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년왕조 중간고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기여) |
(→기여) |
||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9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span class="mw-ui-button {{#switch: {{{color|white}}} | blue = mw-ui-progressive}}" role="button" aria-disabled="false">{{{1|<span style="color:gray; background:yellow"> '''기획안 작성'''</span>}}}</span> | <span class="mw-ui-button {{#switch: {{{color|white}}} | blue = mw-ui-progressive}}" role="button" aria-disabled="false">{{{1|<span style="color:gray; background:yellow"> '''기획안 작성'''</span>}}}</span> | ||
− | |||
− | |||
− | |||
− | |||
==<div style="background-color:lightblue; margin: 0; border: 3px solid ForestGreen; padding: 3px ; border-radius:100px">콘텐츠 주제== | ==<div style="background-color:lightblue; margin: 0; border: 3px solid ForestGreen; padding: 3px ; border-radius:100px">콘텐츠 주제== | ||
19번째 줄: | 15번째 줄: | ||
===기여=== | ===기여=== | ||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 |
+ | |+ 18분반 천년왕조 | ||
+ | |+ style="caption-side:bottom; text-align:right;"| | ||
+ | !팀명 || 팀원 || 기여내용 || 자체평가 | ||
+ | |- | ||
+ | | rowspan="7" | 천년왕조 || [[도깨비불]] || 사진 첨부 및 주제 작성 ||style="background:lightblue; color:white" | 100 | ||
+ | |- | ||
+ | | [[마이구미호]] || 주제 멘트 고안 || style="background:lightblue; color:white" | 100 | ||
+ | |- | ||
+ | |} | ||
=='''팀원'''== | =='''팀원'''== | ||
30번째 줄: | 35번째 줄: | ||
*[[샛별같은 한국 신화 엮음집]] | *[[샛별같은 한국 신화 엮음집]] | ||
− | == | + | ===기여=== |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 |
− | + | |+ 18분반 천년왕조 | |
− | + | |+ style="caption-side:bottom; text-align:right;"| | |
+ | !팀명 || 팀원 || 기여내용 || 자체평가 | ||
+ | |- | ||
+ | | rowspan="7" | 천년왕조 || [[알지]] || 위키 문서 제목 고안 ||style="background:lightblue; color:white" | 100 | ||
+ | |- | ||
+ | |} | ||
==<div style="background-color:lightblue; margin: 0; border: 3px solid ForestGreen; padding: 3px ; border-radius:100px">기획의도== | ==<div style="background-color:lightblue; margin: 0; border: 3px solid ForestGreen; padding: 3px ; border-radius:100px">기획의도== | ||
− | *신화를 만드는 것은 인간의 본성이다. 무심코 지나치는 자연현상과 인간의 근원적 정체성을 탐구하고 우리 삶에 의미를 부여하는 신화는 세계 곳곳에 다양한 방식으로 존재한다. 신화는 단지 신 위주의 주제로만 전개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삶에 핵심을 두고 있다. 신이나 초월적 자연현상에서도 '인간됨'을 고민한 흔적이 보이는 것이다. 신화는 ‘인간표현’이라는 주제를 함축하고 있어, 인간의 원초적 삶과 정신의식을 밝혀줌으로써 그 어떤 문학양식보다도 본질에 충실한 성격을 간직해왔다. 어디에서든 이야기를 만들어 내는 호모 나란스 (Homo Narrans)인 우리 인간은 각자의 신화를 끊임없이 재전유하며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냈다. 신화는 새로운 이야기의 모태인 셈이다. 그리스로마신화같은 다른 나라의 신화들은 잘 알려져 있는 반면, 우리나라의 신화들은 대중들에게 주목받지 못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사람들이 신화는 과거에만 머무르는 옛날 이야기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아쉽다. 하지만, 신화는 단순히 과거에 얽매인 전통에 그치는 것이 아니다. 대중매체의 발달과 더불어 하나의 데이터 베이스로 정리된다면 현대 사회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질 수 있는 소재다. | + | *신화를 만드는 것은 인간의 본성이다. 무심코 지나치는 자연현상과 인간의 근원적 정체성을 탐구하고 우리 삶에 의미를 부여하는 신화는 세계 곳곳에 다양한 방식으로 존재한다. 