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조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_edu
이동: 둘러보기, 검색
(양식)
(연혁)
20번째 줄: 20번째 줄:
 
! style="width:60px;"|연도 || style="width:370px;"|내용
 
! style="width:60px;"|연도 || style="width:370px;"|내용
 
|-
 
|-
| style="text-align:center"|1593 || 임진왜란 후 월산대군 사저를 정릉동 행궁으로 삼음
+
| style="text-align:center"|1897 || 경운궁 내 지형 측량
 
|-
 
|-
| style="text-align:center"|1611 || 광해군 때 경운궁으로 승격
+
| style="text-align:center"|1903 || 기초공사 시작
 
|-
 
|-
| style="text-align:center"|1896 || 아관파천
+
| style="text-align:center"|1902 || 공사 중단
 
|-
 
|-
| style="text-align:center"|1897 || 고종의 환궁과 대한제국 선포
+
| style="text-align:center"|1903 || 구조공사 시작
 
|-
 
|-
| style="text-align:center"|1904 || 경운궁 대화재
+
| style="text-align:center"|1907 || 내부공사 시작
 
|-
 
|-
| style="text-align:center"|1905 || 중명전에서 을사늑약 체결
+
| style="text-align:center"|1910 || 완공
 
|-
 
|-
| style="text-align:center"|1906 || 주요 전각 복원공사
+
| style="text-align:center"|1922 || 이진 사망<ref>영친왕의 장남<ref/>
 
|-
 
|-
| style="text-align:center"|1907 || 고종 강제퇴위와 덕수궁 개칭
+
| style="text-align:center"|1933 || 경운궁 공원화
 
|-
 
|-
| style="text-align:center"|1910 || 석조전 준공
+
| style="text-align:center"|1938 || 현 국립현대미술관(석조전 서관) 개관
 
|-
 
|-
| style="text-align:center"|1919 || 고종 승하
+
| style="text-align:center"|1946 || 미소공동위원회 개최
|-
 
| style="text-align:center"|2007 || 덕수궁 복원공사 시작
 
|-
 
| style="text-align:center"|2023 || 고종의 길 완공
 
|-
 
| style="text-align:center"|2023 || 돈덕전 복원
 
 
|}
 
|}
  

2024년 6월 10일 (월) 17:01 판


개요

석조전은 대한제국의 대표적인 서양식 건물이다. 고종에 의해 황제국이 선포된 후 대한제국 황궁의 정전으로 만들어졌으며, 동양의 전통 궁궐과 달리 서양 주거 양식을 도입하여 내부에 접견실, 대식당, 침실, 서재 등을 갖추었다.


연혁

연도 내용
1897 경운궁 내 지형 측량
1903 기초공사 시작
1902 공사 중단
1903 구조공사 시작
1907 내부공사 시작
1910 완공
1922 이진 사망<ref>영친왕의 장남인용 오류: 열린 <ref> 태그가 잘못 만들어졌거나 이름이 잘못되었습니다
1933 경운궁 공원화
1938 현 국립현대미술관(석조전 서관) 개관
1946 미소공동위원회 개최

특징

건축 특징

- 영국인 하딩이 설계를 맡아 1900년부터 10년에 걸쳐 공사 진행
- 정면 54m, 너비 31m
- 외견상 3층 석조건물(지하 1층, 지상 2층)
- 그리스 신전 건축에 기초한 신고전주의 건축 양식
→ 엄격한 비례와 균형, 대칭의 질서와 조화 추구

양식

르네상스의 러스티케이션을 연상시키는 기단 위에 중앙 페디먼트를 중심으로 좌우에 대칭적으로 기둥을 줄지어 세운 것은 전형적인 신고전주의 건축의 특징이다.













- 전면 중앙부 돌출, 페디먼트에는 대한제국을 상징하는 오얏꽃 무늬
- 정면 현관부에는 둥근 기둥을 사용했고 좌우 회랑 부분에는 사각 기둥을 사용해 변화를 줌

참고문헌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