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방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_edu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음운 체계)
(음운)
41번째 줄: 41번째 줄:
 
** ‘벌(罰)-벌:(蜂), 눈(目)-눈:(雪)’ 등에서처럼 모음에 얹히는 음장에 따라 모음의 장단이 구별되고, 장단에 따라 의미가 변별되는 음장 방언권에 속해 있다.  
 
** ‘벌(罰)-벌:(蜂), 눈(目)-눈:(雪)’ 등에서처럼 모음에 얹히는 음장에 따라 모음의 장단이 구별되고, 장단에 따라 의미가 변별되는 음장 방언권에 속해 있다.  
 
** 그러나 ‘벌:(蜂)-일벌, 왕벌, 꿀벌, 눈:(雪)-함박눈, 싸락눈’ 등에서처럼 단어의 첫 음절에서만 변별되며 둘째 음절 이하에서는 그 변별력을 상실한다.
 
** 그러나 ‘벌:(蜂)-일벌, 왕벌, 꿀벌, 눈:(雪)-함박눈, 싸락눈’ 등에서처럼 단어의 첫 음절에서만 변별되며 둘째 음절 이하에서는 그 변별력을 상실한다.
 +
 +
===음운의 변동과 변화===
  
 
==문법==
 
==문법==

2023년 12월 6일 (수) 15:43 판

정의

  • 서울을 포함한 경기도 지역에서 쓰는 말
  • 표준어와 가장 가까운 방언. 그러나 표준어는 언어정책에 따라 인위적으로 정해 놓은 말이고 경기도 안에서도 지역에 따른 방언 차이가 어느 정도 존재하기 때문에 경기도 방언이 표준어와 완전히 같은 것은 아니다.

표준어와의 차이

  • 표준어
    • 전국 공통으로 어디서나 의사소통이 가능한 말을 인위적으로 가려내어서 이상적인 언어로 다듬어 놓은 말.
    • 전국의 중심인 수도권 지역의 말을 그 기반으로 삼고 있다.
  • 표준어를 현대의 서울말과 같은 것으로 이해하는 것은 옳지 못하다. 표준어가 서울말을 기반으로 한 것이기는 하지만 인위적으로 규정했기 때문에 똑같은 성격이 될 수는 없다.
  • 표준어와 경기도 방언의 차이 예시
음운현상 및 어휘 이중모음의 단모음화 어간말자음 전설모음화 움라우트 어휘
표준어 솥을 보습 다리미 벼훑이
경기도 방언 솣을/솟을 보십 대리미 찌깨
표준어 벼룩 쇠스랑 장끼 오른손
경기도 방언 베룩 소시랑 쟁끼 바른손

음운

음운 체계

  • 단모음 체계
    • 'ㅣ,ㅔ,ㅐ,ㅟ,ㅚ,ㅡ,ㅓ,ㅏ,ㅜ,ㅗ' 10개의 단모음
    • 청소년층에서는 'ㅟ,ㅚ'가 이중 모음으로 실현되고, 'ㅔ,ㅐ'가 'E'로 합류되어 'ㅣ,ㅐ(/E/),ㅡ,ㅓ,ㅏ,ㅜ,ㅗ'의 7모음 체계를 보여주기도 한다.
  • 자음 체계
    • 'ㅂ,ㅍ,ㅃ,ㅁ,ㄷ,ㅌ,ㄸ,ㄴ,ㄹ,ㅈ,ㅊ,ㅉ,ㅅ,ㅆ,ㄱ,ㅋ,ㄲ,ㅐ,ㅇ,ㅎ'의 19개의 자음
    • 'ㄹ,ㅇ'은 어두에 오지 못하는 제약을 가지는데, 외국어와 외래어의 영향으로 어두에서도 'ㄹ'을 사용하는 경향이 늘어나고 있다.
    • 음절말에서는 'ㄱ,ㄴ,ㄷ,ㄹ,ㅁ,ㅂ,ㅇ'의 7자음만 실현된다.
  • 운소 체계
    • ‘벌(罰)-벌:(蜂), 눈(目)-눈:(雪)’ 등에서처럼 모음에 얹히는 음장에 따라 모음의 장단이 구별되고, 장단에 따라 의미가 변별되는 음장 방언권에 속해 있다.
    • 그러나 ‘벌:(蜂)-일벌, 왕벌, 꿀벌, 눈:(雪)-함박눈, 싸락눈’ 등에서처럼 단어의 첫 음절에서만 변별되며 둘째 음절 이하에서는 그 변별력을 상실한다.

음운의 변동과 변화

문법

어휘

참고자료

유필재, 경기(서울) 방언 연구의 성과와 과제, 한글 제84권 제3호(2023):869~904쪽

방언연구회, 방언학 사전, 태학사, 2001

기여

  •  : 자료조사 및 페이지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