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언조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_edu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제주어 음운론)
34번째 줄: 34번째 줄:
 
====제주어 음운론====
 
====제주어 음운론====
  
제주 방언은 다른 지역 방언과 달리 많은 특수성을 지니고 있다. 지리적 조건과 역사적 배경이 독자적 특성을 유지하게 했다. 제주 방언의 특징 중에서도 특히 음운적 특징이 두드러진다.
+
제주 방언은 다른 지역 방언과 달리 많은 특수성을 지니고 있다. 지리적 조건과 역사적 배경이 독자적 특성을 유지하게 했다. 제주 방언은 특히 음운적 특징이 두드러진다.
 +
 
 +
(1)15세기 한국어의 한글 자모 사용
 +
제주 방언에는 표준어나 다른 지역 방언에서 지금은 소멸된 것으로 파악되는 15세기 한국어의 한글자모 일부가 계속 사용되고 있다.
  
 
====제주어 통사론====
 
====제주어 통사론====

2024년 6월 10일 (월) 09:12 판

콘텐츠 주제

가제 방언탐구

팀원

-`♥´-최강의 조-`♥´-
박현강 ??
2024131620 배혜은 Hyeeun0530
2024131323 송민경 마그네슘
2024130715 엄시우 유월

기획의도

기획배경

기획목적

국내 방언 2개와 해외에서 주로 쓰이는 한국어 방언 2개를 골라 일제강점기부터 현대까지의 기간에 집중하여 탐구해보도록 하였다. 일제강점기 당시 우리 동포들이 많이 해외로 이주하게 되었기 때문에 한국어 방언을 간언어적으로 탐구해보기 위하여 기간을 위와 같이 잡았다.

온톨로지


각 클래스를 누르면 개별 위키페이지, 혹은 관련 웹사이트로 연결된다.

콘텐츠 구조

클래스

관계성(Relation)

마인드맵

국내 방언

제주어

일제강점기의 제주어

일제강점기 이후부터 현대까지의 제주어

제주어 음운론

제주 방언은 다른 지역 방언과 달리 많은 특수성을 지니고 있다. 지리적 조건과 역사적 배경이 독자적 특성을 유지하게 했다. 제주 방언은 특히 음운적 특징이 두드러진다.

(1)15세기 한국어의 한글 자모 사용 제주 방언에는 표준어나 다른 지역 방언에서 지금은 소멸된 것으로 파악되는 15세기 한국어의 한글자모 일부가 계속 사용되고 있다.

제주어 통사론

육진 방언

표준어

표준어 제정

한국어의 표준 규정은 크게 한국의 표준어와 북한의 문화어가 있다.
한국의 표준어와 북한의 문화어는 규범에서 다소 차이가 있으나, 모두 1933년 한글 맞춤법 통일안 제정 당시의 서울 방언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조선 건국 이래로 서울이 정치적, 문화적 중심지 역할을 하였기 때문에 서울 지역의 언어가 공통어의 역할을 했고, 이것이 표준어로 규범화된 것은 일제강점기이다.그러나 이것은 맞춤법에 대한 규정이지 어떤 어휘나 문법을 표준으로 규정하는 것은 아니었다.


1930년대에 조선어학회는 조선어(한국어) 보급을 위해서는 표준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고 느껴 1933년에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제시하였는데, 이때의 표준어 규정의 대원칙은 "표준말은 대체로 현재 중류 사회에서 쓰는 서울말로 한다."였다. 그리고 1935년부터 표준어 어휘 사정 관련 작업에 착수했는데 그 결과물은 1936년에 '사정한 조선어 표준말 모음'으로 결실을 맺었으며, 9457개 단어에 대해 표준어, 준말, 비표준어, 한자어 등으로 분류하였다.



사정 원칙에 있어서도 “서울말로써 으뜸을 삼되, 가장 널리 쓰이고 어법에 맞는 시골말도 적당히 참작하여 취하였다.”고 하였다.
조선어학회는 여기서 더 나아가 제대로 된 국어사전을 편찬해 어휘의 완전한 규범화를 꾀했으나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관련자가 전부 일제 경찰에 잡혀가 무산되었다.


