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조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환수 시도)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5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 | ===<font color="#cc3333">기본정보</font>=== |
− | [[파일: | + | [[파일:독조도.jpg|300픽셀]]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background:white;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background:white; | ||
| 환수경로 || 미환수 (일본 ) | | 환수경로 || 미환수 (일본 ) | ||
6번째 줄: | 6번째 줄: | ||
| 시기 || 조선, 15세기 후반 | | 시기 || 조선, 15세기 후반 | ||
|- | |- | ||
− | |형태 || 종이에 수묵 | + | |형태 || 종이에 수묵 |
|- | |- | ||
|현소장처 || 일본 도쿄박물관 | |현소장처 || 일본 도쿄박물관 | ||
|} | |} | ||
− | === | + | 독조도는 조선 전기의 유명한 문장가이자 화가로 알려진 강희맹의 작품 중 유일하게 현존하는 작품이다. |
− | ==== | + | |
+ | ---- | ||
+ | |||
+ | ===<font color="#cc3333">외관</font>=== | ||
+ | ====형태==== | ||
+ | |||
+ | 독조도는 전체 86 x 132 cm의 크기이다. | ||
+ | |||
+ | ====재질==== | ||
+ | |||
+ | 족자비단에 담채를 한 것으로 먹의 농담 변화와 번지는 효과를 이용해 나무를 입체적으로 포현하였다. | ||
+ | |||
+ | ---- | ||
+ | |||
+ | ===<font color="#cc3333">독조도의 의미</font>=== | ||
독조도는 홀로 낚시하는 그림이라는 제목의 그림으로 거룻배를 띄어 놓고 홀로 낚시하고 있는 고결한 선비를 주제로 그린 그림이다. | 독조도는 홀로 낚시하는 그림이라는 제목의 그림으로 거룻배를 띄어 놓고 홀로 낚시하고 있는 고결한 선비를 주제로 그린 그림이다. | ||
− | 강변의 말라죽은 교목 두 그루를 중심으로 갈대 숲, 강 위의 배와 배 위에서 낚시를 즐기는 인물 그리고 모래언덕 등 강가의 풍경을 화려하게 담아냈다. 강가 갈대 밭 옆에 정박한 조각배 위에 낚싯대를 걷어 올린 채 노에 기대어 있는 선비는 쌀쌀한 기운이 채 가시지 않은 봄의 스산한 분위기 속에서 강 너머를 응시하며 상념에 잠겨있다. | + | 강변의 말라죽은 교목 두 그루를 중심으로 갈대 숲, 강 위의 배와 배 위에서 낚시를 즐기는 인물 그리고 모래언덕 등 강가의 풍경을 화려하게 담아냈다. |
+ | <br/> | ||
+ | 강가 갈대 밭 옆에 정박한 조각배 위에 낚싯대를 걷어 올린 채 노에 기대어 있는 선비는 쌀쌀한 기운이 채 가시지 않은 봄의 스산한 분위기 속에서 강 너머를 응시하며 상념에 잠겨있다. | ||
− | 이 작품은 은유자적하는 선비의 은일사상을 반영하는 것으로 능란한 수묵을 구사한 조선 초기 회화의 돋보이는 수작이다. 먹의 농담 변화와 번지는 효과를 | + | 이 작품은 은유자적하는 선비의 은일사상을 반영하는 것으로 능란한 수묵을 구사한 조선 초기 회화의 돋보이는 수작이다. |
+ | <br/> | ||
+ | 먹의 농담 변화와 번지는 효과를 이용한 나무의 표현과 갈대 숲과 강변의 모래언덕 그리고 인물 묘사 등 빠른 붓질의 대담한 수법이 나타난다. | ||
+ | <br/> | ||
