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주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p style="font-family:serif;font-weight: bold;font-style: normal;font-size:2.5em;text-align:center;margin-top:2em;margin-bottom:1.5em;color:#8B4513;"> | <p style="font-family:serif;font-weight: bold;font-style: normal;font-size:2.5em;text-align:center;margin-top:2em;margin-bottom:1.5em;color:#8B4513;"> | ||
− | 나무조각에 아로 새긴 공자님 말씀</p> | + | '''나무조각에 아로 새긴 공자님 말씀'''</p> |
==지은이== | ==지은이== | ||
18번째 줄: | 18번째 줄: | ||
-> 충효 사상 -> 지배계층에서 장려? ) | -> 충효 사상 -> 지배계층에서 장려? ) | ||
- 논어 [[목간]]의 크기 | - 논어 [[목간]]의 크기 | ||
− | * | + | * 전국시대는 8촌(약 18.4 cm) : 휴대에 편리 |
− | * | + | * 다른 목간은 2척 4촌, 2척 1촌, 1척 2촌, 6촌 등 여러 규격 |
− | * | + | * 한나라 시기에 논어가 한반도로 전래(고조선) |
* | * | ||
- 특이한 목간 : 4면 또는 5면에 글자를 적은 목간, 크기도 130 cm 정도. | - 특이한 목간 : 4면 또는 5면에 글자를 적은 목간, 크기도 130 cm 정도. | ||
교육용으로 추정 | 교육용으로 추정 | ||
− | - 고대 한국인의 | + | - 고대 한국인의 <span style="color:red;">'''발음'''</span>에 대한 언급이 없다. - 한자를 어떻게 읽었을까? |
2023년 9월 26일 (화) 13:54 기준 최신판
나무조각에 아로 새긴 공자님 말씀
지은이
오태현 동국대학교 사학과 및 국사학과 강사
목차(내용)
- 2500년간 동아시아 지배한 공자의 '말'
- 나뭇조각에 '공자님 말씀'을 담다 : 편철 간(논어》의 탄생
- 《논어》를 문고본으로 읽은 한 사람들 : 규격화된 목간의 탄생
- 한반도에서 발견된 《논어》 목간의 기원
- 한반도 전역으로 퍼지는 '공자님 말씀'
- 동아시아 고대인의 삶 속으로 파고든 '공자님 말씀
검토(생각꼭지)
- 한국에서 공자와 논어는 너무나 유명 – 특별한 설명이 필요 없음.
(지배계층의 정치 이념에 잘 맞아 떨어진다. -> 충효 사상 -> 지배계층에서 장려? )
- 논어 목간의 크기
* 전국시대는 8촌(약 18.4 cm) : 휴대에 편리 * 다른 목간은 2척 4촌, 2척 1촌, 1척 2촌, 6촌 등 여러 규격 * 한나라 시기에 논어가 한반도로 전래(고조선) *
- 특이한 목간 : 4면 또는 5면에 글자를 적은 목간, 크기도 130 cm 정도.
교육용으로 추정
- 고대 한국인의 발음에 대한 언급이 없다. - 한자를 어떻게 읽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