신화는 단지 신 위주의 주제로만 전개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삶에 핵심을 두고 있다. 신이나 초월적 자연현상에서도 '인간됨'을 고민한 흔적이 보이는 것이다. 신화는 ‘인간표현’이라는 주제를 함축하고 있어, 인간의 원초적 삶과 정신의식을 밝혀줌으로써 그 어떤 문학양식보다도 본질에 충실한 성격을 간직해왔다. 어디에서든 이야기를 만들어 내는 호모 나란스 (Homo Narrans)<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275152&cid=42251&categoryId=51159 네이버 지식백과 '호모 나랜스']</ref>인 우리 인간은 각자의 신화를 끊임없이 재전유하며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냈다. 신화는 새로운 이야기의 모태인 셈이다. 그리스로마신화같은 다른 나라의 신화들은 잘 알려져 있는 반면, 우리나라의 신화들은 대중들에게 주목받지 못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사람들이 신화는 과거에만 머무르는 옛날 이야기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아쉽다. 하지만, 신화는 단순히 과거에 얽매인 전통에 그치는 것이 아니다. 대중매체의 발달과 더불어 하나의 데이터 베이스로 정리된다면 현대 사회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질 수 있는 소재다. |
− | *다소 생경할 수 있는 한국 신화를 창세신화, 건국신화, | + | *다소 생경할 수 있는 한국 신화를 창세신화<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62724&cid=46643&categoryId=4664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창세신화']</ref>, 건국신화<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120416&cid=50223&categoryId=51051 한국민속대백과사전 '건국신화']</ref>, 무속신화<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120441&cid=50223&categoryId=51051 한국민속대백과사전 '무속신화']</ref>로 분류하고 다양한 갈피를 제시하여 신화를 이해할 수 있는 기본적인 배경 지식을 제공한다. 각 신화에 페이지를 할당하여 신화의 제목을 클릭하면 신화의 자세한 줄거리나 화소 등을 알아볼 수 있게 한다. 또한 각 신화가 이미 매체에 표현된 바가 있는지, 각 신화와 관련된 유적이나 문화유산이 있는지 등의 추가적인 정보도 자연스럽게 얻어갈 수 있도록 한다. 이는 한국 신화 전반에 대한 관심을 증진시키고 한국 신화 기반의 다양한 매체가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
+ | |||
+ | ===기여===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 ||
+ | |+ 18분반 천년왕조 | ||
+ | |+ style="caption-side:bottom; text-align:right;"| | ||
+ | !팀명 || 팀원 || 기여내용 || 자체평가 | ||
+ | |- | ||
+ | | rowspan="7" | 천년왕조 || [[도깨비불]] || 내용 정리 및 작성, 각주 달기||style="background:lightblue; color:white" | 100 | ||
+ | |- | ||
+ | | [[마이구미호]] || 기획의도 방향성 제시 및 작성 || style="background:lightblue; color:white" | 100 | ||
+ | |- | ||
+ | | [[알지]] || 기획의도 전개 계획 (두 번째 단락) 작성, 각주 수정 || style="background:lightblue; color:white" | 100 | ||
+ | |- | ||
+ | | [[조선]] || 기획의도 자료조사 및 일부 작성 || style="background:lightblue; color:white" | 100 | ||
+ | |- | ||
+ | |} | ||
==<div style="background-color:lightblue; margin: 0; border: 3px solid ForestGreen; padding: 3px ; border-radius:100px">온톨로지== | ==<div style="background-color:lightblue; margin: 0; border: 3px solid ForestGreen; padding: 3px ; border-radius:100px">온톨로지== | ||
45번째 줄: | 71번째 줄: | ||
{{NetworkGraph | title=샛별같은_한국신화_엮음.lst}} | {{NetworkGraph | title=샛별같은_한국신화_엮음.lst}} | ||
[[샛별같은_한국신화_엮음.lst]] | [[샛별같은_한국신화_엮음.lst]] | ||
+ | |||
+ | ===기여===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 ||
+ | |+ 18분반 천년왕조 | ||
+ | |+ style="caption-side:bottom; text-align:right;"| | ||
+ | !팀명 || 팀원 || 기여내용 || 자체평가 | ||
+ | |- | ||
+ | | rowspan="7" | 천년왕조 || [[알지]] ||lst.파일 작성 및 네트워크 그래프 제작, 삽입 ||style="background:lightblue; color:white" | 100 | ||
