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조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_edu
이동: 둘러보기, 검색
(특징)
(특징)
42번째 줄: 42번째 줄:
  
 
=='''특징'''==
 
=='''특징'''==
 
+
영국인 건축기사 하딩이 외부 설계를 맡아 1900년부터 10년에 걸쳐 공사를 진행했다. 내부 설계는 영국인 로벨이 맡아 2년에 걸쳐 공사가 진행되었다. <br/>
===건축 특징===
+
정면 54m, 너비 31m에 지하 1층, 지상 2층으로 구성된 외견상 3층의 석조건물로 자재는 창의문 근처 돌산의 화강암을 활용했다. <br/>
 
+
그리스 신전 건축에 기초한 신고전주의 건축 양식으로 엄격한 비례와 균형, 대칭의 질서와 조화가 추구되었다.
- 영국인 하딩이 설계를 맡아 1900년부터 10년에 걸쳐 공사 진행<br/>
 
- 정면 54m, 너비 31m<br/>
 
- 외견상 3층 석조건물(지하 1층, 지상 2층)<br/>
 
- 그리스 신전 건축에 기초한 신고전주의 건축 양식<br/>
 
엄격한 비례와 균형, 대칭의 질서와 조화 추구<br/><br/>
 
  
 
===외부===
 
===외부===

2024년 6월 10일 (월) 17:08 판


개요

석조전은 대한제국의 대표적인 서양식 건물이다. 고종에 의해 황제국이 선포된 후 대한제국 황궁의 정전으로 만들어졌으며, 동양의 전통 궁궐과 달리 서양 주거 양식을 도입하여 내부에 접견실, 대식당, 침실, 서재 등을 갖추었다.


연혁

연도 내용
1897 경운궁 내 지형 측량
1903 기초공사 시작
1902 공사 중단
1903 구조공사 시작
1907 내부공사 시작
1910 완공
1922 이진[1] 사망
1933 경운궁 공원화
1938 석조전 서관[2] 개관
1946 미소공동위원회 개최

특징

영국인 건축기사 하딩이 외부 설계를 맡아 1900년부터 10년에 걸쳐 공사를 진행했다. 내부 설계는 영국인 로벨이 맡아 2년에 걸쳐 공사가 진행되었다.
정면 54m, 너비 31m에 지하 1층, 지상 2층으로 구성된 외견상 3층의 석조건물로 자재는 창의문 근처 돌산의 화강암을 활용했다.
그리스 신전 건축에 기초한 신고전주의 건축 양식으로 엄격한 비례와 균형, 대칭의 질서와 조화가 추구되었다.

외부

르네상스의 러스티케이션을 연상시키는 기단 위에 중앙 페디먼트를 중심으로 좌우에 대칭적으로 기둥을 줄지어 세운 것은 전형적인 신고전주의 건축의 특징이다.













- 전면 중앙부 돌출, 페디먼트에는 대한제국을 상징하는 오얏꽃 무늬
- 정면 현관부에는 둥근 기둥을 사용했고 좌우 회랑 부분에는 사각 기둥을 사용해 변화를 줌

내부

참고문헌

각주

  1. 영친왕의 장남
  2. 현 국립현대미술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