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봄(영화)"의 두 판 사이의 차이
Andyungoesto (토론 | 기여) |
Andyungoesto (토론 | 기여)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개요'''== | =='''개요'''== | ||
− | [[파일:서울의봄.jpg| | + | [[파일:서울의봄.jpg|488픽셀|왼쪽]] |
</br> | </br> | ||
'''서울의 봄''' (2023.) | '''서울의 봄''' (2023.) | ||
==='''요약'''=== | ==='''요약'''=== | ||
+ | *"1979년 12월 12일, 그날 밤 철저히 감춰진 9시간. | ||
+ | [[1212군부쿠데타]]의 역사를 다루고 있는 현대영상문학(영화)이다. | ||
+ |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
− | |||
|- | |- | ||
| 장르 || 시대극, 드라마, 스릴러, 액션, 피카레스크<ref>주인공을 포함한 주요 등장인물을 도덕적 결함을 갖춘 악인으로 설정하여 이야기를 이끄는 장르.</ref> | | 장르 || 시대극, 드라마, 스릴러, 액션, 피카레스크<ref>주인공을 포함한 주요 등장인물을 도덕적 결함을 갖춘 악인으로 설정하여 이야기를 이끄는 장르.</ref> | ||
25번째 줄: | 27번째 줄: | ||
|} | |} | ||
+ | ==='''예고편'''=== | ||
+ | <html> | ||
+ | <iframe width="447" height="251"<iframe width="893" height="502" src="https://www.youtube.com/embed/-AZ7cnwn2YI" title="'111초의 압도적 긴장감', [서울의 봄] 메인 예고편"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 | =='''줄거리'''== | ||
+ | *영화는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의 서거 직후로부터 시작된다. 긴급 회의가 소집되고, 육군본부 교육참모부 차장인 이태신(정우성) 소장 역시 육군봄부에 도착한다. 비상계엄령이 선포되고 계엄사령관으로 육군참모총장 정상호(이성민) 대장이 임명된다. 이때 국군보안사령관 전두광(황정민) 소장을 합동수사본부장으로 임명해 대통령 시해 사건을 조사하게 하였다. 전두광이 서빙고 분실에서 중앙정보부장 김재규를 향해 "아직 세상은 그대로다"라고 말하는 장면에서 영화와 역사의 전반적인 흐름을 유추할 수 있다. | ||
+ | |||
+ | *정상호 총장이 전두광의 세력 확장을 견제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전두광은 반란을 모의하고 준비하기 시작한다. 이때 정상호 총장은 전두광 세력 견제를 위해 하나회(비밀 육군 사조직) 소속이 아닌 이태신을 수도경비사령관에 임명한다. 전두광은 절친한 친구 노태건의 마음을 얻은 이후 하나회 장성들을 설득해 쿠데타 계획을 구체화하고 실행을 앞둔 상황까지 간다. | ||
+ | *12월 12일. 작전명 '생일 잔치' ([[1212군부쿠데타]]) 즉 국군참모총장 납치 계획이 시행된다. 처음에는 대통령 재가를 받아 진행하려고 했으나, 재가가 쉽사리 이루어지지 않아총장 공관을 습격해 정 총장을 납치한다. 이때 국방부장관은 택시를 타고 한미연합사로 도주한다. | ||
+ | *이렇게 반란이 본격화되고, 이태신을 중심으로 한 진압 세력과 전두광을 중심으로 한 반란 세력의 수싸움이 시작된다. 각 사람이 지휘할 수 있는 부대가 서울 육본을 중심으로 이동하기 시작하고, 내전이 시작될 수도 있는 일촉즉발의 상황이 이어진다. 결국 쿠데타는 더 커다란 힘을 쓸 수 있었고 계획적으로 작전을 구상한 전두광과 반란군의 승리로 끝났고 찾아올 것 같았던 서울의 봄은 막을 내린다. | ||
+ | '신군부'로 불린 이들은 군조직을 장악 후 정권 탈취를 노렸다 80년 봄, 대학생들의 민주화 시위를 공권력으로 짓밟았고 [[5.18민주화운동]]으로 확산되자 공수부대를 투입하여 진압했다. 마침내 신군부는 대한민국을 송두리째 삼켰다 찬란했던 '서울의 봄'은 그렇게 끝났다. '''''-서울의 봄 아웃트로 中''''' | ||
+ | |||
+ | |||
+ | =='''역사와의 관련성'''== | ||
+ | *실제 역사 인물의 이름을 조금씩 바꾸는 방식으로 알레고리를 형성했다. 등장인물들의 모티브가 된 실제 인물은 각각 전두광 ≒ 전두환, 이태신 ≒ 장태완, 정상호 ≒ 정승화, 노태건 ≒ 노태우, 김준엽 ≒ 김진기, 최한규 ≒ 최규하, 오국상 ≒ 노재현, 공수혁 ≒ 정병주, 오진호 ≒ 김오랑, 한영구 ≒ 황영시, 도희철 ≒ 박희도, 김창세 ≒ 최세창, 문일평 ≒ 허화평 등이다. | ||
+ | |||
+ | *역사 사건을 비교적 정확하게 표현한 것으로 평가받으나, 아내와 전화할 때 '오늘은 늦을 것 같다'고 말하는 장면이나, 영화 말미의 직위선언, 인간 실격 선언 등은 영화의 극적인 재미를 위해서 연출된 사건이다. 여느 역사 창작물을 볼 때와 마찬가지로 보이는 것을 곧이곧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그저 역사에 대한 관심을 신장하는 방식으로 활용하는 것이 적절할 듯하다. | ||
=='''각주'''== | =='''각주'''== | ||
</references> | </references> | ||
+ | |||
+ | [[분류:andyungoesto]] |
2024년 6월 10일 (월) 09:13 기준 최신판
개요
서울의 봄 (2023.)
