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권민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_edu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4번째 줄: 4번째 줄:
 
===전체적===
 
===전체적===
  
[[불상_무엇이든_물어보살]]
+
'''[[불상_무엇이든_물어보살]]'''
  
 
조의 주제였던 [[불교유물]]은 내가 의견을 제시해 선정된 주제이다. 해당 주제를 공부해보고 싶었던 이유를 종교 예술품의 가치와 연관지어 조원들에게 상세히 설명했다. 평소 불교 조각상을 비롯한 사찰, 불화 등에 관심이 많았기 때문에 과제를 진행하는 초반부터 내가 기존에 알고 있었던 배경지식을 활용해 과제물의 방향성을 잡을 필요가 있었다. 그 과정에서 토의를 통해 불교유물 중 불상에 관해 탐구해보기로 결정하였고, 불상의 주제가 되는 부처에 따라 수인(손 모양)이 다르다는 각각의 도상이 있기 때문에 부처에 따라 불상을 분류해 탐구해보면 좋겠다는 의견을 냈다. 이를 바탕으로 조별 과제물이 완성되었고, 나는 그 과정에서 불상과 수인, 인물, 위치, 자세 등을 연관 짓는 '''관계성 설정''' 부분을 주로 맡았다.
 
조의 주제였던 [[불교유물]]은 내가 의견을 제시해 선정된 주제이다. 해당 주제를 공부해보고 싶었던 이유를 종교 예술품의 가치와 연관지어 조원들에게 상세히 설명했다. 평소 불교 조각상을 비롯한 사찰, 불화 등에 관심이 많았기 때문에 과제를 진행하는 초반부터 내가 기존에 알고 있었던 배경지식을 활용해 과제물의 방향성을 잡을 필요가 있었다. 그 과정에서 토의를 통해 불교유물 중 불상에 관해 탐구해보기로 결정하였고, 불상의 주제가 되는 부처에 따라 수인(손 모양)이 다르다는 각각의 도상이 있기 때문에 부처에 따라 불상을 분류해 탐구해보면 좋겠다는 의견을 냈다. 이를 바탕으로 조별 과제물이 완성되었고, 나는 그 과정에서 불상과 수인, 인물, 위치, 자세 등을 연관 짓는 '''관계성 설정''' 부분을 주로 맡았다.
10번째 줄: 10번째 줄:
  
 
===부분적===
 
===부분적===
[[괘불]]
+
'''[[괘불]]''' </br>
조의 주제인 불교 유물 중 조각상 부분에 속하지는 않는 회화 장르이지만, 불교 유물과 관련한 지식을 폭넓게 얻을 수 있도록 제작한 위키 페이지이다. 조별 과제를 진행하며 중점적으로 맡은 인물(각각의 부처)의 형상을 표현하는 데에도 주로 쓰이는 것이 '''불화'''이기 때문에 불화 중 괘불의 역할과 도상에 관해서도 공부해보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 관련 지식을 추가해 제작했다.
+
조의 주제인 불교 유물 중 조각상 부분에 속하지는 않는 회화 유물이지만, 불교 유물과 관련한 지식을 폭넓게 얻을 수 있도록 제작한 위키 페이지이다. 조별 과제를 진행하며 중점적으로 맡은 인물(각각의 부처)의 형상을 표현하는 데에도 주로 쓰이는 것이 '''불화'''이기 때문에 불화 중 괘불의 역할과 도상에 관해서도 공부해보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 관련 정보를 추가해 제작했다.
  
[[삼보사찰]]
+
'''[[삼보사찰]]'''</br>
 
불상을 다루다 보면 기본적으로 불상이 봉안되어 있는 사찰을 다루게 된다. 이를 위해 한국의 대표적인 사찰과 그 분류 기준에 대해 알아볼 필요가 있을 것 같았다. 실제로 조별 과제에서 다룬 불상을 보유하고 있는 절 역시 삼보사찰에 포함되는 절이기 때문에 관련 지식을 위키 페이지로 제작하였다.
 
불상을 다루다 보면 기본적으로 불상이 봉안되어 있는 사찰을 다루게 된다. 이를 위해 한국의 대표적인 사찰과 그 분류 기준에 대해 알아볼 필요가 있을 것 같았다. 실제로 조별 과제에서 다룬 불상을 보유하고 있는 절 역시 삼보사찰에 포함되는 절이기 때문에 관련 지식을 위키 페이지로 제작하였다.
  
