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사여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파일:금동약사여래입상.jpg|섬네일|오른쪽]]</br> | + | [[파일:금동약사여래입상.jpg|섬네일|오른쪽|금동약사여래입상]]</br> |
==정의== | ==정의== | ||
− | 약사여래(藥師如來)는 『약사여래본원공덕경』에 근거하는 불교 신앙인 약사신앙에서 모시는 부처로, 중생의 질병을 고쳐주는 부처이다. 동방 정유리세계(淨瑠璃世界)에 있으며 질병의 치유뿐만 아니라 재앙을 소멸시키는 역할도 한다. 원만행(圓滿行)을 닦는 이에게 무상보리(無上菩提)<ref>더할 나위 없이 훌륭한 부처의 깨달음.</ref>의 묘과(妙果)<ref>보리, 열반과 같은 아주 뛰어나고 훌륭한 결과</ref>를 깨달아 얻게 하는 부처이다. | + | 약사여래(藥師如來)는 『약사여래본원공덕경』에 근거하는 불교 신앙인 약사신앙에서 모시는 부처로, 중생의 질병을 고쳐주는 부처이다. 동방 정유리세계(淨瑠璃世界)에 있으며 질병의 치유뿐만 아니라 재앙을 소멸시키는 역할도 한다. 원만행(圓滿行)을 닦는 이에게 무상보리(無上菩提)<ref>더할 나위 없이 훌륭한 부처의 깨달음.</ref>의 묘과(妙果)<ref>보리, 열반과 같은 아주 뛰어나고 훌륭한 결과.</ref>를 깨달아 얻게 하는 부처이다. |
14번째 줄: | 14번째 줄: | ||
==유래 및 발전== | ==유래 및 발전== | ||
− | 약사여래가 거주하는 정유리세계는 동방의 이상향이라 할 수 있는 곳이다. 게다가 약사여래는 아래 상술할 '''약사십이대원(藥師十二大願)'''을 세워 중생의 교화를 위해 힘썼다. 이 십이대원의 내용은 병을 치료하는 것과 더불어 현세의 | + | ===약사신앙=== |
+ | 약사여래가 거주하는 정유리세계는 동방의 이상향이라 할 수 있는 곳이다. 게다가 약사여래는 아래 상술할 '''약사십이대원(藥師十二大願)'''을 세워 중생의 교화를 위해 힘썼다. 이 십이대원의 내용은 병을 치료하는 것과 더불어 현세의 복락과 고난의 해탈과 관련한 내용을 담고 있어 현실의 고통과 관련이 깊었고, 이는 대중의 호응을 불러일으키는 요소로 작용했다. 약사신앙은 단적이고 현세 이익적 성향을 띠고 있었기에 민간신앙으로 굳건히 자리잡을 수 있었다. </br> | ||
− | 삼국의 전쟁 중 수많은 희생자가 발생했는데, 그러한 상황에서 약사여래는 대중들의 구원자로 등장하게 | + | ===우리나라의 경우=== |
+ | 삼국의 전쟁 중 수많은 희생자가 발생했는데, 그러한 상황에서 약사여래는 대중들의 구원자로 등장하게 되었다. 삼국유사에 수록된 선덕여왕이 병에 걸렸을 때 밀본법사(密本法師)가 『약사경<ref>약사유리광여래의 본원(本願)과 공덕을 설명한 경전.</ref>』을 염송하여 병을 낫게 했다는 일화가 약사신앙의 도입으로 추정된다. 755년(경덕왕 14)에는 분황사에 30만 7600근의 거대한 약사여래상을 봉안하기도 했다. 조형예술로 표현된 약사여래상은 주로 통일신라 대에 만들어졌다. 경덕왕 대의 기록을 살펴보면, 신라의 약사신앙은 680년 이후 또는 8세기 중반에 유행했음을 알 수 있다. 신라 하대에 이르러서는 약사신앙이 신라불교신앙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 | ||
24번째 줄: | 26번째 줄: | ||
===봉안=== | ===봉안=== | ||
− | 현재 우리나라의 사찰에서는 약사여래상을 중심으로 좌우에 협시보살로 일광보살(日光菩薩)과 월광보살(月光菩薩)을 모신 약사전(藥師殿)이 부속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 + | 현재 우리나라의 사찰에서는 약사여래상을 중심으로 좌우에 협시보살로 일광보살(日光菩薩)과 월광보살(月光菩薩)을 모신 약사전(藥師殿)이 부속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약사전은 보통 동향(東向)으로 지어진다는 특징이 있다. 약사전에 봉안되는 약사여래상의 후탱화로는 약사여래의 정토인 동방약사유리광회상도(東方藥師瑠璃光會上圖)가 모셔진다. 보통 약사삼존불(약사여래, 일광보살, 월광보살)과 함께 호법신장인 십이신장을 함께 그리지만 우리나라에서는 호법신으로 사천왕(四天王)을 포함시키는 경우도 있다. |