변천과정

해외 방언

고려말

러시아와 중앙아시아의 여러 나라에 살고 있는 한인들은 자신들의 모국어를 고려말이라고 부른다.러시아 혁명 전 연해주의 한인 신문,잡지,교과서는 '대한국'또는 '한국','한인'이라는 말을 썼지만 러시아 혁명 후가되는 1920년대부터는 '고려','고려인','고려말'이라는 말을 쓰기 시작하였다.민족주의에 바탕을 둔 애국계몽운동시기가 끝나고 소비에트 사회주의 혁명이 전개되면서 '고려'라는 말이 등장한 것이다.이주 후에는 조선,고려라는 말을 함께 썼으나 구소련의 해체 이후 공식적으로 고려,고려인이라는 말을 쓰기 시작하였다.고려말,고려음식.고렷법(한민족의 전통 예법이나 관습),고렷글(한국어로 쓰인 글),고렷사람/고렷사름(러시아와 중앙아시아에 사는 한인),고려촌(한인들이 모여 사는 마을)등은 한인들이 일상적으로 쓰는 말이다


(1)고려말의 음성 특징

러시아어의 간섭으로 'ㄹㄹ'을 러시아어 유음 'Л[l]로, 'ㄹ'을 'Р[r]'로 조음하는 경향이 있다.또 어두 'ㅅ'를 [z]나 [c=ts]로 발음하기도 한다.[w]를 [v]로 조음하는 것도 러시아어의 영향이다.그리고 '지'를 '즈'와 '주'의 중간음 정도로 발음하기도 한다.예를 들어서 나주다(나지다,없던 것이 새로 나타나다),가주다(가지다),-주(-지,부정어미) 등.

(2)고려말의 음운 체계

'죄'는 자음 뒤에서는 원순성이 약화되어 있다.예를 들어서 쇠고기를 쇠고기와 세고기 사이로 발음하는 것이다.그러다 어두 위치에서는 이중모음 [we]로 나타난다.예를 들어서 외국을 웨국으로,왼쪽을 웬짝이라고 발음하는 것이다.또 '쇠'를 '쇄'로 발음하기도 하는데 이는 육진방언의 영향이다.육진방언에서는 대체로 'ㅚ'가 'ㅙ'로 변화하였다.

(3)고려말의 음운 현상

 1.구개음화
 형태소 내부의 ㄷ(ㅌ) 구개음화는 완료되었다.그러나 아래 예처럼 특이하게도 비구개음화형을 쓰기도 하는데 이는 육진방언의 영향이다.
 예:피 한고티두(피 한 방울도),빗고티(빗방울),물고치(물방울),오좀고치(오줌방울),다티다(다치다)

 한편,형태소 경계(굴절)에서의 ㄷ구개음화는 원칙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나 몇 예가 보인다.'빋','곧',젙'은 그 주격형(또는 서술격 조사 '-이-' 결합형)이 언제나 [비디],[고디],[저티]로 실현된다.그러나 
 특이하게도 '낟'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에서 /낮/으로 교체된다.즉,부사격 조사 '-으르' 앞에서도 /낮/으로 교체되어 교체 범위가 확대된 것이다.
 예:낮으로 빼엡더마.그전에 싹 낮으로 베에.낮을르 빼서 싹 묶어서 이래 조배기로 햇놧스 음.그 담에 그담에는 마술게다두 실어딜이그.뱃단으 싹 낮을르 삐문,다른 걸르 무스거 빼에.그전이 직금 와서 깜빠이나 잇는두.(뜻:낫으로 베더군요.그전에 싹 낫으로 베어.낫으로 베어서 싹 묶어서 이렇게 15단씩 무지를 지어 놓았지.그 다음에 그 다음에는 말 수레 따위로 실어들이고 볏단을.싹 낫으로 베면,다른 걸로 뭘 베어(=낫 외에는 벼를 벨 것이 없었다는 말).그전이,지금 와서 콤바인이나 있는지.)

