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위사 극락보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_edu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련 유물)
(특징)
35번째 줄: 35번째 줄:
 
*건물 앞면에는 4분합 문<ref>격자모양과 빗살모양을 섞어 만든 형태이다.</ref>이 달려 있고, 옆면에는 출입살문, 뒷면에는 칸마다 판자문과 창이 설치되어 있다.
 
*건물 앞면에는 4분합 문<ref>격자모양과 빗살모양을 섞어 만든 형태이다.</ref>이 달려 있고, 옆면에는 출입살문, 뒷면에는 칸마다 판자문과 창이 설치되어 있다.
 
*내부 바닥재는 보편적으로 쓰이는 마루 대신 전돌을 사용했고, 천장은 연등천장 형태이다.
 
*내부 바닥재는 보편적으로 쓰이는 마루 대신 전돌을 사용했고, 천장은 연등천장 형태이다.
*외포는 조선 초기 주심포 건물 양식이 반영되어 있다.
+
*외포는 [[조선]] 초기 주심포 건물 양식이 반영되어 있다.
 
<br/><br/>
 
<br/><br/>
  

2023년 12월 10일 (일) 04:58 판

대한민국 국보 제13호(1962.12.20 지정)

<출처: 국가문화유산포털>

건축물 정보

명칭

  • 한글: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 한자: 康津 無爲寺 極樂寶殿
  • 영문: Geungnakbojeon Hall of Muwisa Temple, Gangjin



분류

  •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불전



소재지

  • 전남 강진군 성전면 무위사로 308, 무위사 (월하리)



특징

무위사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인 무위사 극락보전은 조선 초기 양식이 잘 드러나는 건축물로 직선 재료를 주로 사용하여 간결하고 균형 있는 짜임새가 돋보인다.

  • 정면 3칸, 측면 3칸의 규모이다.
  • 기단은 엇맞추어 쌓은 석단에 갑석을 둘러 만들어졌다. 기단의 앞쪽만 높게 쌓고 옆면과 뒷면은 지세를 이용했다.
  • 배흘림기둥이 사용되었다.
  • 지붕은 단층 겹처마집으로 맞배지붕 구조이다.
  • 2중량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외부에서는 드러나지 않는다.
  • 건물 앞면에는 4분합 문[1]이 달려 있고, 옆면에는 출입살문, 뒷면에는 칸마다 판자문과 창이 설치되어 있다.
  • 내부 바닥재는 보편적으로 쓰이는 마루 대신 전돌을 사용했고, 천장은 연등천장 형태이다.
  • 외포는 조선 초기 주심포 건물 양식이 반영되어 있다.



역사

  • 세종 12년(1430)에 지어졌다고 알려져 있다.
  • 무위사에 현존하는 다른 건물이 대부분 명종 10년(1555)에 건립된 것과 달리 극락보전은 1956년 수리공사 도중 본존불 뒷벽 벽화에 쓰인 연기문[2]을 발견하여 성종 7년(1476) 이전에 지어졌음이 밝혀졌다.



관련 유물

아미타삼존불 및 29점의 벽화가 있었으나 현재는 불상 뒤에 위치한 한 점의 그림 외에는 전시관에 보관되어 있다.

  • 아미타삼존좌불상은 내부 뒤쪽 중앙부에 마련된 불단에 봉안되어 있다.
  • 불상 뒤 벽화는 성종 7년(1476)에 조성되었다.
  • 그 외에 측면 벽의 벽화들은 조선 전기 작품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벽체를 그대로 전시관에 옮겨 보존하고 있다.



참고자료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康津 無爲寺 極樂寶殿), 국가문화유산포털, [1]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康津 無爲寺 極樂寶殿),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

각주

  1. 격자모양과 빗살모양을 섞어 만든 형태이다.
  2. 緣起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