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국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소속 문화재) |
|||
12번째 줄: | 12번째 줄: | ||
'''[[석굴암]]''' ([[국보]]) | '''[[석굴암]]''' ([[국보]]) | ||
− | '''[[청운교 | + | '''[[청운교 및 백운교]],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4946 연화교 및 칠보교]''' ([[국보]]) |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4940 불국사 대웅전] |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4940 불국사 대웅전] |
2023년 12월 7일 (목) 18:55 판
사찰 소개
경상북도 경주시 토함산(吐含山) 서쪽 중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김대성의 발원으로 창건한 사찰이며, 대한불교조계종 제11교구 본사이다. 지난 1995년 석굴암, 서울의 종묘, 합천 해인사의 팔만대장경과 함께 우리나라에서 가장 먼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1]
751년에 김대성(金大城)의 발원으로 창건하였다. 그러나 「불국사고금창기(佛國寺古今創記)」에 의하면, “이차돈(異次頓)이 순교한 이듬해인 528년에 법흥왕의 어머니 영제부인과 기윤부인이 이 절을 창건하고 비구니가 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574년에는 진흥왕의 어머니인 지소부인이 이 절을 중창하고 승려들을 득도하게 하였으며, 왕의 부인은 비구니가 된 뒤 이 절에 비로자나불상과 아미타불상을 봉안하였다”고 한다. 이런 다양한 설에도, 불국사가 대찰이 된 것은 역시 김대성에 의해서 였다.
1593년 5월 왜구가 침입하여 백성들과 물건을 노략질할 때 활과 칼 등을 이 절의 지장전 벽 사이에 옮겨다 감추었고, 왜병 수십 명이 이 절에 와서 불상과 건물과 석조물의 아름다움을 감상하며 감탄하다가 무기가 감추어져 있는 것을 발견하고는 여덟 사람을 밟아죽이고 절을 불태워버렸다.그때, 난을 피하여 장수사(長壽寺)에 와 있었던 담화(曇華)가 문도를 이끌고 불국사에 도착하였을 때에는 이미 대웅전·극락전·자하문 기타 2,000여 칸이 모두 불타버린 뒤였고, 금동불상과 옥으로 만든 물건과 석교(石橋)와 탑만이 화를 면할 수 있었다. 이때 타버린 목조건물들은 20년이 지난 뒤부터 점차 복구되었다. 대웅전을 중심으로 한 일곽의 경우, 해안(海眼)이 1612년(광해군 4) 경루와 범종각과 남행랑 등을 복구하였고, 1630년에는 태호(泰湖)가 자하문을 중수하였으며, 1648년에는 해정(海淨)이 무설전을 복구하였다. 대웅전은 1659년 천심(天心)이 경주부윤의 시주를 얻어 중건하였다. 이 밖에 안양문(安養門)·극락전·비로전·관음전·나한전·시왕전·조사전만이 이때 중건되었을 뿐 나머지는 복원되지 못하였다. 그 뒤 또다시 퇴락되어 가던 이 절은 박정희 전 대통령의 발원으로 중창되었다. 이때의 대복원공사를 위하여 1969년에는 문화재위원들의 발굴조사가 진행되었고, 1970년 2월에 공사를 착공하여 준공하였다. 당시까지 유지로만 남아 있던 무설전·관음전·비로전(毘盧殿)·경루·회랑 등은 이때 복원되었고, 대웅전·극락전·범영루(泛影樓)·자하문 등을 새롭게 단청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2]
소속 문화재
외 다수
각주
- ↑ https://www.gyeongju.go.kr/tour/page.do?mnu_uid=2695&con_uid=246&cmd=2
- ↑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searchCondition=&searchCondition2=&ccbaKdcd=13&ccbaAsno=05020000&ccbaCtcd=37&ccbaCpno=1333705020000&ccbaGcode=CA&ccbaBcode=06&ccbaMcode=01&culPageNo=47&header=div&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DivList.do&pageNo=1_1_3_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