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년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970년대 초반)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8번째 줄: | 8번째 줄: | ||
=='''특징'''== | =='''특징'''== | ||
===1970년대 초반=== | ===1970년대 초반=== | ||
+ | ====포크송==== | ||
+ | *외국 곡이 아닌 새로운 포크송 창작 | ||
+ | *원곡을 한국어로 번역하여 노래 | ||
+ | *청년층을 중심으로 큰 인기를 얻어 주도적 대중음악 양식 등극 | ||
+ | *이전 대중가요와의 큰 변별점 존재 | ||
+ | **대학생 중심 | ||
+ | **가수 스스로 어쿠스틱 반주 연주 | ||
+ | **자유로운 의상 | ||
+ | **자작곡 가수의 증가<br/> | ||
+ | ====록==== | ||
+ | *록밴드 성행 | ||
+ | *스탠더드팝의 선율에 의존 | ||
+ | *독자적인 신곡이 아닌 외국 곡의 연주 방식 차용<br/> | ||
+ | ====트로트==== | ||
+ | *시골에 초점이 맞추어진 향토적 특성에서 벗어나지 못함 | ||
+ | *포크송과 록의 성장으로 확연히 쇠락<br/> | ||
===군부 독재 시기=== | ===군부 독재 시기=== | ||
+ | 대마초 파동<ref>1970년대 중반부터 후반까지 대마초 흡연 혐의로 다수의 연예인이 체포된 사건</ref>으로 인해 청년층이 주로 향유하던 대중문화가 한풀 꺾이게 된다. | ||
+ | ====포크송==== | ||
+ | *트로트나 스탠더드팝과 혼용 | ||
+ | *중장년 감수성 / 세속화 및 속류화로 분화 | ||
+ | *텔레비전과 같은 주류 문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언더그러운드 활동<br/> | ||
+ | ====록==== | ||
+ | *'트로트 고고' 장르 등장<ref>트로트와 록 사운드를 결합한 작품을 뜻한다.</ref> | ||
+ | *대학 가요제를 통해 캠퍼스 밴드로 형태 변화 | ||
+ | ====방송가요운동==== | ||
+ | *국영방송 KBS를 중심으로 추진 | ||
+ | *팝 계열의 음악 출현 | ||
+ | ====금지곡==== | ||
+ | *정치적, 사회적 이유로 부르는 것이 금지된 노래 | ||
+ | *'1975년 가요대학살'이라 불릴 만큼 대중음악의 암흑기 | ||
+ | **한국예술문화윤리위원회: 한 해에 223곡 금지곡으로 발표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color:white" | ||
+ | ! style="width:10%" | 가수 !! style="width:40%" | 제목 | ||
+ | |- | ||
+ | |<div style="text-align:center;"> 양희은|| <div style="text-align:center;">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 | ||
+ | |- | ||
+ | |<div style="text-align:center;"> 김추자|| <div style="text-align:center;"> 「거짓말이야」 | ||
+ | |- | ||
+ | |<div style="text-align:center;"> 이미자|| <div style="text-align:center;"> 「동백 아가씨」, 「기러기 아빠」 | ||
+ | |- | ||
+ | |<div style="text-align:center;"> 이금희|| <div style="text-align:center;"> 「키다리 미스터 김」 | ||
+ | |} | ||
+ | 🔼금지곡 목록 | ||
− | |||
=='''유통 방식'''== | =='''유통 방식'''== | ||
+ | *1960년대에 정비된 신문, 잡지, 라디오, TV 등 대중매체를 통해 대중문화가 확산되는 대중사회로 전환 | ||
+ | *팝송 프로그램을 방송 | ||
+ | *LP레코드판과 카세트테이프의 기하급수적 확산 | ||
+ | ->‘대중음악의 대중적 소비 | ||
+ | *플라워 무브먼트''Flower Movement''에 대한 관심->민주화, 세속화에 대한 인식 | ||
+ | **청년층: 1950년대 미국의 ‘포크 송 리바이벌 운동’, 1960년대 ‘청년문화''Youth Culture''’54) 수용->팝송, 포크송, 청바지, 통기타, 장발, 미니스커트 향유 | ||
+ | |||
+ | =='''각주'''== | ||
+ | |||
+ | [[분류:달디달고 달디달고 달디단 케이팝]] | ||
+ | [[분류:Nana]] |
2024년 6월 22일 (토) 23:29 기준 최신판
목차
등장
- 60년대 말부터 등장한 포크송과 록이 주류 음악으로 급부상
- 트로트와 스탠더드팝의 자리를 포크송이 대체
- 60년대에 발달한 대중매체를 통해 대중문화 확산
- 텔레비전을 통해 연령에 따른 취향의 분화
- 국가주도 노래운동: 국가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음악만이 선별됨
특징
1970년대 초반
포크송
- 외국 곡이 아닌 새로운 포크송 창작
- 원곡을 한국어로 번역하여 노래
- 청년층을 중심으로 큰 인기를 얻어 주도적 대중음악 양식 등극
- 이전 대중가요와의 큰 변별점 존재
- 대학생 중심
- 가수 스스로 어쿠스틱 반주 연주
- 자유로운 의상
- 자작곡 가수의 증가
록
- 록밴드 성행
- 스탠더드팝의 선율에 의존
- 독자적인 신곡이 아닌 외국 곡의 연주 방식 차용
트로트
- 시골에 초점이 맞추어진 향토적 특성에서 벗어나지 못함
- 포크송과 록의 성장으로 확연히 쇠락
군부 독재 시기
대마초 파동[1]으로 인해 청년층이 주로 향유하던 대중문화가 한풀 꺾이게 된다.
포크송
- 트로트나 스탠더드팝과 혼용
- 중장년 감수성 / 세속화 및 속류화로 분화
- 텔레비전과 같은 주류 문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언더그러운드 활동
록
- '트로트 고고' 장르 등장[2]
- 대학 가요제를 통해 캠퍼스 밴드로 형태 변화
방송가요운동
- 국영방송 KBS를 중심으로 추진
- 팝 계열의 음악 출현
금지곡
- 정치적, 사회적 이유로 부르는 것이 금지된 노래
- '1975년 가요대학살'이라 불릴 만큼 대중음악의 암흑기
- 한국예술문화윤리위원회: 한 해에 223곡 금지곡으로 발표
가수 | 제목 |
---|---|
양희은 |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
|
김추자 |
「거짓말이야」
|
이미자 |
「동백 아가씨」, 「기러기 아빠」
|
이금희 |
「키다리 미스터 김」
|
🔼금지곡 목록
유통 방식
- 1960년대에 정비된 신문, 잡지, 라디오, TV 등 대중매체를 통해 대중문화가 확산되는 대중사회로 전환
- 팝송 프로그램을 방송
- LP레코드판과 카세트테이프의 기하급수적 확산
->‘대중음악의 대중적 소비
- 플라워 무브먼트Flower Movement에 대한 관심->민주화, 세속화에 대한 인식
- 청년층: 1950년대 미국의 ‘포크 송 리바이벌 운동’, 1960년대 ‘청년문화Youth Culture’54) 수용->팝송, 포크송, 청바지, 통기타, 장발, 미니스커트 향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