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방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참고자료) |
|||
31번째 줄: | 31번째 줄: | ||
==어휘== | ==어휘== | ||
==참고자료== | ==참고자료== | ||
+ | 유필재, 경기(서울) 방언 연구의 성과와 과제, 한글 제84권 제3호(2023):869~904쪽 | ||
==기여== | ==기여== |
2023년 12월 6일 (수) 15:14 판
정의
- 서울을 포함한 경기도 지역에서 쓰는 말
- 표준어와 가장 가까운 방언. 그러나 표준어는 언어정책에 따라 인위적으로 정해 놓은 말이고 경기도 안에서도 지역에 따른 방언 차이가 어느 정도 존재하기 때문에 경기도 방언이 표준어와 완전히 같은 것은 아니다.
표준어와의 차이
- 표준어
- 전국 공통으로 어디서나 의사소통이 가능한 말을 인위적으로 가려내어서 이상적인 언어로 다듬어 놓은 말.
- 전국의 중심인 수도권 지역의 말을 그 기반으로 삼고 있다.
- 표준어를 현대의 서울말과 같은 것으로 이해하는 것은 옳지 못하다. 표준어가 서울말을 기반으로 한 것이기는 하지만 인위적으로 규정했기 때문에 똑같은 성격이 될 수는 없다.
- 표준어와 경기도 방언의 차이 예시
음운현상 및 어휘 | 이중모음의 단모음화 | 어간말자음 | 전설모음화 | 움라우트 | 어휘 |
---|---|---|---|---|---|
표준어 | 벼 | 솥을 | 보습 | 다리미 | 벼훑이 |
경기도 방언 | 베 | 솣을/솟을 | 보십 | 대리미 | 찌깨 |
표준어 | 벼룩 | 칡 | 쇠스랑 | 장끼 | 오른손 |
경기도 방언 | 베룩 | 칙 | 소시랑 | 쟁끼 | 바른손 |
음운
문법
어휘
참고자료
유필재, 경기(서울) 방언 연구의 성과와 과제, 한글 제84권 제3호(2023):869~904쪽
기여
- ★ : 자료조사 및 페이지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