+ | |- | ||
+ | |} | ||
==<div style="background-color:lightblue; margin: 0; border: 3px solid ForestGreen; padding: 3px ; border-radius:100px">콘텐츠 구조== | ==<div style="background-color:lightblue; margin: 0; border: 3px solid ForestGreen; padding: 3px ; border-radius:100px">콘텐츠 구조== | ||
52번째 줄: | 88번째 줄: | ||
! style="width:15%" | 클래스 !! style="width:30%" | 설명 !! style="45%" | 노드 | ! style="width:15%" | 클래스 !! style="width:30%" | 설명 !! style="45%" | 노드 | ||
|- | |- | ||
− | |모티프 || 다양한 모티프가 엮여 만들어지거나 그 자체로 새로운 모티프가 되기도 하는 신화의 특성을 살려 어떤 모티프를 기반으로 하고있는지 이 클래스에 정리하였다. || 난생설화 모티프, 인세 차지 경쟁 모티프, 천손하강 모티프, 꽃 피우기 모티프, 거대 여신 모티프, 서천꽃밭 | + | |모티프<ref>[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1292349&viewType=confirm 우리말샘 '모티프「003」']</ref> || 다양한 모티프가 엮여 만들어지거나 그 자체로 새로운 모티프가 되기도 하는 신화의 특성을 살려 어떤 모티프를 기반으로 하고있는지 이 클래스에 정리하였다. || 난생설화 모티프, 인세 차지 경쟁 모티프, 천손하강 모티프, 꽃 피우기 모티프, 거대 여신 모티프, 서천꽃밭 |
|- | |- | ||
|창세신화 || 창세신화는 세계의 창조 또는 우주의 기원을 설명하는 것으로 대다수의 신화에서 보편적으로 찾아볼 수 있는 내용을 포함한다. 한국 신화에서 새로운 탄생 이야기를 담은 신화를 추려서 이 클래스에 정리하였다. || 마고할미, 창세가, 천지왕본풀이 | |창세신화 || 창세신화는 세계의 창조 또는 우주의 기원을 설명하는 것으로 대다수의 신화에서 보편적으로 찾아볼 수 있는 내용을 포함한다. 한국 신화에서 새로운 탄생 이야기를 담은 신화를 추려서 이 클래스에 정리하였다. || 마고할미, 창세가, 천지왕본풀이 | ||
60번째 줄: | 96번째 줄: | ||
|무속신화||무속에서 숭배되고 무당이 받드는 신의 기원과 유래에 관련된 신화를 말하고, 신들의 근본 내력을 풀어 설명하고 제의와 관련된 주술적 이야기를 나타낸 것을 정리하였다. || 바리데기, 삼공본풀이, 삼승할망본풀이, 원천강본풀이, 이공본풀이, 차사본풀이, 세경본풀이, 칠성본풀이, 가신신앙, 궤눼깃당본풀이, 일월노리푸념 | |무속신화||무속에서 숭배되고 무당이 받드는 신의 기원과 유래에 관련된 신화를 말하고, 신들의 근본 내력을 풀어 설명하고 제의와 관련된 주술적 이야기를 나타낸 것을 정리하였다. || 바리데기, 삼공본풀이, 삼승할망본풀이, 원천강본풀이, 이공본풀이, 차사본풀이, 세경본풀이, 칠성본풀이, 가신신앙, 궤눼깃당본풀이, 일월노리푸념 | ||
|- | |- | ||
− | |이야기의 시공간|| 주인공이 어떤 시간과 공간 속에 놓이는지에 따라 새로운 결정을 하고 이야기를 창조해 간다. 따라서 각 신화별로 서사가 전개되는 허구적 세계의 독립성을 강조하여 이 클래스에 정리하였다. || 가야, 고구려, 고조선, 신라, 신화적 공간 | + | |이야기의 시공간|| 주인공이 어떤 시간과 공간 속에 놓이는지에 따라 새로운 결정을 하고 이야기를 창조해 간다. 따라서 각 신화별로 서사가 전개되는 허구적 세계의 독립성을 강조하여 이 클래스에 정리하였다. || 가야, 고구려, 고조선, 신라, 신화적 공간<ref>현실 세계가 아닌 공간. 저승, 용궁, 가상의 국가 등을 포함한다.</ref> |
|- | |- | ||
|신화 기반 창작물|| 본 데이터베이스의 최종 목적이 다양한 문화콘텐츠 창출의 기여인만큼 현재까지 신화를 바탕으로 한 어떤 창작물이 제작되었는지 각 신화별로 정리했다. || 신과함께(웹툰), 신과함께(영화), 주몽(드라마), 바리데기(소설/작:황석영), 오늘이(애니메이션 영화), 이탄국의 자청비(로맨스 웹소설,웹툰),쌍갑포차(웹툰), 태왕사신기(드라마),바로잡는 순애보(웹툰),사망여각(게임), 비단황후(소설), 신비아파트(애니메이션), 여섯번째 별(웹툰) | |신화 기반 창작물|| 본 데이터베이스의 최종 목적이 다양한 문화콘텐츠 창출의 기여인만큼 현재까지 신화를 바탕으로 한 어떤 창작물이 제작되었는지 각 신화별로 정리했다. || 신과함께(웹툰), 신과함께(영화), 주몽(드라마), 바리데기(소설/작:황석영), 오늘이(애니메이션 영화), 이탄국의 자청비(로맨스 웹소설,웹툰),쌍갑포차(웹툰), 태왕사신기(드라마),바로잡는 순애보(웹툰),사망여각(게임), 비단황후(소설), 신비아파트(애니메이션), 여섯번째 별(웹툰) | ||
|- | |- | ||
− | |발원지|| 해당 신화와 인물들의 이야기가 | + | |발원지|| 해당 신화와 인물들의 이야기가 어디에서 발생했는지 지역별로 정리하였다. || 경주, 이북지역, 제주도, 김해 |
+ | |} | ||
+ | |||
+ | ====기여====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 ||
+ | |+ 18분반 천년왕조 | ||
+ | |+ style="caption-side:bottom; text-align:right;"| | ||
+ | !팀명 || 팀원 || 기여내용 || 자체평가 | ||
+ | |- | ||
+ | | rowspan="7" | 천년왕조 || [[도깨비불]] || 창세신화 설명 작성, 내용 정리 ||style="background:lightblue; color:white" | 100 | ||
+ | |- | ||