+ | |||
+ | <gallery mode="slideshow" caption="약사전의 모습" heights="50px"> | ||
+ | 파일:통도사후불탱.jpg|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에 위치한 통도사의 약사전에 봉안되어 있는 후불탱이다. <br/>통도사의 약사전에 봉안된 불상은 약사여래상뿐이지만 불상의 뒷편에 협시보살인 일광보살과 월광보살, 십이신장이 그려진 후불탱화가 함께 봉안되어 있다. | ||
+ | 파일:전등사후불탱.jpg|인천광역시 강화군에 위치한 전등사에 봉안되어 있는 후불탱과 약사여래상이다. 약사여래를 가운데에 두고, 일광보살과 월광보살을 좌우협시보살로 두었다. 그들을 수호하고 있는 사천왕의 모습도 찾아볼 수 있다. | ||
+ | </gallery> | ||
32번째 줄: | 39번째 줄: | ||
===수인=== | ===수인=== | ||
[[파일:약기인.jpg|200픽셀]] </br> | [[파일:약기인.jpg|200픽셀]] </br> | ||
− | '''약기인''' | + | |
+ | |||
+ | *'''약기인''' | ||
약사여래의 대표적인 수인으로, 한 손으로 약기(약그릇)를 들고 있는 모습이다. 이는 사물을 들어 표현하는 '''[[계인]]'''에 포함되어 있는 수인이기도 하다. </br> | 약사여래의 대표적인 수인으로, 한 손으로 약기(약그릇)를 들고 있는 모습이다. 이는 사물을 들어 표현하는 '''[[계인]]'''에 포함되어 있는 수인이기도 하다. </br> | ||
약사여래상의 수인은 약기를 들고 있지 않은 손의 형태에 따라 더 세부적으로 분류해볼 수도 있다. </br> | 약사여래상의 수인은 약기를 들고 있지 않은 손의 형태에 따라 더 세부적으로 분류해볼 수도 있다. </br> | ||
+ | |||
+ | |||
*'''시무외인(施無畏印)''' | *'''시무외인(施無畏印)''' | ||
41번째 줄: | 52번째 줄: | ||
! 사진 || 문화재 이름 | ! 사진 || 문화재 이름 | ||
|- | |- | ||
− | | [[파일:갑사석조약사여래입상.jpg| | + | | [[파일:갑사석조약사여래입상.jpg|200픽셀]] || 갑사 석조약사여래입상 |
|- | |- | ||
|} | |} | ||
48번째 줄: | 59번째 줄: | ||
*'''촉지인(觸地印)''' | *'''촉지인(觸地印)''' | ||
− | 약기를 들지 않은 손을 무릎 위에 두어 촉지인을 맺은 약사여래상은 통일신라 약사여래상의 특징으로, 고려 전기에도 다수 제작되었다. 촉지인은 항마촉지인 또는 지지인이라고 불리도 하는데, 석가모니의 정각<ref>올바른 깨달음. 일체의 참된 모습을 깨달은 더할 나위 없는 | + | 약기를 들지 않은 손을 무릎 위에 두어 촉지인을 맺은 약사여래상은 통일신라 약사여래상의 특징으로, 고려 전기에도 다수 제작되었다. 촉지인은 항마촉지인 또는 지지인이라고 불리도 하는데, 석가모니의 정각<ref>올바른 깨달음. 일체의 참된 모습을 깨달은 더할 나위 없는 지혜.</ref> 성취를 상징한다.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
! 사진 || 문화재 이름 | ! 사진 || 문화재 이름 | ||
|- | |- | ||
− | | [[파일:강릉송라사석조약사여래좌상.jpg| | + | | [[파일:강릉송라사석조약사여래좌상.jpg|200픽셀]] || 강릉 송라사 석조약사여래좌상 |
|- | |- | ||
− | | [[파일:읍옥평철조약사여래좌상.jpg| | + | | [[파일:읍옥평철조약사여래좌상.jpg|200픽셀]] || 읍옥평 철조약사여래좌상 |
|- | |- | ||
|} | |} | ||
83번째 줄: | 94번째 줄: | ||
− | === | + | ===십이신장=== |
− | + | 십이신장(十二神將)은 약사여래를 수호하는 십이지 형상의 야차들이며, 호법신장(호護法神將)의 역할을 한다. </br> 이들의 다른 이름으로는 '''십이야차대장(十二夜叉大將)'''이 있다. | |
− |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
