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인사 장경판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_edu
이동: 둘러보기, 검색
(명칭)
(소재지)
19번째 줄: 19번째 줄:
 
<br/>
 
<br/>
 
* 경남 합천군 가야면 해인사길 122
 
* 경남 합천군 가야면 해인사길 122
 +
<html>
 +
<iframe src="https://www.google.com/maps/d/embed?mid=1hSois1IFls7nGbsMJbExheXMcAKBKA0&ehbc=2E312F&noprof=1" width="640" height="480"></iframe>
 +
</html>
 
<br/><br/>
 
<br/><br/>
 +
 
===특징===
 
===특징===
 
<br/>
 
<br/>

2023년 12월 10일 (일) 04:42 판

대한민국 국보 제52호(1962.12.20 지정)

<출처: 국가문화유산포털>

건축물 정보

명칭


  • 한글: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
  • 한자: 陜川 海印寺 藏經板殿
  • 영문: Janggyeongpanjeon Depositories of Haeinsa Temple, Hapcheon



분류


  •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기타



소재지


  • 경남 합천군 가야면 해인사길 122



특징


  • 팔만대장경 봉안 목적으로 지어진 건축물이며, 현재 해인사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이다.


  • 두 개의 중심 건물이 있고 중심 건물들 사이에 있는 작은 건물 두 개가 마당을 중심으로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 정면 15칸, 측면 2칸 규모의 두 중심 건물 중 수다라장이 남쪽에 위치하였고 법보전은 북쪽에 자리하고 있다.
    • 각각 동쪽과 서쪽에 위치한 작은 서고의 명칭은 동·서사간판전이며 정면 2칸, 측면 1칸 규모이다.


  • 간결하고 소박한 조선 초기 목구조 형식이 반영되어 있다.
  • 대장경판 보관이라는 목적을 위해 건물의 기능에 집중하여 장식적인 요소는 배제하였다.
  • 통풍을 위해 각 칸마다 창이 있고 남쪽과 북쪽 창문의 크기가 다르게 제작되었다.
  • 습도 조절을 위해서 안쪽 흙바닥에 숯, 횟가루, 소금이 함께 들어가 있다.
  • 자연환경을 이용한 과학적, 합리적 설계 덕분에 현재까지도 대장경판을 온전히 보존하는 역할을 잘 수행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역사


  • 정확한 건축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세조 3년(1457)에 판전 약 40칸을 중창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 성종 19년(1488)에는 왕실의 후원을 받아 석조대사가 30칸의 대장경 경각을 중건한 다음 보안당이라고 칭했다.
  • 광해군 14년(1622)에 수다라장을 중수했다.
  • 인조 2년(1624)에 법보전을 중수하였다는 기록이 1964년 복구 작업 과정에서 발견된 상량문을 통해 밝혀졌다.
  • 산세가 거친 가야산에 위치한 덕분에 화재나 전란으로 인한 피해를 입지 않고 보존될 수 있었다.
  • 1995년 12월에 유네스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관련 문화재


해인사 대장경판

참고자료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 (陜川 海印寺 藏經板殿), 국가문화유산포털, [1]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 (陜川 海印寺 藏經板殿),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
해인사 장경판전, 문화재청, [3]
해인사 장경판전, 유네스코와 유산,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