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당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_edu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big>당(幢: 불화를 그린 기)을 달아두는 장대</big> *사찰의 입구에 세우는 깃대의 일종으로, 찰간(刹竿)·장간(長竿)·정간(旌竿)·기간(旗竿)...)
 
1번째 줄: 1번째 줄:
 
<big>당(幢: 불화를 그린 기)을 달아두는 장대</big>
 
<big>당(幢: 불화를 그린 기)을 달아두는 장대</big>
 +
----
  
 
*사찰의 입구에 세우는 깃대의 일종으로, 찰간(刹竿)·장간(長竿)·정간(旌竿)·기간(旗竿)·치간(幟竿)·번간(幡竿)·범장(帆檣)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주로 나무·돌·구리·쇠 등으로 만든다.  
 
*사찰의 입구에 세우는 깃대의 일종으로, 찰간(刹竿)·장간(長竿)·정간(旌竿)·기간(旗竿)·치간(幟竿)·번간(幡竿)·범장(帆檣)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주로 나무·돌·구리·쇠 등으로 만든다.  

2023년 12월 11일 (월) 11:25 판

당(幢: 불화를 그린 기)을 달아두는 장대


  • 사찰의 입구에 세우는 깃대의 일종으로, 찰간(刹竿)·장간(長竿)·정간(旌竿)·기간(旗竿)·치간(幟竿)·번간(幡竿)·범장(帆檣)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주로 나무·돌·구리·쇠 등으로 만든다.

당간의 끝에는 보통 당을 달아두지만 현재 당이 남아 있는 것은 거의 없으며, 당간을 지탱하는 지주(支柱)만이 남아 있다. 당간 또한 오랜 세월이 지남에 따라 도괴되고 파손되어 그 유례가 많지 않다.

현존하는 당간의 유례는 공주 갑사 철당간(보물, 1963년 지정)을 비롯하여 청주 용두사지 철당간(국보, 1962년 지정), 안성 칠장사 등 철제당간 3기와, 석제당간으로는 나주 동점문 밖 석당간(보물, 1963년 지정)·담양 객사리 석당간(보물, 1969년 지정)과 비지정 당간이 몇 기 있다. 위의 네 곳의 당간 중 공주 갑사 철당간은 통일신라시대의 작품으로 추정되며, 나머지 3기는 고려시대의 작품이다.

3기의 당간 중 청주 용두사지 철당간은 철제로서 20개의 원통형 주철을 상하가 서로 물려 이어지게 쌓아올렸는데, 특히 밑에서 세 번째 원통 표면에 양주(陽鑄)된 393자의 용두사당간기(龍頭寺幢竿記)에 962년(광종 13)이라는 주조연대를 밝히고 있다. 이 당간기에 의하면 애초에는 30단의 주통이었으며 높이는 60자(18.18m)였음을 알 수 있다.

당간은 파사현정(破邪顯正: 사도를 파괴하여 정법을 드러냄.)의 뜻을 가지고 있으며, 『범어사사적(梵魚寺事蹟)』에 의하면 절(節)은 33범천(梵天)을 상징하여 33단을 세웠다고 한다. 또한, 『고려도경』 흥국사조(興國寺條)에는 개성 흥국사에는 10여장(丈), 즉 30여m 되는 동주당간(銅鑄幢竿)이 법당 뒤 마당에 세워져 있었는데, 당간 표면에는 황금칠을 하고 당간 정상에는 봉황의 머리장식을 하였으며 그곳에 비단으로 된 당을 달았다고 기록되어 있다. 978년(경종 3)에 세운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瑞山普願寺址法印國師塔碑)는 당간을 절 마당에 세웠으며 범패(梵旆: 기)를 그 위에 달았음을 말해 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