+ | | [[마이구미호]] || 모티프, 이야기의 시공간, 창세신화, 신화 기반 창작물, 신화 창작물 노드 작성 전담 || style="background:lightblue; color:white" | 100 | ||
+ | |- | ||
+ | | [[알지]] || 클래스 구분, 개별 신화 조사 및 노드 작성, 모티프 노드 작성 || style="background:lightblue; color:white" | 100 | ||
+ | |- | ||
+ | | [[조선]] || 건국신화, 무속신화, 발원지 설명 작성, 노드 작성 || style="background:lightblue; color:white" | 100 | ||
+ | |- | ||
|} | |} | ||
181번째 줄: | 233번째 줄: | ||
***#칠성본풀이 → 여섯번째 별(웹툰) | ***#칠성본풀이 → 여섯번째 별(웹툰) | ||
***#차사본풀이 → 신비아바트(애니메이션) | ***#차사본풀이 → 신비아바트(애니메이션) | ||
+ | |||
+ | ====기여====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 ||
+ | |+ 18분반 천년왕조 | ||
+ | |+ style="caption-side:bottom; text-align:right;"| | ||
+ | !팀명 || 팀원 || 기여내용 || 자체평가 | ||
+ | |- | ||
+ | | rowspan="7" | 천년왕조 || [[도깨비불]] || relation 종류 정리 ||style="background:lightblue; color:white" | 100 | ||
+ | |- | ||
+ | | [[알지]] || '~은_~을_구성한다' 작성 || style="background:lightblue; color:white" | 100 | ||
+ | |- | ||
+ | | [[조선]] || relation 분류 및 작성 || style="background:lightblue; color:white" | 100 | ||
+ | |- | ||
+ | |} | ||
==<div style="background-color:lightblue; margin: 0; border: 3px solid ForestGreen; padding: 3px ; border-radius:100px">자체평가== | ==<div style="background-color:lightblue; margin: 0; border: 3px solid ForestGreen; padding: 3px ; border-radius:100px">자체평가== | ||
187번째 줄: | 253번째 줄: | ||
|+ 18분반 천년왕조 | |+ 18분반 천년왕조 | ||
|+ style="caption-side:bottom; text-align:right;"| | |+ style="caption-side:bottom; text-align:right;"| | ||
− | !팀명 || 팀원 || | + | !팀명 || 팀원 || 전체기여내용 || 자체평가 |
|- | |- | ||
| rowspan="7" | 천년왕조 || [[도깨비불]] || 콘텐츠 주제와 기획의도 작성, 클래스와 노드 정리 ||style="background:lightblue; color:white" | 100 | | rowspan="7" | 천년왕조 || [[도깨비불]] || 콘텐츠 주제와 기획의도 작성, 클래스와 노드 정리 ||style="background:lightblue; color:white" | 100 | ||
|- | |- | ||
− | | [[마이구미호]] || || style="background:lightblue; color:white" | 100 | + | | [[마이구미호]] || 전체 방향성 제시 및 주제 및 기획의도 작성, Relation 구상, 노드 작성 || style="background:lightblue; color:white" | 100 |
|- | |- | ||
− | | [[알지]]|| || style="background:lightblue; color:white" | 100 | + | | [[알지]] || 주제 선정, 신화 자료 조사 및 노드 추출, 온톨로지 lst 파일 작성 및 네트워크 그래프 제작 || style="background:lightblue; color:white" | 100 |
|- | |- | ||
− | | [[조선]]|| || style="background:lightblue; color:white" | 100 | + | | [[조선]] || relation 분류 및 작성, 클래스, 노드 작성 || style="background:lightblue; color:white" | 100 |
|- | |- | ||
|} | |} | ||
215번째 줄: | 281번째 줄: | ||
<div style="text-align:center;"> '''노드 마인드맵'''</div></font><br/> | <div style="text-align:center;"> '''노드 마인드맵'''</div></font><br/> | ||
− | ==기여== | + | ===기여=== |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 |
+ | |+ 18분반 천년왕조 | ||
+ | |+ style="caption-side:bottom; text-align:right;"| | ||
+ | !팀명 || 팀원 || 기여내용 || 자체평가 | ||
+ | |- | ||
+ | | rowspan="7" | 천년왕조 || [[도깨비불]] || 노드 마인드맵 사진 촬영 후 첨부, 주제 마인드맵 작성 후 첨부 ||style="background:lightblue; color:white" | 100 | ||
+ | |- | ||
+ | | [[마이구미호]] || 마인드맵 구상 및 노드 작성 || style="background:lightblue; color:white" | 100 | ||