+ | 그리고 전체적으로 진한 수묵의 과량감은 ''''선종화적 표현''''을 연상시킨다. | ||
− | ====독조도를 그린 인물, 강희맹 ==== | + | ---- |
+ | |||
+ | ===<font color="#cc3333">독조도를 그린 인물, 강희맹</font>=== | ||
+ | ====문인 강희맹==== | ||
강희맹은 조선 초기의 선비화가로 세종에서 성종때까지 6대에 걸쳐 관직생활을 한 조선초기 문인이자 문장가이며 화가였다. | 강희맹은 조선 초기의 선비화가로 세종에서 성종때까지 6대에 걸쳐 관직생활을 한 조선초기 문인이자 문장가이며 화가였다. | ||
− | 그는 세종 29년(1447)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벼슬을 거쳐 좌찬성 등을 역임하였다. 또한 | + | 그는 세종 29년(1447)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벼슬을 거쳐 좌찬성 등을 역임하였다. |
+ | <br/> | ||
+ | 당대의 뛰어난 문장가였으며 나랏일에서는 맡은 일을 완벽하게 처리하면서도 겸손하여 나서기를 좋아하지 않았다고 한다. | ||
+ | <br/> | ||
+ | 또한 사대부로서의 관인적 취향과 섬세한 감각을 가진 문인이면서도 농촌 사회에 전승되고 있는 민요와 설화에 깊은 관심을 가졌는데, 관인문학의 틀을 스스로 깨뜨려 버리는 면이 있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 ||
− | + | 특히 소나무와 대나무 및 산수화를 잘 그렸는데 현존하는 그의 그림은 '독조도'가 유일하다. | |
− | + | ====강희맹의 가족관계 ==== | |
+ | |||
+ | 강희맹의 가계도를 바라보면 흥미로운 사실을 알 수 있다. | ||
+ | |||
+ | 강희맹의 어머니는 영의정 심온의 딸로 세종의 비인 소헌왕후의 동생이다. | ||
+ | </br> | ||
+ | 따라서 세종이 강희맹의 이모부였으며 세조와는 이종사촌이 된다. | ||
+ | </br> | ||
+ | 실제로 세조의 각별한 총애를 받으며 활발한 정치활동을 하기도 했다. | ||
+ | |||
+ | 또한 그의 형은 강희안으로 조선 초기의 실력있는 화가이다. | ||
+ | </br> | ||
+ | 시와 글씨 그리고 그림에 모두 뛰어나 '삼절'이라고 불렸다. | ||
+ | </br> | ||
+ | 강희맹 형제는 예술적 감각이 뛰어난 기질을 갖고 태어났으며 형제가 모두 그 실력을 자랑했다. | ||
+ | |||
+ | ---- | ||
+ | |||
+ | ===<font color="#cc3333">유출루트</font>=== | ||
+ | |||
+ | 독조도는 오구라 다케노스케라는 재조일본인이 한반도에서 수집해 일본에 가져가면서 유출되었다. | ||
+ | |||
+ | 일제강점기 남선합동전기회사 사장이던 오구라 다케노스케는 조선에서 몇 천여점의 유물들을 일본으로 가져갔다. | ||
+ | <br/> | ||
+ | 그의 이름으로 도쿄국립박물관에 기증된 1100여점 등 공식 확인된 것만 2200여점이다. 이 중 39점은 일본 국가문화재로 지정될 정도로 수준이 높다. | ||
+ | <br/> | ||
+ | 이러한 수많은 유물들을 오구라 컬렉션이라 부르며 도쿄국립박물관에 대다수를 기증하였다. | ||
+ | |||
+ | |||
+ | 이 컬렉션의 유물들은 현재 환수가능성이 낮다. 왜냐하면 한·일 협정으로 약탈 문화재 반환문제는 해결되었다는 논리 때문이다. | ||
+ | <br/> | ||
+ | 일본에 있는 문화재이기 때문에 아예 실태파악 단계에서부터 어려움을 겪는데. 어떤 문화재가 어디에 있는지, 약탈된 것인지, 어떻게 유통됐는지 실태를 파악하는 게 우선이지만 환수 논란으로 일본 기관들이 공개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 ||
