이는 3.1 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으로 이어진다.
관련 영상
참고문헌
<<민족자결주의 배경과 관련하여는 노경덕, 제 1차 세계대전 말 유럽의 국제정치와 민족자결주의, 歷史學報 第245輯, 역사학보, 2020, pp.33-62 참조.>> <<조선 정치에의 영향과 관련하여는 민족문화대백과 "3.1 운동"과 이병수, 3.1 운동과 보편적 가치, 통일인문학 제80집, 통일인문학, 2019, pp.151-180 참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