[[약사여래]]
+
'''[[약사여래]]'''</br>
조원 모두가 담당하는 부처를 맡아 탐구를 진행하는 방식으로 조별 과제를 진행했는데, 나는 그 중 [[약사여래]]를 맡았다. 약사여래가 대중들에게 끼친 영향이 분명하며, 약기인이라는 특징적인 수인이 있기 때문에 불교 유물로서 약사여래상을 공부하는 것이 매우 의미있다고 생각해 약사여래를 담당하게 되었다. [[약사여래]]와 약사신앙의 특징, 불상에서 나타나는 특징 등을 상세히 서술했다.
+
조원 모두가 각자 한 부처를 담당해 탐구를 진행하는 방식으로 조별 과제를 제작했는데, 나는 그 중 [[약사여래]]를 맡았다. 약사신앙이 대중들에게 큰 인기를 끌며 영향력 있는 불교 신앙의 일부로 자리매김한 것이 분명하며, 약기인이라는 특징적인 수인이 있기 때문에 불교 유물로서 약사여래상을 공부하는 것이 매우 의미있다고 생각해 약사여래를 담당하게 되었다. [[약사여래]]와 약사신앙의 특징, 불상에서 나타나는 특징 등을 상세히 서술했다.
  
  
[[청양 장곡사]]
+
'''[[청양 장곡사]]'''</br>
매우 귀중한 가치를 갖는 약사여래상이 봉안된 절이기 때문에 이 절에 관한 정보를 더 자세히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고 느꼈다. 절을 구성하고 있는 건물과 더불어 다른 보유 유물에 관해서도 서술했다.  
+
매우 귀중한 가치를 갖는 약사여래상이 봉안된 절이기 때문에 이 절에 관한 정보를 더 자세히 포함할 필요가 있다고 느꼈다. 절을 구성하고 있는 건물과 더불어 다른 보유 유물에 관해서도 서술했다.  
  
 
==하이퍼링크==
 
==하이퍼링크==
 
===스토리===
 
===스토리===
개인 분류 페이지에 다음 사항을 기록하세요.
+
 
    * 밑에 나타나는 자신의 기여 기사에 대해 전체적, 부분적으로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
+
'''[[괘불]]''' 페이지에는 해당 불화의 도상에 포함되어 있는 다양한 부처를 다루고 있다. 내가 담당했던 [[약사여래]]를 포함하여 [[아미타불]], [[관세음보살]], [[비로자나불]] 등이 '''불화'''에서는 어떻게 표현되는지 자세히 다루었다. 이를 통해 각각의 부처에 관한 추가적인 이해를 돕고자 했다.
    * '본문 속 하이퍼 링크' 또는 '관련항목 하이퍼 링크' 작성 및 추가를 통해 어떠한 스토리를 만들어냈는지
+
 
 +
'''[[삼보사찰]] '''페이지에서는 메인 페이지에서도 다루고 있는 유물인 '합천 해인사 법보전 비로자나불좌상 및 복장유물'을 비롯한 다양한 불상을 보유하고 있는 [[해인사]]에 관한 추가적인 내용을 포함시켰다. 불상뿐만 아니라 대장경을 보유하고 관리함으로써 법보사찰로 자리매김한 합천 해인사에 관한 풍부한 지식을 얻을 수 있도록 했다.
 +
 
 +
'''[[약사여래]]''' 페이지에 포함된 수인 '''약기인'''은 페이지 내에도 서술되어 있듯이 수인 중 [[계인]]에 속하는 수인이다. [[계인]]은 [[관세음보살]]과도 관련이 깊으며, 불상에 표현된 지물이 나타내는 의미를 더욱 자세히 알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수인들 간의 관계와 그 해석을 집중적으로 다룸으로써 불상에 관한 탐구의 질을 높였다.
 +
 
 +
'''[[청양 장곡사]]''' 페이지에서는 '[[미륵불]] 괘불탱' 이라는 보유 유물을 설명하고 있는데, 이는 내가 제작한 다른 위키 페이지인 [[괘불]]과 연관되어 있다. 생소한 용어인 '''괘불'''의 의미를 설명하고, 그 역사와 예시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다양한 불상, 유물, 회화 등의 불교 유물을 모두 연관지어 이해할 수 있도록 힘썼다.

