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불국사금동아미타여래좌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형상) |
(→출처 웹사이트)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분류:불교유물]] | ||
+ | [[분류:김은성]] | ||
[[파일:경주불국사.jpg|섬네일|right|경주 불국사 금동 아미타 여래 좌상]] | [[파일:경주불국사.jpg|섬네일|right|경주 불국사 금동 아미타 여래 좌상]] | ||
==요약== | ==요약== | ||
금동아미타여래좌상은 불국사 극락전에 모셔진 높이 1.66m의 불상이다. | 금동아미타여래좌상은 불국사 극락전에 모셔진 높이 1.66m의 불상이다.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background:white;" | ||
− | |+ | + | |+ |
|+ style="caption-side:bottom; text-align:left;"|출처: 경주문화관광 | |+ style="caption-side:bottom; text-align:left;"|출처: 경주문화관광 | ||
! 불상 || 경주불국사금동아미타여래좌상 | ! 불상 || 경주불국사금동아미타여래좌상 | ||
31번째 줄: | 33번째 줄: | ||
==형상== | ==형상== | ||
− | 머리에는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칼을 기교있게 붙여 놓았으며, 정수리 부근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큼직하게 솟아 있다. 원만하고 자비스러운 얼굴은 정면을 향하고 있으며, 눈썹은 반원형이고 콧날은 오똑하다. 신체 표현은 장중하여 건장한 남성의 체구를 연상시키며, 두 무릎은 넓게 퍼져서 매우 안정된 느낌을 준다.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고 왼쪽 어깨에만 걸쳐 입은 옷에는 거침없는 주름이 새겨져 있는데, 특히 옷깃 안쪽에서 밖으로 늘어지는 옷 접힘은 매우 사실적으로 표현되었다. 어깨 높이로 들어 약간 오므린 왼손은 손바닥을 보이고 있으며, 오른손은 무릎에 올려 놓고 엄지와 가운데 손가락을 약간 구부리고 있다. </br>떡 벌어진 어깨, 양감있는 당당한 가슴, 잘록한 허리 등에서 사실적이면서 세련된 남북국시대 신라 불상의 모습을 엿볼 수 있으며, 경주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국보 제26호), 경주 백률사 금동약사여래입상(국보 제28호)과 함께 남북국시대 신라 3대 금동불상으로 불린다. | + | 머리에는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칼을 기교있게 붙여 놓았으며, 정수리 부근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큼직하게 솟아 있다. 원만하고 자비스러운 얼굴은 정면을 향하고 있으며, 눈썹은 반원형이고 콧날은 오똑하다. 신체 표현은 장중하여 건장한 남성의 체구를 연상시키며, 두 무릎은 넓게 퍼져서 매우 안정된 느낌을 준다.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고 왼쪽 어깨에만 걸쳐 입은 옷에는 거침없는 주름이 새겨져 있는데, 특히 옷깃 안쪽에서 밖으로 늘어지는 옷 접힘은 매우 사실적으로 표현되었다. 어깨 높이로 들어 약간 오므린 왼손은 손바닥을 보이고 있으며, 오른손은 무릎에 올려 놓고 엄지와 가운데 손가락을 약간 구부리고 있다. </br>떡 벌어진 어깨, 양감있는 당당한 가슴, 잘록한 허리 등에서 사실적이면서 세련된 남북국시대 신라 불상의 모습을 엿볼 수 있으며, 경주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국보 제26호), 경주 백률사 금동약사여래입상(국보 제28호)과 함께 남북국시대 신라 3대 금동불상으로 불린다. |
+ | <span style="background:#ffcccc">''출처: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span> | ||
+ | {|class="wikitable" | ||
+ | |+ <상세 정보> | ||
