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덕사 대웅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7번째 줄: | 7번째 줄: | ||
*위치: 충청남도 예산군 수덕사안길 79 (덕산면, 수덕사) | *위치: 충청남도 예산군 수덕사안길 79 (덕산면, 수덕사) | ||
*특징: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에 있는 수덕사의 대웅전으로, 국내에 현존하는 목조건물 가운데 건축 시기가 명확한 것으로는 가장 오래된 건축물이며, 한반도 목조건축물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문화재이다. | *특징: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에 있는 수덕사의 대웅전으로, 국내에 현존하는 목조건물 가운데 건축 시기가 명확한 것으로는 가장 오래된 건축물이며, 한반도 목조건축물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문화재이다. | ||
− | |||
− | |||
− | |||
− | |||
+ | *사건: | ||
===일화=== | ===일화=== | ||
《삼국유사》에 따르면, 의상이 당나라 유학을 마치고 귀국할 때 그를 흠모한 여인 선묘가 용으로 변해 의상이 신라에 안전하게 도착할 수 있게 했고, 절터까지 따라와서 절을 세우는 것을 도와주었다고 한다. 본래 이 절터에는 사교의 무리가 모여 있었는데, 의상이 이 곳에 절을 세우려고 하자 선묘가 무거운 바위를 사교의 무리들의 머리 위로 띄워 이곳에 절을 세울 수 있었다고 한다. 그리하여 이 돌을 ‘부석’이라 불렸으며 사찰 이름을 ‘부석사’라 불렀다고 한다. 그 후 선묘 신룡은 부석사를 지키기 위해 석룡으로 변신하여 무량수전 뜰아래 묻혔다는 이야기가 전해오고 있다. 무량수전 옆에 큰 바위가 있는데, 전해지는 말에 따르면, 선묘가 띄웠던 바위이며 아직도 떠 있다고 한다.<ref>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429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_부석사</ref> | 《삼국유사》에 따르면, 의상이 당나라 유학을 마치고 귀국할 때 그를 흠모한 여인 선묘가 용으로 변해 의상이 신라에 안전하게 도착할 수 있게 했고, 절터까지 따라와서 절을 세우는 것을 도와주었다고 한다. 본래 이 절터에는 사교의 무리가 모여 있었는데, 의상이 이 곳에 절을 세우려고 하자 선묘가 무거운 바위를 사교의 무리들의 머리 위로 띄워 이곳에 절을 세울 수 있었다고 한다. 그리하여 이 돌을 ‘부석’이라 불렸으며 사찰 이름을 ‘부석사’라 불렀다고 한다. 그 후 선묘 신룡은 부석사를 지키기 위해 석룡으로 변신하여 무량수전 뜰아래 묻혔다는 이야기가 전해오고 있다. 무량수전 옆에 큰 바위가 있는데, 전해지는 말에 따르면, 선묘가 띄웠던 바위이며 아직도 떠 있다고 한다.<ref>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429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_부석사</ref> | ||
===관련 건축물=== | ===관련 건축물=== | ||
− | *[[ | + | *[[수덕사]] |
− | |||
==<big>관계</big>== | ==<big>관계</big>== |
2023년 12월 8일 (금) 17:16 판
정의
건축물 정보
예산 수덕사 대웅전(禮山 修德寺 大雄殿)
- 역사적 시대: 고려시대-고려 충렬왕 34년(1308)
석가모니불상을 모셔 놓은 대웅전은 고려 충렬왕 34년(1308)에 지은 건물로, 지은 시기를 정확하게 알 수 있는 우리 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건물 중의 하나이다. [1]
- 위치: 충청남도 예산군 수덕사안길 79 (덕산면, 수덕사)
- 특징: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에 있는 수덕사의 대웅전으로, 국내에 현존하는 목조건물 가운데 건축 시기가 명확한 것으로는 가장 오래된 건축물이며, 한반도 목조건축물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문화재이다.
- 사건:
일화
《삼국유사》에 따르면, 의상이 당나라 유학을 마치고 귀국할 때 그를 흠모한 여인 선묘가 용으로 변해 의상이 신라에 안전하게 도착할 수 있게 했고, 절터까지 따라와서 절을 세우는 것을 도와주었다고 한다. 본래 이 절터에는 사교의 무리가 모여 있었는데, 의상이 이 곳에 절을 세우려고 하자 선묘가 무거운 바위를 사교의 무리들의 머리 위로 띄워 이곳에 절을 세울 수 있었다고 한다. 그리하여 이 돌을 ‘부석’이라 불렸으며 사찰 이름을 ‘부석사’라 불렀다고 한다. 그 후 선묘 신룡은 부석사를 지키기 위해 석룡으로 변신하여 무량수전 뜰아래 묻혔다는 이야기가 전해오고 있다. 무량수전 옆에 큰 바위가 있는데, 전해지는 말에 따르면, 선묘가 띄웠던 바위이며 아직도 떠 있다고 한다.[2]
관련 건축물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