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인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_edu
이동: 둘러보기, 검색
(주요 유물)
19번째 줄: 19번째 줄:
 
[[파일:해인사팔만대장경.jpg]]
 
[[파일:해인사팔만대장경.jpg]]
  
 +
 +
 +
합천 해인사 법보전 비로자나불좌상 및 복장유물, 합천 해인사 대적광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복장유물</br>
 
[[파일:해인사쌍둥이불상.jpg]]</br>
 
[[파일:해인사쌍둥이불상.jpg]]</br>
 
국내에 현존하는 목조 불상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경남 합천 해인사의 ‘신라 쌍둥이 불상’(국보로 승격됨)
 
국내에 현존하는 목조 불상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경남 합천 해인사의 ‘신라 쌍둥이 불상’(국보로 승격됨)
  
합천 해인사 법보전 비로자나불좌상 및 복장유물, 합천 해인사 대적광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복장유물</br>
 
 
2012년 함께 보물로 지정됐던 두 불상이 10년 만에 국보로 승격됐다.
 
2012년 함께 보물로 지정됐던 두 불상이 10년 만에 국보로 승격됐다.
  

2023년 12월 8일 (금) 10:55 판

합천 해인사

위치

대한민국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가야산

주요 유물

희랑대사좌상.jpg

고려시대 승려 ‘희랑대사’의 실제 모습을 조각한 ‘합천 해인사 건칠희랑대사좌상’(보물 제999호)

  • 2020년에 국보로 승격됐다.
  • 건칠희랑대사좌상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초상 조각으로, 고려시대인 10세기 전반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 희랑대사는 태조 왕건이 후삼국을 통일하는데 큰 도움을 준 인물로 왕건은 그 은혜에 보답하고자 해인사 중창(낡은 건물을 헐거나 고쳐서 다시 지음)에 필요한 토지를 하사하고 국가의 중요 문서를 해인사에 두었다.
    • 문화재청에 따르면 비슷한 시기 중국과 일본에서는 고승(승려를 높여 이르는 말)의 조각상을 많이 제작했지만 우리나라에는 유례(같거나 비슷한 예)가 거의 전해지지 않으며 ‘희랑대사좌상’이 실제 생존했던 고승의 모습을 재현한 유일한 조각품으로 전래[1]되고 있다.
    •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의 조사 결과, 이 조각상은 얼굴과 가슴, 손, 무릎 등 앞면은 건칠(삼베 등에 옻칠해 여러 번 둘러 형상을 만드는 기법)로, 등과 바닥은 나무를 조합해 만들어졌고 후대에도 변형 없이 제작 당시의 원형을 잘 간직하고 있다.
    • 문화재청은 “제작 당시 모습이 잘 남아 있고 실존했던 고승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재현해 내면의 인품까지 표현한 점에서 예술적 가치가 뛰어나다”면서 “고려 초 10세기 우리나라 초상조각의 실체를 알려주는 매우 귀중한 작품이자 희랑대사의 높은 정신세계를 조각예술로 승화시켰다는 점에서 역사ㆍ예술ㆍ학술 가치가 탁월하다”고 밝혔다.

팔만대장경
해인사팔만대장경.jpg


합천 해인사 법보전 비로자나불좌상 및 복장유물, 합천 해인사 대적광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복장유물
해인사쌍둥이불상.jpg
국내에 현존하는 목조 불상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경남 합천 해인사의 ‘신라 쌍둥이 불상’(국보로 승격됨)

2012년 함께 보물로 지정됐던 두 불상이 10년 만에 국보로 승격됐다.

관련 전설

(미완성)

  1. 예로부터 전하여 내려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