+ | ! 부위 || 머리 || 얼굴 || 몸 | ||
+ | |- | ||
+ | | style="background:lightpink; color:black" |사진 || [[파일:경주불국사2.jpg|200픽셀|center]] || [[파일:경주불국사2.jpg|200픽셀|center]] || [[파일:경주불국사3.jpg|200픽셀|center]] | ||
+ | |- | ||
+ | | style="background:lightpink; color:black" |소개 || 머리는 작은 소라 모양으로 부처의 지혜를 상징하는 육계(肉髻)와 나발(螺髮, 부처의 머리털)에서 한치의 오차도 없이 깔끔하게 정리되어 있다. || 얼굴은 약간 통통하며 푸근한 불안(佛顔, 부처의 얼굴)은 정면을 향하고 있다. 이마와 눈썹을 구별짓는 경계선 같은 음각성이 있는데, 이 한 줄 조각은 8~9세기에 크게 유행했다. 눈썹은 길게 반원형으로 그려져 있으며, 중간지점에 백호(白毫)가 비치고 있다. 두 눈은 가늘면서도 길게 새겨, 아래로 내려보다고 있는 듯하다. 코는 오똑하며, 인중을 뚜렷이 뚜렷하게 새겼다. 양쪽 볼은 살이 약간 있지만, 통통하지도 마르지도 않은 비율을 하고 있다. 귀는 목까지 길게 내려와 있으며, 목에 세 개의 주름인 삼도(三道)가 나 있다. | ||
+ | || 몸은 근육이 있을 듯, 건강한 남성의 체구로 표현했다. 양 어깨는 넓게 벌어져 있으며, 가슴은 당당하게 살짝 튀어나와 있고, 젖가슴이 보인다. 팔은 가늘지도 그렇다고 근육이 있는 팔도 아닌 평범하다. 허리는 굵으며 가슴과 일자형이다. 다리는 가부좌한 자세로 앉아 있다. 이러한 몸의 형태는 8~9세기 후반의 불상에서 이상적이면서 세련된 면모를 잘 보여주고 있다. | ||
+ | |- | ||
+ | |} | ||
+ | |||
+ | ===수인=== | ||
+ | 부처의 손 동작인 수인(手印)은 [[아미타불]](阿彌陀佛)의 [[아미타구품인]](阿彌陀九品印) 중, 왼손은 손바닥을 보이고 있으며, 오른손은 무릎에 올려 놓고 엄지와 가운데 손가락을 약간 구부리고 있는 하품중생인(下品中生印)을 하고 있지만, 양손의 위치가 좌우로 바뀌었다. | ||
+ | |||
+ | <gallery heights="150px"> | ||
+ | 파일:경주불국사오른쪽.jpg|왼손 | ||
+ | 파일:경주불국사왼쪽.jpg|오른손 | ||
+ | </gallery> | ||
+ | |||
+ | ===자세=== | ||
+ | 금동아미타여래좌상은 [[결가부좌]]를 하고 있다. 결가부좌란 가부좌<ref>한국불교에서는 선 수행에 몰두하는 스님에 빗대‘가부좌를 틀고 앉는다’고 말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어떤 일에 몰두하거나, 포기하지 않고 고집을 피운다는 뜻이다.</ref>의 자세로 앉는 좌법을 가르킨다. </br>불교에서 흔히 오른발을 왼쪽 허벅지 위에 얹은 다음 왼발을 오른 허벅지 위에 얹어 앉는 자세를 가리켜 가부좌라고 이른다. </br>이것을 붓다가 앉는 자세라고 하여 불좌(佛座), 여래좌(如來座)라고 부르고, 다른 말로는 길상좌(吉祥坐), 항마좌(降魔坐)라고도 한다. 밀교에서 금강살타(金剛薩埵)는 왼발과 오른발을 바꾸어 앉는데 이 경우 금강좌(金剛座)라고 부른다. </br>가부좌가 어려울 경우 반가좌로 앉기도 하는데 이것은 오른발을 왼발의 밑에 두고 왼발을 오른발 아래에 두는 것이다. </br>가부좌는 발안쪽을 뜻하는 가(跏)와 발등을 뜻하는 부(趺)가 결합된 말이다. 가부좌는 인도의 요가 전통에서 비롯된 것으로 몸을 안정시키고, 호흡과 명상을 용이하게 하기 때문에 인도의 종교나 수행은 가부좌를 연화좌(蓮華坐)라고 하여 신성시한다. 가부좌는 인더스문명의 인장(印章)유물에서 보이기 때문에 기원전 3,500년까지 그 기원이 거슬러 올라간다. 불교에서 불상이나 보살상은 가부좌 자세 외에 선 자세나 앉은 자세, 무릎을 세운 유희좌(遊戱坐) 등 다양한 형태가 있다. | ||
+ | <span style="background:#ffcccc">''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결가부좌''</span> | ||
+ | <gallery heights="150px"> | ||
+ | 파일:좌상.jpg|결가부좌 | ||
+ | </gallery> | ||
− | ''출처: | + | ===재료=== |
− | === | + | 금동아미타여래좌상은 금동으로 만들어졌다. 금동은 금으로 도금하거나 금박을 입힌 구리다. |