! 순서 || 대장명 || 십이지 || 동물 || 방위 || 시간 | ! 순서 || 대장명 || 십이지 || 동물 || 방위 || 시간 | ||
124번째 줄: | 134번째 줄: | ||
'''웹사이트''' </br> | '''웹사이트''' </br> | ||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recommend/view?relicRecommendId=439379]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5327] |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recommend/view?relicRecommendId=439379]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5327] | ||
+ |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5330] | ||
+ |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5325] | ||
==주석== | ==주석== | ||
− | + | 출처 [https://opendict.korean.go.kr/main 우리말샘] | |
[[분류:불교유물]] | [[분류:불교유물]] | ||
[[분류:권민서]] | [[분류:권민서]] |
2023년 12월 11일 (월) 23:39 기준 최신판
목차
[숨기기]정의
약사여래(藥師如來)는 『약사여래본원공덕경』에 근거하는 불교 신앙인 약사신앙에서 모시는 부처로, 중생의 질병을 고쳐주는 부처이다. 동방 정유리세계(淨瑠璃世界)에 있으며 질병의 치유뿐만 아니라 재앙을 소멸시키는 역할도 한다. 원만행(圓滿行)을 닦는 이에게 무상보리(無上菩提)[1]의 묘과(妙果)[2]를 깨달아 얻게 하는 부처이다.
이름
다른 이름으로는 약사유리광여래(藥師瑠璃光如來), 대의왕불(大醫王佛) 등이 있다.
유래 및 발전
약사신앙
약사여래가 거주하는 정유리세계는 동방의 이상향이라 할 수 있는 곳이다. 게다가 약사여래는 아래 상술할 약사십이대원(藥師十二大願)을 세워 중생의 교화를 위해 힘썼다. 이 십이대원의 내용은 병을 치료하는 것과 더불어 현세의 복락과 고난의 해탈과 관련한 내용을 담고 있어 현실의 고통과 관련이 깊었고, 이는 대중의 호응을 불러일으키는 요소로 작용했다. 약사신앙은 단적이고 현세 이익적 성향을 띠고 있었기에 민간신앙으로 굳건히 자리잡을 수 있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삼국의 전쟁 중 수많은 희생자가 발생했는데, 그러한 상황에서 약사여래는 대중들의 구원자로 등장하게 되었다. 삼국유사에 수록된 선덕여왕이 병에 걸렸을 때 밀본법사(密本法師)가 『약사경[3]』을 염송하여 병을 낫게 했다는 일화가 약사신앙의 도입으로 추정된다. 755년(경덕왕 14)에는 분황사에 30만 7600근의 거대한 약사여래상을 봉안하기도 했다. 조형예술로 표현된 약사여래상은 주로 통일신라 대에 만들어졌다. 경덕왕 대의 기록을 살펴보면, 신라의 약사신앙은 680년 이후 또는 8세기 중반에 유행했음을 알 수 있다. 신라 하대에 이르러서는 약사신앙이 신라불교신앙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
특징
봉안
현재 우리나라의 사찰에서는 약사여래상을 중심으로 좌우에 협시보살로 일광보살(日光菩薩)과 월광보살(月光菩薩)을 모신 약사전(藥師殿)이 부속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약사전은 보통 동향(東向)으로 지어진다는 특징이 있다. 약사전에 봉안되는 약사여래상의 후탱화로는 약사여래의 정토인 동방약사유리광회상도(東方藥師瑠璃光會上圖)가 모셔진다. 보통 약사삼존불(약사여래, 일광보살, 월광보살)과 함께 호법신장인 십이신장을 함께 그리지만 우리나라에서는 호법신으로 사천왕(四天王)을 포함시키는 경우도 있다.
수인
- 약기인
약사여래의 대표적인 수인으로, 한 손으로 약기(약그릇)를 들고 있는 모습이다. 이는 사물을 들어 표현하는 계인에 포함되어 있는 수인이기도 하다.
약사여래상의 수인은 약기를 들고 있지 않은 손의 형태에 따라 더 세부적으로 분류해볼 수도 있다.
