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사여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24번째 줄: | 24번째 줄: | ||
===봉안=== | ===봉안=== | ||
− | 현재 우리나라의 사찰에서는 약사여래상을 중심으로 좌우에 협시보살로 일광보살(日光菩薩)과 월광보살(月光菩薩)을 모신 약사전(藥師殿)이 부속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 + | 현재 우리나라의 사찰에서는 약사여래상을 중심으로 좌우에 협시보살로 일광보살(日光菩薩)과 월광보살(月光菩薩)을 모신 약사전(藥師殿)이 부속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
+ | |||
+ | <gallery mode="slideshow" caption="약사전의 모습" heights="100px"> | ||
+ | 파일:통도사후불탱.jpg|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에 위치한 통도사의 약사전에 봉안되어 있는 후불탱이다. 통도사의 약사전에 봉안된 불상은 약사여래상뿐이지만 불상의 뒷편에 협시보살인 일광보살과 월광보살, 십이신장 그려진 후불탱화가 함께 봉안되어 있다. | ||
+ | 파일:전등사후불탱.jpg|인천광역시 강화군에 위치한 전등사에 봉안되어 있는 후붛탱과 약사여래상이다. 약사여래를 가운데에 두고, 일광보살과 월광보살을 좌우협시보살로 두었다. | ||
+ | </gallery> | ||
32번째 줄: | 37번째 줄: | ||
===수인=== | ===수인=== | ||
[[파일:약기인.jpg|200픽셀]] </br> | [[파일:약기인.jpg|200픽셀]] </br> | ||
− | '''약기인''' | + | |
+ | |||
+ | *'''약기인''' | ||
약사여래의 대표적인 수인으로, 한 손으로 약기(약그릇)를 들고 있는 모습이다. 이는 사물을 들어 표현하는 '''[[계인]]'''에 포함되어 있는 수인이기도 하다. </br> | 약사여래의 대표적인 수인으로, 한 손으로 약기(약그릇)를 들고 있는 모습이다. 이는 사물을 들어 표현하는 '''[[계인]]'''에 포함되어 있는 수인이기도 하다. </br> | ||
약사여래상의 수인은 약기를 들고 있지 않은 손의 형태에 따라 더 세부적으로 분류해볼 수도 있다. </br> | 약사여래상의 수인은 약기를 들고 있지 않은 손의 형태에 따라 더 세부적으로 분류해볼 수도 있다. </br> | ||
83번째 줄: | 90번째 줄: | ||
− | === | + | ===십이지신장=== |
− | + | 십이지신장(十二支神將)은 약사여래를 수호하는 십이지 형상의 야차들이며, 호법신장(호護法神將)의 역할을 한다. </br> 이들의 다른 이름으로는 ''십이야차대장(十二夜叉大將)'''이 있다. | |
− |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
! 순서 || 대장명 || 십이지 || 동물 || 방위 || 시간 | ! 순서 || 대장명 || 십이지 || 동물 || 방위 || 시간 |
2023년 12월 10일 (일) 14:13 판
정의
약사여래(藥師如來)는 『약사여래본원공덕경』에 근거하는 불교 신앙인 약사신앙에서 모시는 부처로, 중생의 질병을 고쳐주는 부처이다. 동방 정유리세계(淨瑠璃世界)에 있으며 질병의 치유뿐만 아니라 재앙을 소멸시키는 역할도 한다. 원만행(圓滿行)을 닦는 이에게 무상보리(無上菩提)[1]의 묘과(妙果)[2]를 깨달아 얻게 하는 부처이다.
이름
다른 이름으로는 약사유리광여래(藥師瑠璃光如來), 대의왕불(大醫王佛) 등이 있다.
유래 및 발전
약사여래가 거주하는 정유리세계는 동방의 이상향이라 할 수 있는 곳이다. 게다가 약사여래는 아래 상술할 약사십이대원(藥師十二大願)을 세워 중생의 교화를 위해 힘썼다. 이 십이대원의 내용은 병을 치료하는 것과 더불어 현세의 복과 고난의 해탈과 관련한 내용을 담고 있어 현실의 고통과 관련이 깊었고, 이는 대중의 호응을 불러일으키는 요소로 작용했다.
삼국의 전쟁 중 수많은 희생자가 발생했는데, 그러한 상황에서 약사여래는 대중들의 구원자로 등장하게 된 것이다. 삼국유사에 수록된 선덕여왕이 병에 걸렸을 때 밀본법사(密本法師)가 『약사경[3]』을 염송하여 병을 낫게 했다는 일화가 약사신앙의 도입으로 추정된다.
특징
봉안
현재 우리나라의 사찰에서는 약사여래상을 중심으로 좌우에 협시보살로 일광보살(日光菩薩)과 월광보살(月光菩薩)을 모신 약사전(藥師殿)이 부속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수인
- 약기인
약사여래의 대표적인 수인으로, 한 손으로 약기(약그릇)를 들고 있는 모습이다. 이는 사물을 들어 표현하는 계인에 포함되어 있는 수인이기도 하다.