− | + | <span style="background:#ffcccc">''출처: 위키백과 금동''</span> | |
− | === | + | <gallery heights="150px"> |
− | + | 파일:경주불국사5.jpg|금동 | |
− | === | + | </gallery> |
− | + | ==참고문헌== | |
+ | ===출처 웹사이트=== | ||
+ |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jsessionid=5hwUl1TEQNB51s59kNp3XE3RYAyk3YSfAkuNgbu5FohCDMDtnD7ItSQgbOKKtyC2.cpawas2_servlet_engine1?culPageNo=1®ion=1&searchCondition=%ea%b8%88%eb%8f%99%ec%95%84%eb%af%b8%ed%83%80%ec%97%ac%eb%9e%98%ec%a2%8c%ec%83%81&searchCondition2=&s_kdcdArr=&s_ctcdArr=&ccbaPcd1Arr=&ccbaKdcd=11&ccbaAsno=00270000&ccbaCtcd=37&ccbaCpno=1113700270000&ccbaCndt=&ccbaLcto=&stCcbaAsno=&endCcbaAsno=&stCcbaAsdt=&endCcbaAsdt=&chGubun=&header=view&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ViewList.do&pageNo=1_1_1_0&sngl=Y] | ||
+ |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79385] | ||
+ | [https://ko.wikipedia.org/wiki/%EA%B8%88%EB%8F%99] | ||
==각주== | ==각주== | ||
<references/> | <references/> |
2023년 12월 12일 (화) 01:00 기준 최신판
요약
금동아미타여래좌상은 불국사 극락전에 모셔진 높이 1.66m의 불상이다.
불상 | 경주불국사금동아미타여래좌상 |
---|---|
종목 | 국보 제27호 |
분류 | 유물 / 불교조각 / 금속조 / 불상 |
수량/면 | 1구 |
지정(등록)일 | 1962년 12월 20일 |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진현동 15-0 불국사 |
시대 | 통일신라시대 |
소유자 | 불국사 |
관리자 | 불국사 |
소재지
경상북도 경주시 진현동 불국사 극락전[1]에 소재해 있다.
- 경주시 토함산 기슭에 자리잡은 불국사는 통일신라 경덕왕 10년(751) 김대성의 발원에 의해 창건된 사찰로, 『삼국유사』에 의하면 김대성은 현세의 부모를 위해 불국사를, 전생의 부모를 위해 석굴암 석굴을 창건하였다고 한다.
- 시간은 흘러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불국사는 의병이 주둔지로 이용한 탓에 모두 불타고, 석탑과 석조물만 남게 되었다. 이후 대웅전 등 일부를 다시 세우고, 1969~1973년 불국사 복원 사업이 대대적으로 진행되면서 오늘날에 이르는 웅장한 불국사가 재탄생되었다. 이후 건축미, 수리(복원), 종교, 예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불국사와 석굴암은 1995년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형상
머리에는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칼을 기교있게 붙여 놓았으며, 정수리 부근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큼직하게 솟아 있다. 원만하고 자비스러운 얼굴은 정면을 향하고 있으며, 눈썹은 반원형이고 콧날은 오똑하다. 신체 표현은 장중하여 건장한 남성의 체구를 연상시키며, 두 무릎은 넓게 퍼져서 매우 안정된 느낌을 준다.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고 왼쪽 어깨에만 걸쳐 입은 옷에는 거침없는 주름이 새겨져 있는데, 특히 옷깃 안쪽에서 밖으로 늘어지는 옷 접힘은 매우 사실적으로 표현되었다. 어깨 높이로 들어 약간 오므린 왼손은 손바닥을 보이고 있으며, 오른손은 무릎에 올려 놓고 엄지와 가운데 손가락을 약간 구부리고 있다.