- 시무외인(施無畏印)
오른손을 위로 올려 손바닥을 밖으로 향하는 모습을 하고 있다. 두려워하지 말라는 의미를 지닌다. 다른 부처의 상에도 두루 쓰이는 통인(通印)에 해당되는 수인이기도 하다.
사진 | 문화재 이름 |
---|---|
갑사 석조약사여래입상 |
- 촉지인(觸地印)
약기를 들지 않은 손을 무릎 위에 두어 촉지인을 맺은 약사여래상은 통일신라 약사여래상의 특징으로, 고려 전기에도 다수 제작되었다. 촉지인은 항마촉지인 또는 지지인이라고 불리도 하는데, 석가모니의 정각[4] 성취를 상징한다.
사진 | 문화재 이름 |
---|---|
강릉 송라사 석조약사여래좌상 | |
읍옥평 철조약사여래좌상 |
약사십이대원
약사여래는 과거세에 약왕(藥王)보살로 수행하며 중생의 아픔과 슬픔을 소멸시키기 위해 12개의 대원을 세웠다. 약사십이대원(藥師十二大願)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광명보조 : 내 몸과 남의 몸에 광명이 가득하게 하려는 원
② 수의혹변 : 위덕이 높아서 중생을 모두 깨우치려는 원
③ 시무진물 : 중생으로 하여금 욕망에 만족하여 결핍하지 않게 하려는 원
④ 안립대승 : 일체 중생으로 하여금 대승교에 들어오게 하려는 원
⑤ 구계청정 : 깨끗한 업을 지어 삼취정계를 갖추게 하려는 원
⑥ 제근구족 : 일체의 불구자로 하여금 모든 기관을 완전하게 하려는 원
⑦ 제병안락 : 몸과 마음이 안락하여 무상보리를 증득하게 하려는 원
⑧ 전여득불 : 일체 여인으로 하여금 모두 남자가 되게 하려는 원
⑨ 안립정견 : 천마(天魔), 외도(外道)의 나쁜 소견을 없애고 부처님의 바른 지견으로 포섭하려는 원
⑩ 제난해탈 : 나쁜 왕이나 강도 등의 고난으로부터 중생을 구제하려는 원
⑪ 포식안락 : 일체 중생의 기갈을 면하게 하고 배부르게 하려는 원
⑫ 미의만족 : 가난하여 의복이 없는 이에게 훌륭한 옷을 갖게 하려는 원
십이신장
십이신장(十二神將)은 약사여래를 수호하는 십이지 형상의 야차들이며, 호법신장(호護法神將)의 역할을 한다.
이들의 다른 이름으로는 십이야차대장(十二夜叉大將)이 있다.
순서 | 대장명 | 십이지 | 동물 | 방위 | 시간 |
---|---|---|---|---|---|
1 | 궁비라(宮毘羅, Kumbhira) | 해(亥) | 돼지 | 北北西 | 21~23시 |
2 | 벌절라(伐折羅, Vajra) | 술(戌) | 개 | 西北西 | 19~21시 |
3 | 미기라(迷企羅, Mihira) | 유(酉) | 닭 | 西 | 17~19시 |
4 | 안저라(安底羅, Andira) | 신(申) | 원숭이 | 西南西 | 15~17시 |
5 | 알니라(頞儞羅, Anila) | 미(未) | 양 | 南南西 | 13~15시 |
6 | 산저라(珊底羅, Sandira) | 오(午) | 말 | 南 | 11~13시 |
7 | 인달라(因達羅, Indra) | 사(巳) | 뱀 | 南南東 | 09~11시 |
8 | 파이라(波夷羅, Pajra) | 진(辰) | 용 | 東南東 | 07~09시 |
9 | 마호라(摩虎羅, Makura) | 묘(卯) | 토끼 | 東 | 05~07시 |
10 | 진달라(眞達羅, kinnara) | 인(寅) | 호랑이 | 東北東 | 03~05시 |
11 | 초두라(招杜羅, Catura) | 축(丑) | 소 | 北北東 | 01~03시 |
12 | 비갈라(毗羯羅, Vikarala) | 자(子) | 쥐 | 北 | 23~01시 |
참고문헌
논문
- 김정숙. (2022). 약사여래 신앙의 현대적 의미와 신앙적 가치 고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2(6), 428-438.
- 허형욱. (2023). 고려 전기 약사여래상의 계보와 특징. 미술사학, 46, 39-66.
주석
출처 우리말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