약사여래상의 수인은 약기를 들고 있지 않은 손의 형태에 따라 더 세부적으로 분류해볼 수도 있다.
- 시무외인(施無畏印)
오른손을 위로 올려 손바닥을 밖으로 향하는 모습을 하고 있다. 두려워하지 말라는 의미를 지닌다. 다른 부처의 상에도 두루 쓰이는 통인(通印)에 해당되는 수인이기도 하다.
사진 | 문화재 이름 |
---|---|
갑사 석조약사여래입상 |
- 촉지인(觸地印)
약기를 들지 않은 손을 무릎 위에 두어 촉지인을 맺은 약사여래상은 통일신라 약사여래상의 특징으로, 고려 전기에도 다수 제작되었다. 촉지인은 항마촉지인 또는 지지인이라고 불리도 하는데, 석가모니의 정각[4] 성취를 상징한다.
사진 | 문화재 이름 |
---|---|
강릉 송라사 석조약사여래좌상 | |
읍옥평 철조약사여래좌상 |
약사십이대원
약사여래는 과거세에 약왕(藥王)보살로 수행하며 중생의 아픔과 슬픔을 소멸시키기 위해 12개의 대원을 세웠다. 약사십이대원(藥師十二大願)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광명보조 : 내 몸과 남의 몸에 광명이 가득하게 하려는 원
② 수의혹변 : 위덕이 높아서 중생을 모두 깨우치려는 원
③ 시무진물 : 중생으로 하여금 욕망에 만족하여 결핍하지 않게 하려는 원
④ 안립대승 : 일체 중생으로 하여금 대승교에 들어오게 하려는 원
⑤ 구계청정 : 깨끗한 업을 지어 삼취정계를 갖추게 하려는 원
⑥ 제근구족 : 일체의 불구자로 하여금 모든 기관을 완전하게 하려는 원
⑦ 제병안락 : 몸과 마음이 안락하여 무상보리를 증득하게 하려는 원
⑧ 전여득불 : 일체 여인으로 하여금 모두 남자가 되게 하려는 원
⑨ 안립정견 : 천마(天魔), 외도(外道)의 나쁜 소견을 없애고 부처님의 바른 지견으로 포섭하려는 원
⑩ 제난해탈 : 나쁜 왕이나 강도 등의 고난으로부터 중생을 구제하려는 원
⑪ 포식안락 : 일체 중생의 기갈을 면하게 하고 배부르게 하려는 원
⑫ 미의만족 : 가난하여 의복이 없는 이에게 훌륭한 옷을 갖게 하려는 원
십이지신장
십이지신장(十二支神將)은 약사여래를 수호하는 십이지 형상의 야차들이며, 호법신장(호護法神將)의 역할을 한다.
이들의 다른 이름으로는 십이야차대장(十二夜叉大將)'이 있다.
순서 | 대장명 | 십이지 | 동물 | 방위 | 시간 |
---|---|---|---|---|---|
1 | 궁비라(宮毘羅, Kumbhira) | 해(亥) | 돼지 | 北北西 | 21~23시 |
2 | 벌절라(伐折羅, Vajra) | 술(戌) | 개 | 西北西 | 19~21시 |
3 | 미기라(迷企羅, Mihira) | 유(酉) | 닭 | 西 | 17~19시 |
4 | 안저라(安底羅, Andira) | 신(申) | 원숭이 | 西南西 | 15~17시 |
5 | 알니라(頞儞羅, Anila) | 미(未) | 양 | 南南西 | 13~15시 |
6 | 산저라(珊底羅, Sandira) | 오(午) | 말 | 南 | 11~13시 |
7 | 인달라(因達羅, Indra) | 사(巳) | 뱀 | 南南東 | 09~11시 |
8 | 파이라(波夷羅, Pajra) | 진(辰) | 용 | 東南東 | 07~09시 |
9 | 마호라(摩虎羅, Makura) | 묘(卯) | 토끼 | 東 | 05~07시 |
10 | 진달라(眞達羅, kinnara) | 인(寅) | 호랑이 | 東北東 | 03~05시 |
11 | 초두라(招杜羅, Catura) | 축(丑) | 소 | 北北東 | 01~03시 |
12 | 비갈라(毗羯羅, Vikarala) | 자(子) | 쥐 | 北 | 23~01시 |
참고문헌
논문
- 김정숙. (2022). 약사여래 신앙의 현대적 의미와 신앙적 가치 고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2(6), 428-438.
- 허형욱. (2023). 고려 전기 약사여래상의 계보와 특징. 미술사학, 46, 39-66.
주석
출처 우리말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