+ | |- | ||
+ | |} | ||
==<div style="background-color:lightblue; margin: 0; border: 3px solid ForestGreen; padding: 3px ; border-radius:100px">분류 정보 기록== | ==<div style="background-color:lightblue; margin: 0; border: 3px solid ForestGreen; padding: 3px ; border-radius:100px">분류 정보 기록== | ||
230번째 줄: | 305번째 줄: | ||
==주석== | ==주석== | ||
+ | <references/> | ||
+ | |||
+ | ===기여===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 ||
+ | |+ 18분반 천년왕조 | ||
+ | |+ style="caption-side:bottom; text-align:right;"| | ||
+ | !팀명 || 팀원 || 기여내용 || 자체평가 | ||
+ | |- | ||
+ | | rowspan="7" | 천년왕조 || [[도깨비불]] || 주석 정리 ||style="background:lightblue; color:white" | 100 | ||
+ | |- | ||
+ | | [[알지]] || 주석 형식 수정 || style="background:lightblue; color:white" | 100 | ||
+ | |- | ||
+ | | [[조선]] || 주석 정리 || style="background:lightblue; color:white" | 100 | ||
+ | |- | ||
+ | |}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 + | *박종천,「유한의 시간을 비추는 무한의 스크린 종교와 영화의 세계」, 고려대학교 출판문화원, 2020, p.61~65. | |
− | + | *최원오, 「한국 무속신화의 문화콘텐츠 활용 방안 점검, 한국문학논총 제46집, 2007, p.229~268. | |
− | |||
− | |||
==<div style="background-color:LightSalmon; margin: 0; border: 3px solid GoldenRod; padding: 3px 3px 3px 3px; border-radius:100px">과제 제출 기한== | ==<div style="background-color:LightSalmon; margin: 0; border: 3px solid GoldenRod; padding: 3px 3px 3px 3px; border-radius:100px">과제 제출 기한== | ||
258번째 줄: | 346번째 줄: | ||
#*전달하고자하는 스토리에 알맞은 네트워크 그래프를 제시하고 있는가 | #*전달하고자하는 스토리에 알맞은 네트워크 그래프를 제시하고 있는가 | ||
#*스토리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다양한 도구들을 사용하고 응용하였는가(도구: 하이퍼링크,이미지,동영상,지도,타임라인,네트워크 그래프) | #*스토리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다양한 도구들을 사용하고 응용하였는가(도구: 하이퍼링크,이미지,동영상,지도,타임라인,네트워크 그래프) | ||
+ | |||
+ | |||
+ | [[분류:샛별같은 한국 신화 엮음집]][[분류:도깨비불]][[분류:마이구미호]][[분류:알지]][[분류:조선]] |
2022년 11월 2일 (수) 18:50 기준 최신판
목차
콘텐츠 주제
주제
세계인의 필독서, 그리스 로마 신화!
그러나, 우리 고유의 신화는 과연 얼마나 알고 있을까?
한국의 다양한 이야기의 원형이자, 앞으로 창작될 수많은 컨텐츠의 모티브가 될 잠재력을 갖고 있는 한국 신화 모음집.
기여
팀명 | 팀원 | 기여내용 | 자체평가 |
---|---|---|---|
천년왕조 | 도깨비불 | 사진 첨부 및 주제 작성 | 100 |
마이구미호 | 주제 멘트 고안 | 100 |
팀원
천년왕조의 위키 문서 제목
기여
팀명 | 팀원 | 기여내용 | 자체평가 |
---|---|---|---|
천년왕조 | 알지 | 위키 문서 제목 고안 | 100 |
기획의도
- 신화를 만드는 것은 인간의 본성이다. 무심코 지나치는 자연현상과 인간의 근원적 정체성을 탐구하고 우리 삶에 의미를 부여하는 신화는 세계 곳곳에 다양한 방식으로 존재한다. 신화는 단지 신 위주의 주제로만 전개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삶에 핵심을 두고 있다. 신이나 초월적 자연현상에서도 '인간됨'을 고민한 흔적이 보이는 것이다. 신화는 ‘인간표현’이라는 주제를 함축하고 있어, 인간의 원초적 삶과 정신의식을 밝혀줌으로써 그 어떤 문학양식보다도 본질에 충실한 성격을 간직해왔다. 어디에서든 이야기를 만들어 내는 호모 나란스 (Homo Narrans)[1]인 우리 인간은 각자의 신화를 끊임없이 재전유하며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냈다. 신화는 새로운 이야기의 모태인 셈이다. 그리스로마신화같은 다른 나라의 신화들은 잘 알려져 있는 반면, 우리나라의 신화들은 대중들에게 주목받지 못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사람들이 신화는 과거에만 머무르는 옛날 이야기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아쉽다. 하지만, 신화는 단순히 과거에 얽매인 전통에 그치는 것이 아니다. 대중매체의 발달과 더불어 하나의 데이터 베이스로 정리된다면 현대 사회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질 수 있는 소재다.
