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든 땅 언덕 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_edu
이동: 둘러보기, 검색
(줄거리)
(인물 관계도)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5번째 줄: 15번째 줄:
 
| style="width:80px; text-align:center;" |'''장르''' || 단편소설
 
| style="width:80px; text-align:center;" |'''장르''' || 단편소설
 
|-  
 
|-  
| style="text-align:center;"|'''작가''' || [[박태순]]
+
| style="text-align:center;"|'''작가''' || 박태순
 
|-  
 
|-  
 
| style="text-align:center;"|'''출판연도''' || 1966
 
| style="text-align:center;"|'''출판연도''' || 1966
36번째 줄: 36번째 줄:
  
 
=='''인물 관계도'''==
 
=='''인물 관계도'''==
 +
[[파일:정든 땅 언덕 위 인물 관계도.jpg|500픽셀]]
  
 
+
==각주 (참고 페이지)==
==각주==
 
 
<references/>
 
<references/>
 
*참고 페이지
 
*참고 페이지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34895&cid=41708&categoryId=41737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34895&cid=41708&categoryId=41737/index.do 한국현대문학대사전 정든 땅 언덕 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47026&cid=46645&categoryId=46645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47026&cid=46645&categoryId=46645/index.do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정든 땅 언덕 위]
*이미지 출처: https://www.yes24.com/Product/Goods/56458
+
*[https://www.yes24.com/Product/Goods/56458/index.do 이미지 출처]
 +
 
 +
[[분류:산업화가 쏘아올린 작은 문학]]
 +
[[분류:사용자 이름]]

2023년 12월 7일 (목) 21:36 기준 최신판

"외촌동은 지난 봄철에 급작스럽게 생긴 동네였다. 서울시 도시계획에 따라 무허가 집들을 철거한 시 당국은, 판자촌에서 살던 사람들을 위하여 새로 이 동네를 만들어 증정했던 것이다.


작가의 말: 항상 사는 것이 중요하고, 올바로 살기 위하여 문학이 필요한 것"


줄거리

무허가 판자촌을 철거하고 그 자리에 새롭게 지어진 외촌동은 217세대가 모여 사는 지역이다. 이곳은 어려운 삶의 환경에서 끈질기게 살아가는 이들의 일상이 펼쳐지는 곳이다. 막걸리 장사를 하는 과부댁은 딸 미순이 때문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미순이는 약장수 패거리와 도망간 후로 장사가 안되어 고민 중이다. 방범대원 나종열과 좋은 관계였던 미순이는 약장수와 만나 도망치게 되고, 나종열은 가족과 함께 어려운 삶을 견뎌내고 있다. 이 지역에 이사 온 변 노인은 고리대금업을 하는데, 돈을 보내주는 아들과 함께 과부댁과 살게 된다. 미순이가 돌아온 이후에도 새로운 사건들이 벌어지는데, 그 중에는 돈을 훔친 사건도 있다. 나종애는 애인 정의도에게 편지를 쓰다가 어려움을 겪게 되고, 변 노인은 나종애에게 위장 결혼을 제안한다. 그러나 나종애는 애인을 기다리며 그 제안을 거절하고 자신의 머리카락을 팔아 돈을 얻는 결심을 한다. 이렇게 한편으로는 어려운 삶을 이겨내려는 이들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특징

  • 1960년대부터 1980년대에 이르기까지 18편에 이르는 박태순의 연작소설 ‘외촌동 사람들’ 가운데 초기의 작품이며 연작 중에서 대표작으로 평가된다.
  • 도시 변두리에 살고 있는 소외된 삶에 애정어린 눈길을 보내고, 거기서 굳건한 민중적 생명력을 포착해 내고 있다.
  • 이 작품은 잡초처럼 짓밟히면서도 다시 고개를 드는 변두리 하층민의 삶을 여러 가지 이야기를 통하여 제시함으로써, 1960년대 참여문학의 일환을 나타낸 작품으로 평가된다.
  • 1970년대의 노동자, 농민을 대상으로 한 작품군으로의 이행적 요소를 지닌다. 여러 인물을 통하여 삶의 실상을 보여주려고 시도했다.

인물 관계도

정든 땅 언덕 위 인물 관계도.jpg

각주 (참고 페이지)

  1. 서울시가 도시계획에 따라 무허가 집들을 철거한 다음 철거당한 사람들을 위해 만든 새로운 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