요약
- "1979년 12월 12일, 그날 밤 철저히 감춰진 9시간.
1212군부쿠데타의 역사를 다루고 있는 현대영상문학(영화)이다.
장르 | 시대극, 드라마, 스릴러, 액션, 피카레스크[1] |
감독 | 김성수 |
각색 | 김성태, 박준석, 이지민 |
출연 | 황정민, 정우성, 이성민, 박해준, 김성균 外 |
제작사 | 하이브미디어코프 |
개봉일 | 2023년 11월 22일 |
관객수 | 13,127,990명 |
상영 등급 | 12세 이상 관람가 |
예고편
줄거리
- 영화는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의 서거 직후로부터 시작된다. 긴급 회의가 소집되고, 육군본부 교육참모부 차장인 이태신(정우성) 소장 역시 육군봄부에 도착한다. 비상계엄령이 선포되고 계엄사령관으로 육군참모총장 정상호(이성민) 대장이 임명된다. 이때 국군보안사령관 전두광(황정민) 소장을 합동수사본부장으로 임명해 대통령 시해 사건을 조사하게 하였다. 전두광이 서빙고 분실에서 중앙정보부장 김재규를 향해 "아직 세상은 그대로다"라고 말하는 장면에서 영화와 역사의 전반적인 흐름을 유추할 수 있다.
- 정상호 총장이 전두광의 세력 확장을 견제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전두광은 반란을 모의하고 준비하기 시작한다. 이때 정상호 총장은 전두광 세력 견제를 위해 하나회(비밀 육군 사조직) 소속이 아닌 이태신을 수도경비사령관에 임명한다. 전두광은 절친한 친구 노태건의 마음을 얻은 이후 하나회 장성들을 설득해 쿠데타 계획을 구체화하고 실행을 앞둔 상황까지 간다.
- 12월 12일. 작전명 '생일 잔치' (1212군부쿠데타) 즉 국군참모총장 납치 계획이 시행된다. 처음에는 대통령 재가를 받아 진행하려고 했으나, 재가가 쉽사리 이루어지지 않아총장 공관을 습격해 정 총장을 납치한다. 이때 국방부장관은 택시를 타고 한미연합사로 도주한다.
- 이렇게 반란이 본격화되고, 이태신을 중심으로 한 진압 세력과 전두광을 중심으로 한 반란 세력의 수싸움이 시작된다. 각 사람이 지휘할 수 있는 부대가 서울 육본을 중심으로 이동하기 시작하고, 내전이 시작될 수도 있는 일촉즉발의 상황이 이어진다. 결국 쿠데타는 더 커다란 힘을 쓸 수 있었고 계획적으로 작전을 구상한 전두광과 반란군의 승리로 끝났고 찾아올 것 같았던 서울의 봄은 막을 내린다.
'신군부'로 불린 이들은 군조직을 장악 후 정권 탈취를 노렸다 80년 봄, 대학생들의 민주화 시위를 공권력으로 짓밟았고 5.18민주화운동으로 확산되자 공수부대를 투입하여 진압했다. 마침내 신군부는 대한민국을 송두리째 삼켰다 찬란했던 '서울의 봄'은 그렇게 끝났다. -서울의 봄 아웃트로 中
역사와의 관련성
- 실제 역사 인물의 이름을 조금씩 바꾸는 방식으로 알레고리를 형성했다. 등장인물들의 모티브가 된 실제 인물은 각각 전두광 ≒ 전두환, 이태신 ≒ 장태완, 정상호 ≒ 정승화, 노태건 ≒ 노태우, 김준엽 ≒ 김진기, 최한규 ≒ 최규하, 오국상 ≒ 노재현, 공수혁 ≒ 정병주, 오진호 ≒ 김오랑, 한영구 ≒ 황영시, 도희철 ≒ 박희도, 김창세 ≒ 최세창, 문일평 ≒ 허화평 등이다.
- 역사 사건을 비교적 정확하게 표현한 것으로 평가받으나, 아내와 전화할 때 '오늘은 늦을 것 같다'고 말하는 장면이나, 영화 말미의 직위선언, 인간 실격 선언 등은 영화의 극적인 재미를 위해서 연출된 사건이다. 여느 역사 창작물을 볼 때와 마찬가지로 보이는 것을 곧이곧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그저 역사에 대한 관심을 신장하는 방식으로 활용하는 것이 적절할 듯하다.
각주
</references>
- ↑ 주인공을 포함한 주요 등장인물을 도덕적 결함을 갖춘 악인으로 설정하여 이야기를 이끄는 장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