- 다소 생경할 수 있는 한국 신화를 창세신화[2], 건국신화[3], 무속신화[4]로 분류하고 다양한 갈피를 제시하여 신화를 이해할 수 있는 기본적인 배경 지식을 제공한다. 각 신화에 페이지를 할당하여 신화의 제목을 클릭하면 신화의 자세한 줄거리나 화소 등을 알아볼 수 있게 한다. 또한 각 신화가 이미 매체에 표현된 바가 있는지, 각 신화와 관련된 유적이나 문화유산이 있는지 등의 추가적인 정보도 자연스럽게 얻어갈 수 있도록 한다. 이는 한국 신화 전반에 대한 관심을 증진시키고 한국 신화 기반의 다양한 매체가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기여
팀명 | 팀원 | 기여내용 | 자체평가 |
---|---|---|---|
천년왕조 | 도깨비불 | 내용 정리 및 작성, 각주 달기 | 100 |
마이구미호 | 기획의도 방향성 제시 및 작성 | 100 | |
알지 | 기획의도 전개 계획 (두 번째 단락) 작성, 각주 수정 | 100 | |
조선 | 기획의도 자료조사 및 일부 작성 | 100 |
온톨로지
기여
팀명 | 팀원 | 기여내용 | 자체평가 |
---|---|---|---|
천년왕조 | 알지 | lst.파일 작성 및 네트워크 그래프 제작, 삽입 | 100 |
콘텐츠 구조
클래스(Class)
클래스 | 설명 | 노드 |
---|---|---|
모티프[5] | 다양한 모티프가 엮여 만들어지거나 그 자체로 새로운 모티프가 되기도 하는 신화의 특성을 살려 어떤 모티프를 기반으로 하고있는지 이 클래스에 정리하였다. | 난생설화 모티프, 인세 차지 경쟁 모티프, 천손하강 모티프, 꽃 피우기 모티프, 거대 여신 모티프, 서천꽃밭 |
창세신화 | 창세신화는 세계의 창조 또는 우주의 기원을 설명하는 것으로 대다수의 신화에서 보편적으로 찾아볼 수 있는 내용을 포함한다. 한국 신화에서 새로운 탄생 이야기를 담은 신화를 추려서 이 클래스에 정리하였다. | 마고할미, 창세가, 천지왕본풀이 |
건국신화 | 국가 제전의 신성화를 목적으로 건국자와 구성원들의 신화를 포함한다. 각 나라(부족)의 종족적 기원과 시조를 서사와 함께 정리하였다. | 김수로신화, 김알지신화, 단군왕검신화, 박혁거세신화, 석탈해신화 |
무속신화 | 무속에서 숭배되고 무당이 받드는 신의 기원과 유래에 관련된 신화를 말하고, 신들의 근본 내력을 풀어 설명하고 제의와 관련된 주술적 이야기를 나타낸 것을 정리하였다. | 바리데기, 삼공본풀이, 삼승할망본풀이, 원천강본풀이, 이공본풀이, 차사본풀이, 세경본풀이, 칠성본풀이, 가신신앙, 궤눼깃당본풀이, 일월노리푸념 |
이야기의 시공간 | 주인공이 어떤 시간과 공간 속에 놓이는지에 따라 새로운 결정을 하고 이야기를 창조해 간다. 따라서 각 신화별로 서사가 전개되는 허구적 세계의 독립성을 강조하여 이 클래스에 정리하였다. | 가야, 고구려, 고조선, 신라, 신화적 공간[6] |
신화 기반 창작물 | 본 데이터베이스의 최종 목적이 다양한 문화콘텐츠 창출의 기여인만큼 현재까지 신화를 바탕으로 한 어떤 창작물이 제작되었는지 각 신화별로 정리했다. | 신과함께(웹툰), 신과함께(영화), 주몽(드라마), 바리데기(소설/작:황석영), 오늘이(애니메이션 영화), 이탄국의 자청비(로맨스 웹소설,웹툰),쌍갑포차(웹툰), 태왕사신기(드라마),바로잡는 순애보(웹툰),사망여각(게임), 비단황후(소설), 신비아파트(애니메이션), 여섯번째 별(웹툰) |
발원지 | 해당 신화와 인물들의 이야기가 어디에서 발생했는지 지역별로 정리하였다. | 경주, 이북지역, 제주도, 김해 |
기여
팀명 | 팀원 | 기여내용 | 자체평가 |
---|---|---|---|
천년왕조 | 도깨비불 | 창세신화 설명 작성, 내용 정리 | 100 |
마이구미호 | 모티프, 이야기의 시공간, 창세신화, 신화 기반 창작물, 신화 창작물 노드 작성 전담 | 100 | |
알지 | 클래스 구분, 개별 신화 조사 및 노드 작성, 모티프 노드 작성 | 100 | |
조선 | 건국신화, 무속신화, 발원지 설명 작성, 노드 작성 | 100 |
관계성(Relation)
- ~은 ~가 배경이다
- 설명: 해당 신화가 어느 시공간을 배경으로 삼는지 나타낸다
- 해당노드:
- 석탈해신화 → 신라
- 박혁거세신화 → 신라
- 김알지신화 → 신라
- 동명왕신화 → 고구려
- 단군왕검신화 → 고조선
- 김수로신화 → 가야
- 삼승할망본풀이→ 신화적 공간
- 바리데기 → 신화적 공간
- 원천강본풀이 → 신화적 공간
- 이공본풀이 → 신화적 공간
- 창세가 → 신화적 공간
- 천지왕본풀이 → 신화적 공간
- 차사본풀이 → 신화적 공간
- 세경본풀이 → 신화적 공간
- 칠성본풀이 → 신화적 공간
- 궤눼깃당본풀이→ 신화적 공간
- 일월노리푸념 → 신화적 공간
- 해당노드:
- 설명: 해당 신화가 어느 시공간을 배경으로 삼는지 나타낸다
- ~은 ~를 구성한다
- 설명: 해당 신화가 어느 모티프로 구성되었는지 나타낸다.