− | + | ---- | |
+ | ===<font color="#cc3333">환수시도</font>=== | ||
+ | ====시흥문화원 주도하의 반환운동==== | ||
2009년 경기도 시흥시에 위치한 시흥문화원에 의해 '독조도 반환 운동'이 진행되었다. | 2009년 경기도 시흥시에 위치한 시흥문화원에 의해 '독조도 반환 운동'이 진행되었다. | ||
− | 강희맹은 시흥에 연고를 둔 인물이다. | + | 강희맹은 시흥에 연고를 둔 인물이다. 이에 지방 단위의 단체인 시흥문화원에서 독조도 반환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2009년 기관 자체 예산을 통해 반환 운동을 전개하였다. |
+ | |||
+ | 2009년 8월 10일부터 12월까지의 약 4개월 간의 서명운동을 펼쳤고 시민들의 호응을 통해 반환 필요성을 알리고 일본 도쿄 박물관에 항의하였다. | ||
+ | <br/> | ||
+ | 1천여 명의 서명을 받으며 시민들과 함께 노력했지만 아직까지 독조도는 반환되지 못했다. | ||
+ | |||
+ | ====반환 실패 원인==== | ||
+ | 초반에는 시흥문화원 자체 예산으로 반환 운동을 펼쳤지만 지속적인 자금이나 정부 지원이 없기 때문에 시민들이 환수 활동을 이어나가기 힘들었다. | ||
+ | <br/> | ||
+ | 시민들은 문화재청 산하기관인 국외소재문화재 재단 공모사업을 통해 예산을 확보하고 있는데 이에 떨어지면 사실상 사업을 유지해 나가기 힘들기 때문이다. | ||
+ | <br/> | ||
+ | 경기도는 2016년 도내 국외소재 문화재 환수 활동기관을 지원하는 내용의 조례를 제정했지만 실질적인 예산 지원은 현재 없는 상황이다. | ||
+ | <br/> | ||
+ | 지자체 입장에서는 성과가 없기 때문에 예산을 삭감해야하고 약탈 문화재 환수 가능성을 높게 책정할 수 없어 예산을 세울 근거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 ||
− | + | [[분류:옷차림]] |
2024년 12월 4일 (수) 11:00 기준 최신판
목차
기본정보
환수경로 | 미환수 (일본 ) |
시기 | 조선, 15세기 후반 |
형태 | 종이에 수묵 |
현소장처 | 일본 도쿄박물관 |
독조도는 조선 전기의 유명한 문장가이자 화가로 알려진 강희맹의 작품 중 유일하게 현존하는 작품이다.
외관
형태
독조도는 전체 86 x 132 cm의 크기이다.
재질
족자비단에 담채를 한 것으로 먹의 농담 변화와 번지는 효과를 이용해 나무를 입체적으로 포현하였다.
독조도의 의미
독조도는 홀로 낚시하는 그림이라는 제목의 그림으로 거룻배를 띄어 놓고 홀로 낚시하고 있는 고결한 선비를 주제로 그린 그림이다.
강변의 말라죽은 교목 두 그루를 중심으로 갈대 숲, 강 위의 배와 배 위에서 낚시를 즐기는 인물 그리고 모래언덕 등 강가의 풍경을 화려하게 담아냈다.
강가 갈대 밭 옆에 정박한 조각배 위에 낚싯대를 걷어 올린 채 노에 기대어 있는 선비는 쌀쌀한 기운이 채 가시지 않은 봄의 스산한 분위기 속에서 강 너머를 응시하며 상념에 잠겨있다.
이 작품은 은유자적하는 선비의 은일사상을 반영하는 것으로 능란한 수묵을 구사한 조선 초기 회화의 돋보이는 수작이다.
먹의 농담 변화와 번지는 효과를 이용한 나무의 표현과 갈대 숲과 강변의 모래언덕 그리고 인물 묘사 등 빠른 붓질의 대담한 수법이 나타난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진한 수묵의 과량감은 '선종화적 표현'을 연상시킨다.
독조도를 그린 인물, 강희맹
문인 강희맹
강희맹은 조선 초기의 선비화가로 세종에서 성종때까지 6대에 걸쳐 관직생활을 한 조선초기 문인이자 문장가이며 화가였다.
