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도방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_edu
이동: 둘러보기, 검색
(기타)
(기타)
83번째 줄: 83번째 줄:
 
  |-
 
  |-
 
  | 'ㅕ' || [ᆜ] || -
 
  | 'ㅕ' || [ᆜ] || -
 +
|-
 +
|}
 +
 +
</br>
 +
* ㄱ, ㄲ, ㅋ의 구개음화 현상이 뚜렷하다.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background:white;"
 +
! 표준어 || 방언
 +
|-
 +
| '''기름''' || [지름]
 +
|-
 +
| '''가깝다''' || [가찹다]
 +
|-
 +
| '''김치''' || [침치], [침채]
 +
|-
 +
|}
 +
 +
</br>
 +
* 중세국어의 'ㅿ, ㅸ'이 'ㅅ, ㅂ'으로 살아남은 경우가 있다.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background:white;"
 +
! 표준어 || 방언
 +
|-
 +
| '''무(채소)''' || 무수, 무시
 +
|-
 +
| '''가위''' || 가새
 +
|-
 +
| '''여우''' || 여시
 +
|-
 +
| '''가까운''' || 가차븐
 
  |-
 
  |-
 
  |}
 
  |}

2023년 11월 30일 (목) 10:46 판

개요

  • 정의 : 한반도의 서남쪽인 전라도에서 쓰이는 한국어의 방언
  • 통용 지역
   전라북도,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등지의 거주민들이 사용하며, 충청남도 서천군과 금산군, 명동군 학산면, 용화면 일부, 제주특별자치도 등 일부 지역이 포함되기도 함

특징

상대높임법

어미

어휘

기타

  • 말 끝에 '-요잉', '-부러', '-(느)ㄴ당께', '-(이)랑께'로 처리하여 비음을 낸다.
표준어 방언
-(으)니까 -(으)ㄴ께
그 외 -한디, -제, -브렀다, -야


  • 청유형 : '동사 + -게'를 사용
헷갈리는 표현 구별 방법
명사 '가게' 명사 '가게'는 '가'를 강조해 발음하는 반면, 전라도 방언은 '-게'를 강조해 발음한다.
하게체 전라도 방언의 '-게'는 뒤에 보조사 '-요'를 붙여 존칭으로 만들 수 있다.


  • ㅎ 축약이 생략되는 경우가 많다.
표기 발음
육학년 [유강년]
백화점 [배과점]
곱하기 [고바기]
뭣하러 [뭐다러]
못한다 [모단다]


  • 강조성 추임새가 많이 활용된다. ex) 아따, 양, 참말로, 겁나게, 허버(허벌나게)


  • 움라우트 현상이 많이 일어난다.

'ㅚ'는 이중모음 [we]가 아닌 [ø] 발음이다.

표준어 방언
토끼 퇴끼
고기 괴기
가랑이 가랭이


  • ㅅ 불규칙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일반형 표준발음 방언발음
긋다 [그얻따], [그어] [그섯다], [그서]


  • 고모음화 현상
표기 발음 예시
'ㅓ', 'ㅢ' [ㅡ] 으샤(의사), 으도(의도), 그짓말(거짓말), 으이(의의), 으리(의리)
'ㅔ' [ㅣ] 비개 (베개)
'ㅕ' [ᆜ] -


  • ㄱ, ㄲ, ㅋ의 구개음화 현상이 뚜렷하다.
표준어 방언
기름 [지름]
가깝다 [가찹다]
김치 [침치], [침채]


  • 중세국어의 'ㅿ, ㅸ'이 'ㅅ, ㅂ'으로 살아남은 경우가 있다.
표준어 방언
무(채소) 무수, 무시
가위 가새
여우 여시
가까운 가차븐

세부지역

전라북도

  • 지도

전라남도

  • 지도

광주광역시

  • 지도

현대의전라도방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