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Pripri2004 (토론 | 기여) (새 문서: 2조..) |
Pripri2004 (토론 | 기여)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개요== | |
+ | [[이육사]] 시인의 시 '광야'에 대한 서술이 이루어지는 페이지이다. | ||
+ | |||
+ | |||
+ | |||
+ | ==본문== | ||
+ | 매운 계절(季節)의 채찍에 갈겨 | ||
+ | 마침내 북방(北方)으로 휩쓸려 오다. | ||
+ | | ||
+ | 하늘도 그만 지쳐 끝난 고원(高原) | ||
+ | 서릿발 칼날진 그 위에 서다. | ||
+ | | ||
+ | 어데다 무릎을 꿇어야 하나 | ||
+ | 한 발 재겨 디딜 곳조차 없다. | ||
+ | | ||
+ | 이러매 눈 감아 생각해 볼밖에 | ||
+ | 겨울은 강철로 된 무지갠가 보다. | ||
+ | |||
+ | |||
+ | ==주제== | ||
+ | |||
+ | |||
+ | |||
+ | ==해설== | ||
+ | |||
+ | * 1연 | ||
+ | '까마득한 날'은 세상이 열리는 태초를 의미한다.<br/> | ||
+ | '닭 우는 소리'는 청각 이미지를 구현한다.<br/> | ||
+ | |||
+ | |||
+ | * 2연 | ||
+ | '이곳'은 불가침의 숭고한 장소를 뜻한다. 즉, 작품의 제목이기도 한 '광야'를 말한다. | ||
+ | |||
+ | |||
+ | * 3연 | ||
+ | '부지런한 계절이 피어선 지고'는 시간의 흐름을 의미한다. | ||
+ | |||
+ | |||
+ | * 4연 | ||
+ | '눈'은 하얀 색, 즉 시각 이미지를 구현한다. 동시에 조국에게 닥친 어려움을 뜻하기도 한다.<br/> | ||
+ | '매화 향기'에서 매화꽃은 혹독한 추위 속에서도 꽃을 피워내, 지조와 절개의 상징으로 활용된다. 또한 '매화 향기'는 후각 이미지를 구현하는 시어다.<br/> | ||
+ | '가난한'에서 역경을 겪고 있는 민족의 정신을 강조한다.<br/> | ||
+ | '가난한 노래의 씨를 뿌려라'는 일제에 대항하자는 굳은 의지가 표현되어 있다. 특히 '노래의 씨'라고 표현되어 있다는 점에서, 시를 통한 저항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고 볼 수 있다.<br/> | ||
+ | |||
+ | |||
+ | ==배경== | ||
+ | |||
+ | |||
+ | ==의의== | ||
+ | |||
+ | |||
+ | ==영향== |
2023년 11월 30일 (목) 13:01 판
개요
이육사 시인의 시 '광야'에 대한 서술이 이루어지는 페이지이다.
본문
매운 계절(季節)의 채찍에 갈겨 마침내 북방(北方)으로 휩쓸려 오다. 하늘도 그만 지쳐 끝난 고원(高原) 서릿발 칼날진 그 위에 서다. 어데다 무릎을 꿇어야 하나 한 발 재겨 디딜 곳조차 없다. 이러매 눈 감아 생각해 볼밖에 겨울은 강철로 된 무지갠가 보다.
주제
해설
- 1연
'까마득한 날'은 세상이 열리는 태초를 의미한다.
'닭 우는 소리'는 청각 이미지를 구현한다.
- 2연
'이곳'은 불가침의 숭고한 장소를 뜻한다. 즉, 작품의 제목이기도 한 '광야'를 말한다.
- 3연
'부지런한 계절이 피어선 지고'는 시간의 흐름을 의미한다.
- 4연
'눈'은 하얀 색, 즉 시각 이미지를 구현한다. 동시에 조국에게 닥친 어려움을 뜻하기도 한다.
'매화 향기'에서 매화꽃은 혹독한 추위 속에서도 꽃을 피워내, 지조와 절개의 상징으로 활용된다. 또한 '매화 향기'는 후각 이미지를 구현하는 시어다.
'가난한'에서 역경을 겪고 있는 민족의 정신을 강조한다.
'가난한 노래의 씨를 뿌려라'는 일제에 대항하자는 굳은 의지가 표현되어 있다. 특히 '노래의 씨'라고 표현되어 있다는 점에서, 시를 통한 저항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