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량수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_edu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련 건축물)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4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무량수전_사진.png|섬네일|400픽셀|오른쪽|무량수전]]
+
[[파일:무량수전_사진.png|섬네일|430픽셀|오른쪽|무량수전]]
 
==<big>정의</big>==
 
==<big>정의</big>==
 
===건축물 정보===
 
===건축물 정보===
<big>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榮州 浮石寺 無量壽殿)</big>
+
<big>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榮州 浮石寺 無量壽殿)</big>
*역사적 시대: 통일신라-신라 문무대왕 16년(676년)
+
*역사적 시대: 고려시대(중기)<ref>고려 시대의 정확한 시점을 알 수 없어 고려 시대 중기의 건축물로 추정하고 있다.</ref>
  삼국유사에는“의상이 태백산에 가서 조정의 뜻을 받들어 부석사를 세우고 대승교(대승불교)를 포교하니 영감이 많이 나타났다"고 전한다. 그리하여 신라 문무왕 16년(676) 2월에 의상대사가 문무왕이 뜻을 받들어 창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4299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ref>
 
 
*위치: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부석사
 
*위치: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부석사
*특징: 의상이 왕명을 받아 세운 화엄종 사찰.
+
*특징: 국보 제18호
의상이 화엄의 큰 가르침을 베풀던 곳으로, 의상을“부석존자"라 하고, 그가 창시한 화엄종을“부석종"이라 하는 것도 여기에서 유래한다.
 
  
엄격한 양식을 가졌던 삼국시대의 절과 달리 자유로운 건물의 배치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고려와 조선 시대로 갈 수록 점점 심해진다. 회전문, 범종각, 법당, 안양문, 무량수전의 차례로 이루어지는 공간 구조는 화엄경의 질서와 세계관을 반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
무량수전은 주심포 건물의 기본 수법을 잘 보여주며 형태미와 비례미가 뛰어나다. 아미타불이 서방 극락세계에 있고 극락세계는 바닥이 유리로 만들어졌다는 불경 내용에 따라 불단을 건물 서쪽에 치우치게 배치하여 불상이 동쪽을 향하게 했고 바닥에 유약을 바른 전돌을 깔았다. 경북 안동의 봉정사 극락전과 함께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 건축물이며 고려시대 불전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건축물이다. 무량수전은 부석사의 중심 건물로 극락정토를 상징하는 아미타여래불상을 모시고 있다.<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4299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_무량수전 </ref><br/>
 +
무량수전은 우리 나라에 남아 있는 목조 건물 중 안동 봉정사 극락전(국보)과 더불어 오래된 건물로서 고대 사찰건축의 구조를 연구하는데 매우 중요한 건물이 되고 있다.<ref>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13700180000&pageNo=1_1_2_0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 포털</ref>
  
 
+
일반적인 불전은 건물 중심에 불단을 놓고 불상을 건물의 방향과 같게 한다. 그러나 부석사 무량수전은 불단을 건물 서쪽에 치우쳐 배치하고 불상이 동쪽을 향하도록 만들었으며 내부 바닥에는 유약을 바른 전돌을 깔았다. 이것은 아미타불이 서방 극락세계에 있고 극락세계는 바닥이 유리로 만들어졌다고 하는 불경의 내용을 그대로 반영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무량수전과 같은 구성은 건물의 깊이를 확보하고 불단으로 향하는 시선을 집중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ref>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429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_부석사</ref>
 
  
 
===관련 건축물===
 
===관련 건축물===
 
*[[부석사]]
 
*[[부석사]]
 
*[[조사당]]
 
*[[조사당]]
 +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앞 석등(국보 제 17호)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1,00170000,37&pageNo=1_1_1_0 문화재청]
  
 
==<big>관계</big>==
 
==<big>관계</big>==
{{NetworkGraph | title=부석사.list .lst}}
+
<div style="width: 600px; height: 720px;">
 +
    {{NetworkGraph | title=부석사.list .lst}}
 +
</div>
  
 
==<big>출처</big>==
 
==<big>출처</big>==
 +
[[분류:콘텐츠 분야 7분반]][[분류:건축문화재]][[분류:라떼]]

2023년 12월 11일 (월) 13:00 기준 최신판

무량수전

정의

건축물 정보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榮州 浮石寺 無量壽殿)

  • 역사적 시대: 고려시대(중기)[1]
  • 위치: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부석사
  • 특징: 국보 제18호

무량수전은 주심포 건물의 기본 수법을 잘 보여주며 형태미와 비례미가 뛰어나다. 아미타불이 서방 극락세계에 있고 극락세계는 바닥이 유리로 만들어졌다는 불경 내용에 따라 불단을 건물 서쪽에 치우치게 배치하여 불상이 동쪽을 향하게 했고 바닥에 유약을 바른 전돌을 깔았다. 경북 안동의 봉정사 극락전과 함께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 건축물이며 고려시대 불전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건축물이다. 무량수전은 부석사의 중심 건물로 극락정토를 상징하는 아미타여래불상을 모시고 있다.[2]
무량수전은 우리 나라에 남아 있는 목조 건물 중 안동 봉정사 극락전(국보)과 더불어 오래된 건물로서 고대 사찰건축의 구조를 연구하는데 매우 중요한 건물이 되고 있다.[3]

일반적인 불전은 건물 중심에 불단을 놓고 불상을 건물의 방향과 같게 한다. 그러나 부석사 무량수전은 불단을 건물 서쪽에 치우쳐 배치하고 불상이 동쪽을 향하도록 만들었으며 내부 바닥에는 유약을 바른 전돌을 깔았다. 이것은 아미타불이 서방 극락세계에 있고 극락세계는 바닥이 유리로 만들어졌다고 하는 불경의 내용을 그대로 반영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무량수전과 같은 구성은 건물의 깊이를 확보하고 불단으로 향하는 시선을 집중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관련 건축물

관계

출처

  1. 고려 시대의 정확한 시점을 알 수 없어 고려 시대 중기의 건축물로 추정하고 있다.
  2.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4299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_무량수전
  3.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13700180000&pageNo=1_1_2_0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 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