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비정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_edu
이동: 둘러보기, 검색
2번째 줄: 2번째 줄:
 
'선비정신'에 대한 서술이 이루어지는 페이지이다.
 
'선비정신'에 대한 서술이 이루어지는 페이지이다.
 
'선비'는 학문을 진정으로 즐기고 유덕한(有德) 사람을 지칭하는 단어이다.<ref>포천의 인물 ; 한국인의 정신(선비정신), 경기도 아카이브, https://memory.library.kr/items/show/210024722.</ref>
 
'선비'는 학문을 진정으로 즐기고 유덕한(有德) 사람을 지칭하는 단어이다.<ref>포천의 인물 ; 한국인의 정신(선비정신), 경기도 아카이브, https://memory.library.kr/items/show/210024722.</ref>
이를 바탕으로 선비정신은
+
선비정신은 유교(儒敎)와 유학 문화를 기반으로 하며, 위험한 상황에서 공공의 대의를 위해 자신을 희생할 줄 아는(見危致命) 의로움, 그리고 당당하고 떳떳한 기개를 지니는 태도를 의미한다. 또한 시대적인 사명감, 책임감과 함께 의리와 지조의 가치를 중시한다.
 
 
유교(儒敎)와 유학 문화를 기반으로 하며,
 
 
 
민족
 
정신을 의미한다.
 
위험한 상황에서 공공의 대의를 위해 자신을 희생할 줄 아는(見危致命) 의로움, 그리고 당당하고 떳떳한 기개를 지니는 태도
 
시대적인 사명감, 책임감과 함께 의리와 지조의 가치를 중시한다.
 
  
  
  
 
==[[이육사]] 시인과의 연관==
 
==[[이육사]] 시인과의 연관==
[[이육사]]는 퇴계13손의 아버지 '이가호'와 의병장의 딸인 어머니 '허길' 사이에서 태어났다. 즉 그는 그야말로 전통적인 유가적 집안에서 자랐다.
+
[[이육사]]는 퇴계 이황<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6626</ref>의 13손인 아버지 '이가호'와 의병장의 딸인 어머니 '허길' 사이에서 태어났다. 즉 그는 그야말로 전통적인 유가적 집안에서 자랐다.
 
자연스럽게  
 
자연스럽게  
 
그의 문학 작품들은 선비정신을 바탕으로 탄생했다.
 
그의 문학 작품들은 선비정신을 바탕으로 탄생했다.
20번째 줄: 13번째 줄:
 
그에게 선비로서의 대의(大儀)는 항일과 대한독립이었을 것이다.
 
그에게 선비로서의 대의(大儀)는 항일과 대한독립이었을 것이다.
  
[[광야]]. [[절정]] 등의 시에서 그의 선비정신이 뚜렷하게 드러난다. 그의 [[의열단]] 활동과 [[독립운동]] 참여도, 나라를 위기로부터 구해내려는 선비정신의 구현이라고 볼 수 있다.
+
[[광야]]. [[절정]] 등의 시에서 그의 선비정신이 뚜렷하게 드러난다. 그의 [[의열단]] 활동과 [[독립운동]] 참여 등도, 나라를 위기로부터 구해내려는 선비정신의 실현이라고 볼 수 있다.
 +
 
 +
 
 +
 
 +
==의의==
 +
이기주의와 물질만능주의가 만연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진정한 가치를 추구하는 이육사 시인의 선비정신을 재고(再考)하는 것은 유의미할 것이다. 그의 선비정신은 현대인들에게 교훈을 준다.
  
  
 
[[분류:폼폼푸딩🍮]]
 
[[분류:폼폼푸딩🍮]]

2023년 12월 6일 (수) 18:24 판

개요

'선비정신'에 대한 서술이 이루어지는 페이지이다. '선비'는 학문을 진정으로 즐기고 유덕한(有德) 사람을 지칭하는 단어이다.[1] 선비정신은 유교(儒敎)와 유학 문화를 기반으로 하며, 위험한 상황에서 공공의 대의를 위해 자신을 희생할 줄 아는(見危致命) 의로움, 그리고 당당하고 떳떳한 기개를 지니는 태도를 의미한다. 또한 시대적인 사명감, 책임감과 함께 의리와 지조의 가치를 중시한다.


이육사 시인과의 연관

이육사는 퇴계 이황[2]의 13손인 아버지 '이가호'와 의병장의 딸인 어머니 '허길' 사이에서 태어났다. 즉 그는 그야말로 전통적인 유가적 집안에서 자랐다. 자연스럽게 그의 문학 작품들은 선비정신을 바탕으로 탄생했다.

그에게 선비로서의 대의(大儀)는 항일과 대한독립이었을 것이다.

광야. 절정 등의 시에서 그의 선비정신이 뚜렷하게 드러난다. 그의 의열단 활동과 독립운동 참여 등도, 나라를 위기로부터 구해내려는 선비정신의 실현이라고 볼 수 있다.


의의

이기주의와 물질만능주의가 만연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진정한 가치를 추구하는 이육사 시인의 선비정신을 재고(再考)하는 것은 유의미할 것이다. 그의 선비정신은 현대인들에게 교훈을 준다.

  1. 포천의 인물 ; 한국인의 정신(선비정신), 경기도 아카이브, https://memory.library.kr/items/show/210024722.
  2.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6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