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거:유관순 이야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0번째 줄: | 10번째 줄: | ||
==개요== | ==개요== | ||
− | 유관순을 중심으로 하여 3.1만세운동 이후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되었던 당시의 독립운동가들에 대해 다룬다. | + | 일제강점기 중 무단통치시대에 속하는, 유관순을 중심으로 하여 일어난 3.1만세운동 이후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되었던 당시의 독립운동가들에 대해 다룬다. 해당 문서는 [[발타]]가 작성하였다. |
==평점== | ==평점== | ||
35번째 줄: | 35번째 줄: | ||
==평가== | ==평가== | ||
− | + | 10만원, 당시 역사적 현장을 거의 다큐멘터리 형식으로 촬영하여 역사적 고증이 뛰어남은 물론이고 극의 구성도 지루하지 않게 잘 구성되어 있어 역사와 드라마라는 장르문법을 동시에 잘 지킨 흔치 않은 영화라는 특성 때문에 가격을 다소 후하게 평가했다. 또한 엔딩크레딧에서 당시 수감되었던 여성들의 실제 사진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역사나 위인을 모욕적인 방식으로 다루지 않고 그저 재현과 의미를 담기 위해 연출했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 |
==흥행== | ==흥행== | ||
누적관객수 1,157,707명으로 상영을 종료하였다. 또한 누적매출액은 9,290,065,101원에 달했다. | 누적관객수 1,157,707명으로 상영을 종료하였다. 또한 누적매출액은 9,290,065,101원에 달했다. | ||
<ref>출처: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kobis'[https://www.kobis.or.kr/kobis/business/mast/mvie/searchMovieList.do]</ref> | <ref>출처: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kobis'[https://www.kobis.or.kr/kobis/business/mast/mvie/searchMovieList.do]</ref> | ||
− | |||
− | |||
− | |||
==주석== | ==주석== | ||
<references/> | <references/> | ||
+ | |||
+ | [[분류:발타]] | ||
+ | [[분류:콘텐츠 분야 18분반]] | ||
+ | [[분류:한국 근현대사 영화와 실제 역사적 사건]] |
2022년 12월 20일 (화) 12:38 기준 최신판
항거:유관순 이야기 | |
---|---|
감독 | 조민호 |
출연 | 고아성, 김새벽, 김예은, 정하담, 류경수 등 |
제작사 | 디씨지플러스, 조르바필름 |
배급사 | 롯데컬처웍스(주)롯데엔터테인먼트 |
개봉일 | 2019.02.27 |
개요
일제강점기 중 무단통치시대에 속하는, 유관순을 중심으로 하여 일어난 3.1만세운동 이후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되었던 당시의 독립운동가들에 대해 다룬다. 해당 문서는 발타가 작성하였다.
평점
IMDB사이트 기준 6.1/10
줄거리
1919년 3.1 만세운동 후 세평도 안 되는 서대문 감옥 8호실 속, 영혼만은 누구보다 자유로웠던 유관순과 8호실 여성들의 1년의 이야기. [1]
등장인물
유관순(고아성), 김향화(김새벽), 권애라(김예은), 이옥이(정하담), 니시다(류경수)
배경사건
3.1운동은 1919년 3월 1일을 기해 일어난 거족적인 독립만세운동으로 민족대표 33인이 태화관에 모여 독립선언서를 낭독한 것을 기점으로 군중과 학생이 이에 참여하고, 이후 전국적으로 몇차례에 걸쳐 운동이 일어났다. 이후 상하이에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수립되고 일제의 무단통치를 문화통치로 바꾸는데에 기여했다. 또한 이후 신문예운동, 산업운동, 경제운동 등이 일어나는 식으로 여파를 끼치게 되었다. 유관순이 참여하였던 만세운동은 충청남도 천안 병천에서 일어났던 1919년 4월 1일의 아우내 장터 만세운동이며 공주교도소에 수감되었다가 이후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되게 된다. [2]
배경사건과의 차이점
다큐멘터리 영화와 흡사하게 제작되어 거의 차이점이 없다. 영화 내에서 유관순의 오빠로 등장하는 유우석은 1919년 4월 1일에 병천에 있었던 것으로 나오지만 실제로 유우석은 충남 공주에서 만세운동을 주도했다. 또한 영화 내에서 조선인 친일파였던 니시다는 한국이름은 정춘영으로 실제로는 충청남도 천안 병천면의 헌병 주재소 보조원이었다. 영화 내에서는 서대문감옥의 헌병 보조원으로 각색되어서 나왔다. 또한 주요 등장인물 중 이옥이는 가상의 인물이다.
평가
10만원, 당시 역사적 현장을 거의 다큐멘터리 형식으로 촬영하여 역사적 고증이 뛰어남은 물론이고 극의 구성도 지루하지 않게 잘 구성되어 있어 역사와 드라마라는 장르문법을 동시에 잘 지킨 흔치 않은 영화라는 특성 때문에 가격을 다소 후하게 평가했다. 또한 엔딩크레딧에서 당시 수감되었던 여성들의 실제 사진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역사나 위인을 모욕적인 방식으로 다루지 않고 그저 재현과 의미를 담기 위해 연출했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흥행
누적관객수 1,157,707명으로 상영을 종료하였다. 또한 누적매출액은 9,290,065,101원에 달했다. [3]