- 해당노드:
- 난생설화 모티프 → 동명왕신화
- 천손하강 모티프 → 동명왕신화
- 난생설화 모티프 → 김알지신화
- 천손하강 모티프 → 김알지신화
- 난생설화 모티프 → 김수로왕신화
- 천손하강 모티프 → 석탈해신화
- 난생설화 모티프 → 석탈해신화
- 천손하강 모티프 → 박혁거세신화
- 난생설화 모티프 → 박혁거세신화
- 천손하강 모티프 → 김수로왕신화
- 천손하강 모티프 → 박혁거세신화
- 천손하강 모티프 → 단군왕검신화
- 꽃 피우기 모티프 → 창세가
- 꽃 피우기 모티프 → 천지왕본풀이
- 꽃 피우기 모티프 → 삼승할망본풀이
- 거대 여신 모티프 → 마고할미
- 서천꽃밭 모티프 → 삼승할망본풀이
- 서천꽃밭 모티프 → 바리데기
- 서천꽃밭 모티프 → 이공본풀이
- 서천꽃밭 모티프 → 세경본풀이
- 서천꽃밭 모티프 → 칠성본풀이
- 해당노드:
- 설명: 해당 신화가 어느 모티프로 구성되었는지 나타낸다.
- ~은 ~에서 발생했다
- 설명: 해당 신화가 어느 지역에서 발생했는지 나타낸다.
- 해당노드:
- 박혁거세신화 → 경주
- 석탈해신화 → 경주
- 김알지신화 → 경주
- 김수로신화 → 김해
- 동명왕신화 → 이북지역
- 단군왕검신화 → 이북지역
- 창세가 → 이북지역
- 마고할미 → 제주도
- 이공본풀이 → 제주도
- 삼승할망본풀이 → 제주도
- 천지왕본풀이 → 제주도
- 원천강본풀이 → 제주도
- 차사본풀이 → 제주도
- 세경본풀이 → 제주도
- 칠성본풀이 → 제주도
- 궤네깃당본풀이 → 제주도
- 일월놀이푸념 → 이북지역
- 삼공본풀이 → 제주도
- 해당노드:
- 설명: 해당 신화가 어느 지역에서 발생했는지 나타낸다.
- ~은 ~에 속한다
- 설명: 해당 신화가 어떤 신화에 속하는지 나타낸다.
- 해당노드:
- 박혁거세신화 → 건국신화
- 김알지신화 → 건국신화
- 석탈해신화 → 건국신화
- 단군왕검신화 → 건국신화
- 동명왕신화 → 건국신화
- 천지왕본풀이 → 창세신화
- 창세가 → 창세신화
- 마고할미 → 창세신화
- 바리데기 → 무속신화
- 삼공본풀이 → 무속신화
- 삼승할망본풀이→ 무속신화
- 이공본풀이 → 무속신화
- 원천강본풀이 → 무속신화
- 차사본풀이 → 무속신화
- 세경본풀이 → 무속신화
- 칠성본풀이 → 무속신화
- 궤네깃당본풀이 → 무속신화
- 일월놀이푸념 → 무속신화
- 가신신앙 → 무속신화
- 해당노드:
- 설명: 해당 신화가 어떤 신화에 속하는지 나타낸다.
- ~은 ~에 등장한다
- 해당노드
- 설명: 해당 신화가 어떤 창작물에 등장했는지 나타낸다.
