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도방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참고자료) |
(→참고자료) |
||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96번째 줄: | 96번째 줄: | ||
==차이점== | ==차이점== | ||
* 악센트(억양) 차이 | * 악센트(억양) 차이 | ||
+ | ** 경남과 경북의 사투리를 비교하는 데에는 부산과 대구가 가장 효과적이다. 따라서 부산과 대구 사투리를 예시로 둘의 차이를 알아보자. | ||
** 부산과 대구 사투리의 가장 큰 차이점은 악센트를 어디에 주고 말하는지이다. 부산 사투리는 주로 뒷음절에 악센트를 주는 경우가 많은 반면, 대구는 첫음절에 악센트를 주고 말한다. | ** 부산과 대구 사투리의 가장 큰 차이점은 악센트를 어디에 주고 말하는지이다. 부산 사투리는 주로 뒷음절에 악센트를 주는 경우가 많은 반면, 대구는 첫음절에 악센트를 주고 말한다. | ||
* 'ㅋ'발음 사용 빈도 | * 'ㅋ'발음 사용 빈도 | ||
117번째 줄: | 118번째 줄: | ||
=참고자료= | =참고자료= | ||
− | 방언연구회, 방언학 사전, 태학사, 2001 | + | * 방언연구회, 방언학 사전, 태학사, 2001 |
− | 임석규. (2020). 경상도 방언의 특징과 그 보존 방안. 인문학연구, 28, 29-67. | + | * 임석규. (2020). 경상도 방언의 특징과 그 보존 방안. 인문학연구, 28, 29-67. |
− | 장혜진. (2022). 경상도 방언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의 현황과 과제. 영주어문, 50, 105-136. | + | * 장혜진. (2022). 경상도 방언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의 현황과 과제. 영주어문, 50, 105-136. |
=기여= | =기여= |
2023년 12월 11일 (월) 11:27 기준 최신판
목차
개요
- 한반도의 동남쪽인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사용되는 한국어의 방언.
- 사용 인구 약 2천만 명 : 경상도 거주 인구(약 1,300만 명) + 다른 지역 이주 경상도 출신 인구 + 국외 거주 재외국민
특징
상대 높임법
일반적
구분 | 하이소체 | 해예체 | 하소체(남부) | 하게체 | 해라체 |
---|---|---|---|---|---|
서술 | -(스)ㅂ니다~더, -(스)ㅂ디다~더 | -어예, -어요 | -요/-소 | -네, -(이)ㄹ세 | -다/(느)ㄴ다, -어 |
의문 | -(스)ㅂ니까~꺼, -(스)ㅂ디까~꺼 | -어예, -어요 | -요/-소, -(느)ㄴ교(동부) | -(느)ㄴ가/ㄴ강/ㄴ고/ㄴ공 | -나/노/(이)가/(이)고, -어 |
명령 | -(으)이소 | -(으)세예/-세요, -어예/어요 | -(으)소 | -게 | -어라, -어 |
청유 | -(으)입시다~더 | -(으)세예/-세요, -어예/어요 | -(으)ㅂ시다~더 | -세 | -자, -어 |
- 하소체와 하게체는 사용자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어 소멸 위험이 있다.
경북 북부 지역
구분 | 하이소체 | 해요체 | 하오체 | 하게체 | 해라체 |
---|---|---|---|---|---|
서술 | -니더/-(으)이더, -디이더, -(이)ㄷ시더 | -어요, -어예 | -(으)오/소, -(이)요 | -(으)이, -네, -(이)ㄷ세 | -다/(느)ㄴ다, -(이)ㄷ다, -어 |
의문 | -니껴/-(으)이껴, -디이껴 | -어요, -어예 | -(으)오/소, -(이)요 | -ㄴ가/ㄴ강/ㄴ고/ㄴ공, -(느)ㄴ게나 | -(으)나/-나/노/(이)라/(이)로/(이)가/(이)고, -어 |
명령 | -(으)소, -(으)이소 | -(으)세요/세예, -어요/어예 | -(으)오 | -게 | -어라, -어 |
청유 | -(으)시더 | -(으)세요/세예, -어요/어예 | 없음 | -세 | -자, -지/제, -어 |
감탄 | -없음 | -어요, -어예 | 없음 | 없음 |
-어라, -구나, -괴, -네, -(으)ㄹ세, -(이)ㄷ세 |
약속 | -(으)ㅁ시더 | -(으)ㄹ게요/ㄹ게예 | 없음 | -(으)ㅁ세 | -(으)마, -(으)ㄹ구마/ㄹ거마, -(으)ㄹ게/ㄹ거이 |
- 다른 방언과 다르게 감탄/약속형 어미가 다양하다.
