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촌행"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분류:산업화가 쏘아올린 작은 문학 분류:잔망루피) |
Pinkcookie03 (토론 | 기여)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분류:산업화가 쏘아올린 작은 문학]] | [[분류:산업화가 쏘아올린 작은 문학]] | ||
[[분류:잔망루피]] | [[분류:잔망루피]] | ||
+ | |||
+ | ==개요== | ||
+ | 1993년, 신경림이 발표한 시이다.<ref>발표연도는 1993년이지만 배경은 1960~70년대이다</ref> | ||
+ | |||
+ | ==내용== | ||
+ | <span style="background:#FFFACD">떨어져 나간 대문짝</span><ref>퇴락한 폐촌의 모습</ref><br/> | ||
+ | 안마당에 복사꽃이 빨갛다<br/> | ||
+ | 가마솥이 그냥 걸려 있다<br/> | ||
+ | 벌겋게 녹이 슬었다 | ||
+ | <div style="text-align:right;"><ins>1연: 퇴락한 폐촌의 모습</ins></div> | ||
+ | |||
+ | 잡초가 우거진 부엌바닥<br/> | ||
+ | 아무렇게나 버려진 가계부엔<br/> | ||
+ | 콩나물값과 친정 어미에게 쓰다 만 편지 | ||
+ | <div style="text-align:right;"><ins>2연: 폐촌에 남아있는 민중적 삶의 흔</ins></div> | ||
+ | |||
+ | 빈집 서넛 더 더듬다가<br/> | ||
+ | 폐광을 올라가는 길에서 한 늙은이 만나 동무들 소식 물으니<br/> | ||
+ | 서울 내 사는 데서 멀지 않은<br/> | ||
+ | 산동네 이름 두어 곳을 댄다. | ||
+ | <div style="text-align:right;"><ins>3연: 나아지지 않는 민중의 삶</ins></div> | ||
+ | |||
+ | ==특징<ref>출처: https://munbunseon.tistory.com/entry/%EC%8B%A0%EA%B2%BD%EB%A6%BC-%ED%8F%90%EC%B4%8C%ED%96%89-%ED%8A%B9%EC%A7%95-%ED%95%B5%EC%8B%AC-%EC%A0%95%EB%A6%AC-%ED%95%B4%EC%A0%9C-%ED%95%B4%EC%84%A4</ref>== | ||
+ | '''갈래 : ''' 자유시, 서정시<br/> | ||
+ | '''성격 : ''' 묘사적, 서사적, 사실적<br/> | ||
+ | '''주제 : ''' 퇴락한 광산촌의 쓸쓸한 정경, 그에 느끼는 무상감과 나아지지 않는 민중의 삶에 대한 안타까움<br/> | ||
+ | '''표현상 특징 : ''' | ||
+ | *특정 공간에서 보고 들은 내용을 담담한 어조로 전달함 | ||
+ | *붉은색의 색채 이미지를 통해서 공간의 모습을 시각적으로 형상화함 | ||
+ | *붉은색의 명암 대비를 통해 변함없이 생명력 넘치는 자연과 쇠락한 폐촌의 모습을 대조함 | ||
+ | *의도적 행 분리를 통해 호흡을 조절하고 집중도를 높임 | ||
+ | |||
+ | *1연: 폐촌이 된 마을의 어느 빈집 안마당<br/> | ||
+ | *2연: 빈집의 부엌 마당에 아무렇게나 버려진 가계부와 편지<br/> | ||
+ | *3연: 어떤 노인에게서 전해 들은 옛 동무들의 소식 | ||
+ | |||
+ | <span style="background:#FFF0F5">폐촌으로 인해 황폐화된 농촌의 현실을 나타낸 작품이며 사람들이 떠나 빈집이 즐비한 마을의 모습을 둘러본 화자가 담담한 어조로 농촌 현실을 묘사하고 있다.</span> | ||
+ | |||
+ | ==해제== | ||
+ | 이 시는 폐광으로 인해 황폐화한 광산촌의 모습을 그린 작품이다. 여기저기 빈집들이 있는 쓸쓸한 마을을 둘러본 화자는 그 정경을 담담히 묘사한 뒤, 마을에 남아 있는 노인에게서 들은 옛 동무들의 근황을 제시하고 있다. 감정의 직접적 노출을 자제하고 색채 이미지를 활용하여 공간의 분위기를 효과적으로 환기했다는 특징이 있는 작품이다. |
2023년 12월 9일 (토) 21:06 기준 최신판
개요
1993년, 신경림이 발표한 시이다.[1]
내용
떨어져 나간 대문짝[2]
안마당에 복사꽃이 빨갛다
가마솥이 그냥 걸려 있다
벌겋게 녹이 슬었다
1연: 퇴락한 폐촌의 모습
잡초가 우거진 부엌바닥
아무렇게나 버려진 가계부엔
콩나물값과 친정 어미에게 쓰다 만 편지
2연: 폐촌에 남아있는 민중적 삶의 흔
빈집 서넛 더 더듬다가
폐광을 올라가는 길에서 한 늙은이 만나 동무들 소식 물으니
서울 내 사는 데서 멀지 않은
산동네 이름 두어 곳을 댄다.
3연: 나아지지 않는 민중의 삶
특징[3]
갈래 : 자유시, 서정시
성격 : 묘사적, 서사적, 사실적
주제 : 퇴락한 광산촌의 쓸쓸한 정경, 그에 느끼는 무상감과 나아지지 않는 민중의 삶에 대한 안타까움
표현상 특징 :
- 특정 공간에서 보고 들은 내용을 담담한 어조로 전달함
- 붉은색의 색채 이미지를 통해서 공간의 모습을 시각적으로 형상화함
- 붉은색의 명암 대비를 통해 변함없이 생명력 넘치는 자연과 쇠락한 폐촌의 모습을 대조함
- 의도적 행 분리를 통해 호흡을 조절하고 집중도를 높임
- 1연: 폐촌이 된 마을의 어느 빈집 안마당
- 2연: 빈집의 부엌 마당에 아무렇게나 버려진 가계부와 편지
- 3연: 어떤 노인에게서 전해 들은 옛 동무들의 소식
폐촌으로 인해 황폐화된 농촌의 현실을 나타낸 작품이며 사람들이 떠나 빈집이 즐비한 마을의 모습을 둘러본 화자가 담담한 어조로 농촌 현실을 묘사하고 있다.
해제
이 시는 폐광으로 인해 황폐화한 광산촌의 모습을 그린 작품이다. 여기저기 빈집들이 있는 쓸쓸한 마을을 둘러본 화자는 그 정경을 담담히 묘사한 뒤, 마을에 남아 있는 노인에게서 들은 옛 동무들의 근황을 제시하고 있다. 감정의 직접적 노출을 자제하고 색채 이미지를 활용하여 공간의 분위기를 효과적으로 환기했다는 특징이 있는 작품이다.
- ↑ 발표연도는 1993년이지만 배경은 1960~70년대이다
- ↑ 퇴락한 폐촌의 모습
- ↑ 출처: https://munbunseon.tistory.com/entry/%EC%8B%A0%EA%B2%BD%EB%A6%BC-%ED%8F%90%EC%B4%8C%ED%96%89-%ED%8A%B9%EC%A7%95-%ED%95%B5%EC%8B%AC-%EC%A0%95%EB%A6%AC-%ED%95%B4%EC%A0%9C-%ED%95%B4%EC%84%A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