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_edu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1936년 보물로 지정'''
 
'''1936년 보물로 지정'''
 +
 +
 
==특징==
 
==특징==
 
===건축시기 및 위치===
 
===건축시기 및 위치===
5번째 줄: 7번째 줄:
  
 
[[파일: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jpg|350픽셀|섬네일|오른쪽]]
 
[[파일: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jpg|350픽셀|섬네일|오른쪽]]
===형태===
+
===형태 <ref>https://gjicp.ggcf.kr/mediaObjects/438</ref>===
 
*용의 눈과 코
 
*용의 눈과 코
  
20번째 줄: 22번째 줄:
 
==출처==
 
==출처==
 
<references/>
 
<references/>
[[분류:김윤주]]
+
[[분류:김윤주]][[분류:건축문화재]]

2023년 12월 11일 (월) 00:15 기준 최신판

1936년 보물로 지정


특징

건축시기 및 위치

경기도 여주시 북내면 고달사터에 위치한 고려전기 탑비의 받침돌으로 높이는 2m이다. 현재는 귀부[1]와 이수[2] 만이 남아 있고, 비신(碑身)[3]은 경복궁 근정전 회랑에 진열되어 있다.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jpg

형태 [4]

  • 용의 눈과 코

용은 눈을 부릅떠 정면을 직시하고 있는데, 눈꼬리가 길게 치켜올라가 매우 험상궂은 모습이다. 코는 들려서 콧구멍이 깊게 표현되고 중첩된 주름이 정수리까지 이어져 있다.

  • 얼굴 형태

일반적으로 여의주를 물고 있는 모습과는 달리 입을 꽉 다물어 여의주를 물지 않은 형태이며, 길게 찢어진 입 가장자리에는 공룡의 깃과 같은 물갈퀴 형상이 조각되었고, 그 뒤로 갈기 같은 털이 머리 뒤까지 길게 뻗쳐 있다.

  • 몸의 형태

앞발은 귀갑 전면 양단에 가지런히 두었으나 마치 땅을 밀치고 나가려는 듯 격동적이고, 사실적으로 표현된 발톱은 땅을 꼭 누르고 있는 듯하다. 발은 크고 두툼하며, 5개의 발가락과 발톱이 상세하게 표현되어 있는데 큰 발로 지대석을 누르고 버티어 앉은 모습으로 한껏 사실감이 돋보인다.

출처

  1. 비석의 받침돌
  2. 비신의 꼭대기에 표현된 용
  3. 비문을 새긴 돌
  4. https://gjicp.ggcf.kr/mediaObjects/4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