- '-지' 어미는 평서법/의문법 구분이 모호해져 보통 '-지/제'가 교체된다.
음운
- 음의 높낮이로 단어의 의미가 구분되는 악센트가 있다. 동남 방언에서 특히 또렷하게 나타난다.
- 말끝의 역양이 거의 확정적으로 내려간다.
- 'ㅸ'발음이 보존되어 있다.
- 이중모음의 단모음화
예) 의사 -> 으사
- 전설모음화
예) 고기 -> 괴기, 학교 -> 핵교
- 'ㅡ'와 'ㅓ'의 구분이 약한 곳도 있다.
억양
- 한국어 방언 중에도 표준어와의 억양 차이가 특히나 크다. 발화 전반에서 특유의 강세가 두드러져 다른 지역 사람들이 화난 것처럼 격하게 느끼기도 한다.
- 표준어와 분명히 구별되는 억양 때문인지 외국인이 듣기에도 표준어와 확연하게 비교된다고 한다.
어휘
- 1910년부터 1945년까지 일제강점기에 들어온 어휘가 꽤 남아있다. 이들 단어는 옛날에 전국적으로 사용했으며 주로 대부분이 중세 일본어와 전혀 대립되지 않는 현대적인 일본어 단어들인데, 산지 지형의 특성상 일부 고립된 지역은 우리말 순화 정책의 손길이 닿지 못했던 영향이 크다.
방언 | 의미 | 방언 | 의미 |
---|---|---|---|
간디 | 간덩이 | 깔쌈하다 | 시원스럽게 멋지다 |
까리하다 | 멋지다 | 내내 | 처음부터 끝까지, 자꾸만 |
단디 | 단단히 | 봉다리 | 물건을 담고 옮기는 데에 쓰는 봉투 |
반띵 | 절반으로 떼어낸 것을 나누어 가짐 | 쌔리 | 마구, 들입다 |
북부와 남부의 차이
경상북도
대구
경상남도
부산
차이점
- 악센트(억양) 차이
- 경남과 경북의 사투리를 비교하는 데에는 부산과 대구가 가장 효과적이다. 따라서 부산과 대구 사투리를 예시로 둘의 차이를 알아보자.
- 부산과 대구 사투리의 가장 큰 차이점은 악센트를 어디에 주고 말하는지이다. 부산 사투리는 주로 뒷음절에 악센트를 주는 경우가 많은 반면, 대구는 첫음절에 악센트를 주고 말한다.
- 'ㅋ'발음 사용 빈도
- 대구가 부산에 비해 'ㅋ'발음을 더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억양이 더 강하게 느껴질 때가 많다.
예) 뭐라하노(부산) vs 뭐라카노(대구) 니 와그라는데(부산) vs 니 와카는데(대구)
- 어휘의 차이
예) 우짜지(부산) vs 우야지(대구) 대다(부산) vs 디다(대구) 햄(부산) vs 히야(대구)
- 관련 영상으로는 아래의 것들이 있다.
참고자료
- 방언연구회, 방언학 사전, 태학사, 2001
- 임석규. (2020). 경상도 방언의 특징과 그 보존 방안. 인문학연구, 28, 29-67.
- 장혜진. (2022). 경상도 방언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의 현황과 과제. 영주어문, 50, 105-136.
기여
- ★ : 자료조사 및 페이지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