2023년 12월 11일 (월) 23:36 기준 최신판

권민서

기여

전체적

불상_무엇이든_물어보살

조의 주제였던 불교유물은 내가 의견을 제시해 선정된 주제이다. 해당 주제를 공부해보고 싶었던 이유를 종교 예술품의 가치와 연관지어 조원들에게 상세히 설명했다. 평소 불교 조각상을 비롯한 사찰, 불화 등에 관심이 많았기 때문에 과제를 진행하는 초반부터 내가 기존에 알고 있었던 배경지식을 활용해 과제물의 방향성을 잡을 필요가 있었다. 그 과정에서 토의를 통해 불교유물 중 불상에 관해 탐구해보기로 결정하였고, 불상의 주제가 되는 부처에 따라 수인(손 모양)이 다르다는 각각의 도상이 있기 때문에 부처에 따라 불상을 분류해 탐구해보면 좋겠다는 의견을 냈다. 이를 바탕으로 조별 과제물이 완성되었고, 나는 그 과정에서 불상과 수인, 인물, 위치, 자세 등을 연관 짓는 관계성 설정 부분을 주로 맡았다.


부분적

괘불
조의 주제인 불교 유물 중 조각상 부분에 속하지는 않는 회화 유물이지만, 불교 유물과 관련한 지식을 폭넓게 얻을 수 있도록 제작한 위키 페이지이다. 조별 과제를 진행하며 중점적으로 맡은 인물(각각의 부처)의 형상을 표현하는 데에도 주로 쓰이는 것이 불화이기 때문에 불화 중 괘불의 역할과 도상에 관해서도 공부해보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 관련 정보를 추가해 제작했다.

삼보사찰
불상을 다루다 보면 기본적으로 불상이 봉안되어 있는 사찰을 다루게 된다. 이를 위해 한국의 대표적인 사찰과 그 분류 기준에 대해 알아볼 필요가 있을 것 같았다. 실제로 조별 과제에서 다룬 불상을 보유하고 있는 절 역시 삼보사찰에 포함되는 절이기 때문에 관련 지식을 위키 페이지로 제작하였다.

약사여래
조원 모두가 각자 한 부처를 담당해 탐구를 진행하는 방식으로 조별 과제를 제작했는데, 나는 그 중 약사여래를 맡았다. 약사신앙이 대중들에게 큰 인기를 끌며 영향력 있는 불교 신앙의 일부로 자리매김한 것이 분명하며, 약기인이라는 특징적인 수인이 있기 때문에 불교 유물로서 약사여래상을 공부하는 것이 매우 의미있다고 생각해 약사여래를 담당하게 되었다. 약사여래와 약사신앙의 특징, 불상에서 나타나는 특징 등을 상세히 서술했다.


청양 장곡사
매우 귀중한 가치를 갖는 약사여래상이 봉안된 절이기 때문에 이 절에 관한 정보를 더 자세히 포함할 필요가 있다고 느꼈다. 절을 구성하고 있는 건물과 더불어 다른 보유 유물에 관해서도 서술했다.

하이퍼링크

스토리

괘불 페이지에는 해당 불화의 도상에 포함되어 있는 다양한 부처를 다루고 있다. 내가 담당했던 약사여래를 포함하여 아미타불, 관세음보살, 비로자나불 등이 불화에서는 어떻게 표현되는지 자세히 다루었다. 이를 통해 각각의 부처에 관한 추가적인 이해를 돕고자 했다.

삼보사찰 페이지에서는 메인 페이지에서도 다루고 있는 유물인 '합천 해인사 법보전 비로자나불좌상 및 복장유물'을 비롯한 다양한 불상을 보유하고 있는 해인사에 관한 추가적인 내용을 포함시켰다. 불상뿐만 아니라 대장경을 보유하고 관리함으로써 법보사찰로 자리매김한 합천 해인사에 관한 풍부한 지식을 얻을 수 있도록 했다.

약사여래 페이지에 포함된 수인 약기인은 페이지 내에도 서술되어 있듯이 수인 중 계인에 속하는 수인이다. 계인관세음보살과도 관련이 깊으며, 불상에 표현된 지물이 나타내는 의미를 더욱 자세히 알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수인들 간의 관계와 그 해석을 집중적으로 다룸으로써 불상에 관한 탐구의 질을 높였다.

청양 장곡사 페이지에서는 '미륵불 괘불탱' 이라는 보유 유물을 설명하고 있는데, 이는 내가 제작한 다른 위키 페이지인 괘불과 연관되어 있다. 생소한 용어인 괘불의 의미를 설명하고, 그 역사와 예시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다양한 불상, 유물, 회화 등의 불교 유물을 모두 연관지어 이해할 수 있도록 힘썼다.

"권민서" 분류에 속하는 문서

다음은 이 분류에 속하는 문서 5개 가운데 5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