현대 고려말 사용 현황 현재의 고려말은 그 기반에 육진방언적 요소가 잔존해 있는데 보수적인 육진방언의 음운특징은 함북방언의 영향으로 함북방언의 음운특징을 갖게 되었다.그러나 고려말은 하나의 독립된 언어로 발전하여 공용어로 쓰이는 단계로까지는 발전하지 못했고,또 러시아어라는 전혀 이질적인 언어와 접촉해 옴으로써 자신의 안에 러시아어적인 요소를 지속적으로 축적해왔고 급기야는 그 러시아어에 압도되어 사멸할 위기에 놓여 있다는 점에서 koine라 하기도 어렵다.

koine:한 언어에 속한 여러 지역방언들이 상호 접촉할 수 있는 사회적 환경이 마련되면서, 어느 한 방언을 근간으로 하고 ㅇ기에 다른 방언적 요소들이 뒤섞인 것.

강제 이주 이전에 연해주에서 언어습득기를 보낸 사람들 즉,80대 중반 이상은 대체로 모방언을 유지하고 있지만 대체로 70세 이하는 koine형태의 방언을 구사하며, 그 이후에(대체로 80년대 이후) 출생한 사람들은 거의 고려말을 구사하지 못한다.

조선어

일제강점기의 중국 조선어

<중국에서의 조선어 방언분포 과정 및 양상 고찰>(김광수, 김홍매, 2022)에서는 '조선어'를 연변 조선족 자치주를 비롯한 요녕성 일대, 중국 전지역에 분포한 모든 한국어 방언을 총칭하는 술어라 하였는데, 필자는 이에 동의하여 여기에서도 그렇게 정의하도록 하겠다.

조선어 방언분포는 조선인들의 중국 동북으로의 이주역사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조선인들의 이주역사에 대한 탐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1. 이주 초기(연도 제시하기)


이주 초기 조선인들의 이주 노선은 다음과 같이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표 넣기)


또한 이주 초기 연도별 재만 조선의 출신은 다음과 같았다.


(표 넣기)


1910년 이전에 압록강과 두만강 이북의 지역들에 이주한 조선인은 대부분 함경도와 평안도 출신이었다. 그중에서도 함경북도와 평안북도의 이주민이 제일 많았다. 조선인들 중에는 제주도 출신도 있었기 때문에 한반도의 주요 방언들이 모두 중국으로 유입되었다고 볼 수는 있으나, 실제로는 동북 방언(정평 이북의 함경도 방언), 동남 방언(주로 경상도에서 쓰이는 방언), 서북 방언(주로 평안도와 자강도에서 쓰이는 방언. 황해도의 멸악산맥 이북 지역과 안악, 은율, 송화, 신천 등 서북 해안 지역의 방언도 서북 방언에 속할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중부 방언(경기 방언, 충청도 방언, 황해도 남부의 방언, 강원도 방언의 총칭), 서남방언(전북의 대부분, 전남의 동부인 구례와 광양 일대, 그리고 전남 서부의 대부분 지역과 전북의 고창 등에서 쓰이는 방언)이 주로 쓰였고, 제주도 방언은 그만큼 쓰이지 않았다.


2. 한일합병 이후


1910년 8월, 일본은 '한일합병조약'을 체결하였다. 이때부터 많은 조선인들이 중국 동북 지역으로 이주하기 시작하였다. 1931년에는 동북의 조선인 인구가 63만 900여 명이었는데 연변지역 4개 현에 40만 9400여 명, 길림, 장춘 지역에 2만 4100여 명, 안동, 통화 지역에 5만 500여 명, 심양, 철령 지역에 9만 7100여 명, 여순-대련 지역에 1700여 명, 북만주에 4만 4400여 명, 기타 지방에 1000여 명이 분포하게 되었다.

이주 조선인의 출신 지역은 함경도, 평안도, 경상도 순서대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함경도 출신 이주민은 주로 북간도에, 평안도와 경상도 출신 이주민은 주로 서간도에 자리를 잡았다.

