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_edu
이동: 둘러보기, 검색
19번째 줄: 19번째 줄:
 
<gallery mode="slideshow" caption="정병" heights="100px">
 
<gallery mode="slideshow" caption="정병" heights="100px">
 
파일:정병1.png|200픽셀|서울 삼양동 금동관음보살입상
 
파일:정병1.png|200픽셀|서울 삼양동 금동관음보살입상
파일:정병2.png|200픽셀|금동관음보살입상
+
파일:정병2.png|400픽셀|금동관음보살입상
 
</gallery>
 
</gallery>
  

2023년 12월 6일 (수) 00:24 판

  • 이 문서는 불교유물조각상의 이해를 돕기 위해, 관세음보살의 계인(정병)을 특정하여 설명한다.


설명

계인은 손에 물건[持物]을 든 수인을 말한다. 손에 들고 있는 물건은 지물이라고 지칭한다. 사실 약사불을 제외하고는 불상이 계인을 하는 경우는 거의 없고, 주로 보살·신장·나한상들이 지물을 들고 있다. 지물의 종류는 법구(法具), 무구(武具), 악기, 동식물, 옥류(玉類), 건축물, 장신구, 자연물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난다.

유래

정병(淨甁)
정병은 물을 담는 병으로, 물 가운데서도 가장 깨끗한 물을 넣는 병을 이른다. 부처님 앞에 물공양으로 바치는 불기(佛器)로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불·보살의 지물(持物)로서 구제자(救濟者)를 나타내는 하나의 방편이자 자비심을 표현하기도 한다. 이러한 내용을 잘 표현해 주고 있는 것이 바로 관세음보살이 들고 있는 정병이다. 이 정병에는 감로수가 들어 있어 감로병이라고도 하는데, 관세음보살은 이 감로수로써 모든 중생들의 고통을 덜어 주고 갈증을 해소해 준다.

관련 조각상

관세음보살: 정병(淨甁)을 지물로 한다.
대세지보살: 정병(淨甁), 연꽃을 지물로 한다.

예시

주석


참고자료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