- 동명왕신화 → 주몽(드라마)
- 이공본풀이 → 신과함께(영화)
- 가신신앙 → 신과함께(영화)
- 단군왕검신화 → 태왕사신기(드라마)
- 천지왕본풀이 → 신과함께(웹툰)
- 이공본풀이 → 신과함께(웹툰)
- 가신신앙 → 신과함께(웹툰)
- 차사본풀이 → 신과함께(웹툰)
- 바리데기 → 바리데기(소설)
- 원천강본풀이 → 오늘이(애니메이션)
- 세경본풀이 → 이탄국의 자청비(웹소설)
- 삼승할망본풀이 → 쌍갑포차(웹툰)
- 차사본풀이 → 쌍갑포차(웹툰)
- 단군왕검신화 → 바로잡는 순애보(드라마)
- 바리데기→ 사망여각(게임)
- 마고할미 → 신비아바트(애니메이션)
- 김수로신화 → 비단황후(소설)
- 칠성본풀이 → 여섯번째 별(웹툰)
- 차사본풀이 → 신비아바트(애니메이션)
- 설명: 해당 신화가 어떤 창작물에 등장했는지 나타낸다.
- 해당노드
기여
팀명 | 팀원 | 기여내용 | 자체평가 |
---|---|---|---|
천년왕조 | 도깨비불 | relation 종류 정리 | 100 |
알지 | '~은_~을_구성한다' 작성 | 100 | |
조선 | relation 분류 및 작성 | 100 |
자체평가
팀명 | 팀원 | 전체기여내용 | 자체평가 |
---|---|---|---|
천년왕조 | 도깨비불 | 콘텐츠 주제와 기획의도 작성, 클래스와 노드 정리 | 100 |
마이구미호 | 전체 방향성 제시 및 주제 및 기획의도 작성, Relation 구상, 노드 작성 | 100 | |
알지 | 주제 선정, 신화 자료 조사 및 노드 추출, 온톨로지 lst 파일 작성 및 네트워크 그래프 제작 | 100 | |
조선 | relation 분류 및 작성, 클래스, 노드 작성 | 100 |
기여 표시
※ 각 팀별로 표를 복사하여 첨부하기 ※ 모든 기사에 다음과 같이 '기여' 사항을 기술
==기여== *[[홍길동]]: 처음 작성 *[[김갑순]]: 실내 사진 및 사진 설명문 추가 *[[최갑돌]]: 지도 표시 추가, 하이퍼 링크 ..... 추가
마인드맵
주제 마인드맵
노드 마인드맵
기여
팀명 | 팀원 | 기여내용 | 자체평가 |
---|---|---|---|
천년왕조 | 도깨비불 | 노드 마인드맵 사진 촬영 후 첨부, 주제 마인드맵 작성 후 첨부 | 100 |
마이구미호 | 마인드맵 구상 및 노드 작성 | 100 |
분류 정보 기록
※ 모든 기사에 '분류:' 정보 기록
[[분류:조별 주제]] [[분류:기여자 이름]]
※ 개인 분류 페이지에 다음 사항을 기록하세요. * 밑에 나타나는 자신의 기여 기사에 대해 전체적, 부분적으로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 * '본문 속 하이퍼 링크' 또는 '관련항목 하이퍼 링크' 작성 및 추가를 통해 어떠한 스토리를 만들어냈는지
주석
- ↑ 네이버 지식백과 '호모 나랜스'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창세신화'
- ↑ 한국민속대백과사전 '건국신화'
- ↑ 한국민속대백과사전 '무속신화'
- ↑ 우리말샘 '모티프「003」'
- ↑ 현실 세계가 아닌 공간. 저승, 용궁, 가상의 국가 등을 포함한다.
기여
팀명 | 팀원 | 기여내용 | 자체평가 |
---|---|---|---|
천년왕조 | 도깨비불 | 주석 정리 | 100 |
알지 | 주석 형식 수정 | 100 | |
조선 | 주석 정리 | 100 |
참고문헌
- 박종천,「유한의 시간을 비추는 무한의 스크린 종교와 영화의 세계」, 고려대학교 출판문화원, 2020, p.61~65.
- 최원오, 「한국 무속신화의 문화콘텐츠 활용 방안 점검, 한국문학논총 제46집, 2007, p.229~268.
과제 제출 기한
- Wiki 콘텐츠 제작: 2022년 11월 3일(수) 24:00
평가배점
평가항목 | 중간고사 | 기말고사 | 과제 | 출석 |
---|---|---|---|---|
배점 | 30% | 30% | 20% | 20% |
평가내역
- 기본 요건 충실도
- 디지털 큐레이션 콘텐츠 제작 가이드에서 제시한 기본 구성 요건을 갖추었는가?
- 도구 사용 숙지 여부
- 강의를 통해 배운 위키 문법을 적절히 사용하였는가
- 네트워크 그래프가 오류 없이 제작되었는가
- 온톨로지 이해
- 온톨로지의 개념을 이해하고, 자신이 설정한 기획의도에 알맞은 온톨로지를 설계하였는가
- 자신이 설계한 온톨로지에 따라, 적절한 노드와 링크를 추출하였는가
- 스토리 전달력
- 전달하고자하는 스토리에 알맞은 네트워크 그래프를 제시하고 있는가
- 스토리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다양한 도구들을 사용하고 응용하였는가(도구: 하이퍼링크,이미지,동영상,지도,타임라인,네트워크 그래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