이 시기 조선어 방언 분포 지역은 다음과 같이 크게 세 지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함경도 방언 지역: 연변 지구, 목단강 지구, 합강지구의 일부 지방(목단강 지구와 인접하여 있는 일부 지방), 통화 지구의 장백 지방

평안도 방언 지역: 단동 지구, 무순 지구, 심양 지구, 영구 지구, 철령 지구, 통화 지구(장백 지방 제외)

경상도 방언 지역: 장춘 지구, 길림 지구, 사평 지구, 송화강 지구(하얼빈 시 포함), 수회 지구, 합강 지구(목단강 지구와 인접하여 있는 일부 지방 제외) (출처: 북경대학 조선문화연구소, <<언어사>>, 민족출판사, 1995, 678쪽.)


현대 조선어 음운론

중국 조선어 음운론 연구가 미비한 관계로 요녕성의 조선어에 대한 내용만 실었음을 밝힌다.


중국 요녕성은 중국 조선족이 거주하는 산재 지구로써 평안도 방언과 경상도 방언이 주로 사용되며 방언섬들도 존재한다.


요녕성의 심양시, 무순시, 본계시, 단동시, 반금시, 영구시는 주로 평안도 방언이 사용되며, 철령시, 안산시는 주로 경상도 방언이 사용된다.


1. 모음의 변화

(1) 모음 'ㅏ', 'ㅓ'의 앞모음화: 모음 'ㅣ' 역행 동화

요녕의 모든 지역에서 나타남.


가마 > 가매

처녀 > 체네

부스럼 > 부스레미

두드러기 > 두드레기

할머니 > 할매

할아버지 > 할배

엄마 > 엄매


(2) 모음 'ㅣ'가 'ㅟ'로, 'ㅟ'가 'ㅜ'로 바뀌는 현상

평안도에서 대표적으로 나타남. 즉, 심양시, 무순시 등 평안도 방언이 사용되는 지역에서 들을 수 있음.

사마괴 > 사마귀 > 사마구

'사마괴'는 '사마귀'로의 변천하는데, 중세의 'ㅟ'는 이중모음으로써 'ㅜㅣ'로 발음되었다. 당시부터 평안도에서는 앞의 'ㅜ'만 발음되었고, 그것이 현대 방언에 남아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 외에도 '방긔'가 '방구'로, '글픠'가 '글푸'로, '바퀴'가 '바쿠'로 발음되는 것을 예시로 들 수 있겠다.


(3)단모음의 이중모음화

여기서 단모음의 이중모음화는 단모음 'ㅐ'가 평안도에서 'ㅏㅣ'로 발음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중세에 단모음 'ㅐ'는 이중모음이었는데, 중세 국어의 흔적이 아직까지 평안도 방언과 평안도 방언에서 유래된 조선어 방언에 남아있다고 볼 수 있겠다.

(사진 넣기)

개 > 가이

고양이 > 괴 > 과이

새 > 사이

넷 > 너이


(4)모음 'ㅡ'가 'ㅣ'로 바뀌는 현상

경상도 방언에는 모음 'ㅡ'가 자음 'ㅅ, ㅈ, ㅊ'와 결합될 때 모음 'ㅣ'로 변화하는 현상이 발견된다.

습관 > 십관

부스럼 > 부시럼

가슴 > 가심

즐겁다 > 질겁다


방언 교육 및 보존 방안

2005년 1월 27일 제정된 국어기본법 제4조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무 제1항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기술되어 있다.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변화하는 언어 사용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국민의 국어능력의 향상과 지역어의 보전 등 국어의 발전과 보전을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 이렇게 법 조항까지 있는 것으로 보아 국가도 방언 보존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방언이 처음에는 국어정책의 관심 대상이 아니었다. 방언은 학문적 관심의 대상일 뿐 정책적인 접근은 거의 이루어 지지 않았다. 이런 방언이 관심 받게 된 것은 2000년대 이후 였다. 영화, 드라마와 같은 대중매체에서 나오는 방언의 비중이 증가하게 되고 그 무렵 사회 분위기는 방언을 긍정적으로 보는 추세 였다.

민경이: 고려말의 보존 방안(있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