떡 벌어진 어깨, 양감있는 당당한 가슴, 잘록한 허리 등에서 사실적이면서 세련된 남북국시대 신라 불상의 모습을 엿볼 수 있으며, 경주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국보 제26호), 경주 백률사 금동약사여래입상(국보 제28호)과 함께 남북국시대 신라 3대 금동불상으로 불린다.
출처: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부위 | 머리 | 얼굴 | 몸 |
---|---|---|---|
사진 | |||
소개 | 머리는 작은 소라 모양으로 부처의 지혜를 상징하는 육계(肉髻)와 나발(螺髮, 부처의 머리털)에서 한치의 오차도 없이 깔끔하게 정리되어 있다. | 얼굴은 약간 통통하며 푸근한 불안(佛顔, 부처의 얼굴)은 정면을 향하고 있다. 이마와 눈썹을 구별짓는 경계선 같은 음각성이 있는데, 이 한 줄 조각은 8~9세기에 크게 유행했다. 눈썹은 길게 반원형으로 그려져 있으며, 중간지점에 백호(白毫)가 비치고 있다. 두 눈은 가늘면서도 길게 새겨, 아래로 내려보다고 있는 듯하다. 코는 오똑하며, 인중을 뚜렷이 뚜렷하게 새겼다. 양쪽 볼은 살이 약간 있지만, 통통하지도 마르지도 않은 비율을 하고 있다. 귀는 목까지 길게 내려와 있으며, 목에 세 개의 주름인 삼도(三道)가 나 있다. | 몸은 근육이 있을 듯, 건강한 남성의 체구로 표현했다. 양 어깨는 넓게 벌어져 있으며, 가슴은 당당하게 살짝 튀어나와 있고, 젖가슴이 보인다. 팔은 가늘지도 그렇다고 근육이 있는 팔도 아닌 평범하다. 허리는 굵으며 가슴과 일자형이다. 다리는 가부좌한 자세로 앉아 있다. 이러한 몸의 형태는 8~9세기 후반의 불상에서 이상적이면서 세련된 면모를 잘 보여주고 있다. |
수인
부처의 손 동작인 수인(手印)은 아미타불(阿彌陀佛)의 아미타구품인(阿彌陀九品印) 중, 왼손은 손바닥을 보이고 있으며, 오른손은 무릎에 올려 놓고 엄지와 가운데 손가락을 약간 구부리고 있는 하품중생인(下品中生印)을 하고 있지만, 양손의 위치가 좌우로 바뀌었다.
자세
금동아미타여래좌상은 결가부좌를 하고 있다. 결가부좌란 가부좌[2]의 자세로 앉는 좌법을 가르킨다.
불교에서 흔히 오른발을 왼쪽 허벅지 위에 얹은 다음 왼발을 오른 허벅지 위에 얹어 앉는 자세를 가리켜 가부좌라고 이른다.
이것을 붓다가 앉는 자세라고 하여 불좌(佛座), 여래좌(如來座)라고 부르고, 다른 말로는 길상좌(吉祥坐), 항마좌(降魔坐)라고도 한다. 밀교에서 금강살타(金剛薩埵)는 왼발과 오른발을 바꾸어 앉는데 이 경우 금강좌(金剛座)라고 부른다.
가부좌가 어려울 경우 반가좌로 앉기도 하는데 이것은 오른발을 왼발의 밑에 두고 왼발을 오른발 아래에 두는 것이다.
가부좌는 발안쪽을 뜻하는 가(跏)와 발등을 뜻하는 부(趺)가 결합된 말이다. 가부좌는 인도의 요가 전통에서 비롯된 것으로 몸을 안정시키고, 호흡과 명상을 용이하게 하기 때문에 인도의 종교나 수행은 가부좌를 연화좌(蓮華坐)라고 하여 신성시한다. 가부좌는 인더스문명의 인장(印章)유물에서 보이기 때문에 기원전 3,500년까지 그 기원이 거슬러 올라간다. 불교에서 불상이나 보살상은 가부좌 자세 외에 선 자세나 앉은 자세, 무릎을 세운 유희좌(遊戱坐) 등 다양한 형태가 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결가부좌
재료
금동아미타여래좌상은 금동으로 만들어졌다. 금동은 금으로 도금하거나 금박을 입힌 구리다.
출처: 위키백과 금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