그는 세종 29년(1447)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벼슬을 거쳐 좌찬성 등을 역임하였다.
당대의 뛰어난 문장가였으며 나랏일에서는 맡은 일을 완벽하게 처리하면서도 겸손하여 나서기를 좋아하지 않았다고 한다.
또한 사대부로서의 관인적 취향과 섬세한 감각을 가진 문인이면서도 농촌 사회에 전승되고 있는 민요와 설화에 깊은 관심을 가졌는데, 관인문학의 틀을 스스로 깨뜨려 버리는 면이 있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소나무와 대나무 및 산수화를 잘 그렸는데 현존하는 그의 그림은 '독조도'가 유일하다.
강희맹의 가족관계
강희맹의 가계도를 바라보면 흥미로운 사실을 알 수 있다.
강희맹의 어머니는 영의정 심온의 딸로 세종의 비인 소헌왕후의 동생이다.
따라서 세종이 강희맹의 이모부였으며 세조와는 이종사촌이 된다.
실제로 세조의 각별한 총애를 받으며 활발한 정치활동을 하기도 했다.
또한 그의 형은 강희안으로 조선 초기의 실력있는 화가이다.
시와 글씨 그리고 그림에 모두 뛰어나 '삼절'이라고 불렸다.
강희맹 형제는 예술적 감각이 뛰어난 기질을 갖고 태어났으며 형제가 모두 그 실력을 자랑했다.
유출루트
독조도는 오구라 다케노스케라는 재조일본인이 한반도에서 수집해 일본에 가져가면서 유출되었다.
일제강점기 남선합동전기회사 사장이던 오구라 다케노스케는 조선에서 몇 천여점의 유물들을 일본으로 가져갔다.
그의 이름으로 도쿄국립박물관에 기증된 1100여점 등 공식 확인된 것만 2200여점이다. 이 중 39점은 일본 국가문화재로 지정될 정도로 수준이 높다.
이러한 수많은 유물들을 오구라 컬렉션이라 부르며 도쿄국립박물관에 대다수를 기증하였다.
이 컬렉션의 유물들은 현재 환수가능성이 낮다. 왜냐하면 한·일 협정으로 약탈 문화재 반환문제는 해결되었다는 논리 때문이다.
일본에 있는 문화재이기 때문에 아예 실태파악 단계에서부터 어려움을 겪는데. 어떤 문화재가 어디에 있는지, 약탈된 것인지, 어떻게 유통됐는지 실태를 파악하는 게 우선이지만 환수 논란으로 일본 기관들이 공개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환수시도
시흥문화원 주도하의 반환운동
2009년 경기도 시흥시에 위치한 시흥문화원에 의해 '독조도 반환 운동'이 진행되었다.
강희맹은 시흥에 연고를 둔 인물이다. 이에 지방 단위의 단체인 시흥문화원에서 독조도 반환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2009년 기관 자체 예산을 통해 반환 운동을 전개하였다.
2009년 8월 10일부터 12월까지의 약 4개월 간의 서명운동을 펼쳤고 시민들의 호응을 통해 반환 필요성을 알리고 일본 도쿄 박물관에 항의하였다.
1천여 명의 서명을 받으며 시민들과 함께 노력했지만 아직까지 독조도는 반환되지 못했다.
반환 실패 원인
초반에는 시흥문화원 자체 예산으로 반환 운동을 펼쳤지만 지속적인 자금이나 정부 지원이 없기 때문에 시민들이 환수 활동을 이어나가기 힘들었다.
시민들은 문화재청 산하기관인 국외소재문화재 재단 공모사업을 통해 예산을 확보하고 있는데 이에 떨어지면 사실상 사업을 유지해 나가기 힘들기 때문이다.
경기도는 2016년 도내 국외소재 문화재 환수 활동기관을 지원하는 내용의 조례를 제정했지만 실질적인 예산 지원은 현재 없는 상황이다.
지자체 입장에서는 성과가 없기 때문에 예산을 삭감해야하고 약탈 문화재 환수 가능성을 높게 책정할 수 없어 예산을 세울 근거가 부족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